소개글
"여성성과 남성성인 젠더 개념이 적용된 가정 내 폭력인 가부장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정폭력의 실제적인 이유와 그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핵심 가치
2.1. 가정폭력의 정의
2.2.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에서 가정폭력이 일어나는 실제적인 이유
2.2.1. 사회학습
2.2.2. 여성주의
2.2.3. 가족의 변화와 가부장성의 충돌
2.2.4. 성 역할 고정관념
2.2.5. 전통적 가족규범
2.3. 가정폭력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핵심 가치
2.3.1. 성평등
2.3.2. 개인의 존엄과 양성평등
2.3.3. 인권보호
2.4. 의사소통의 중요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정은 가족구성원들의 특정 필요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곳 일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모든 생활이 용해되고 재창조 되는 곳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이란 경쟁적 외부 세상에서 돌아와 몸과 마음을 조용히 돌보고 쉬는 휴식처이며, 사랑의 보금자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가정에서 발생하는 폭력으로 인해 개인의 삶이 피폐해지고 심지어 가족구성원이 목숨을 잃게 되는 초유의 사태를 유발하기도 해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가정폭력이란 부모,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척,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가정 내 폭력을 말한다. 이는 가족구성원이나 근친자에게 행하는 폭력적인 행위를 말하며, 이러한 폭력은 일반폭력과는 달리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며 그 정도도 지속적으로 심화되어 간다. 또한 친밀함과 애정이 형성되어야 하는 가족 사이에 불신과 상처를 남기고, 제 3자의개입을 차단하여 인권침해의 요소도 남긴다. 이는 또한 학교폭력 등 주요 사회 범죄의 잠재적 요인이 되며 대물림되는 등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 안에서 가정폭력이 일어나는 실제적인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그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핵심 가치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
2. 가정폭력의 실제적인 이유와 그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핵심 가치
2.1. 가정폭력의 정의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을 넓게 정의하면, 가정 내에서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힘(force)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치거나 한 번에 세게 때리는 것, 반복하여 사람을 구타하거나 신체적 공격, 대상자에게 물건을 던지는 행위로 사회가 비규범적으로 간주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의 친밀한 관계의 파트너에 의한 신체적 폭행 이외에 협박, 정신적 학대, 언어적 학대, 괴롭힘, 창피를 주는 행위 등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2.2.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에서 가정폭력이 일어나는 실제적인 이유
2.2.1. 사회학습
사회학습 이론은 폭력행동을 주위를 통해 관찰하고 배운 학습의 산물로 보는 관점(Bandura, 1973)으로 가정이 1차적 사회 환경으로서 스트레스와 좌절된 욕구에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본다. 가정 내 다양한 역할을 배우며 폭력의 세대 간 전승은 사회학습 이론에서 관심을 끌어온 것으로 폭력에 있어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할은 관찰과 모델링을 통해 사회적으로 학습된다고 본다. 관찰과 모방을 통해 이루어진 폭력행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을 때 가해자의 폭력행동은 강화된다. 즉, 관찰을 통해 폭력을 학습한 가해자가 가족 내에서 폭력을 행사하고 폭력을 통해 배우자의 복종 등 원했던 결과를 얻게 되면 폭력은 반복된다는 것이다. 사회학습 이론에서 폭력행위란 학습된 현상(learned phenomenon)으로 이해하고 타인의 폭력행위를 관찰, 모방함으로써 공격행위의 기술을 습득한것이기 때문에 행위자는 자신의 폭력행위에 대해 양심의 가책이나 죄의식을 느끼지 않게 된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어린 시절 가정에서 폭력을 보고 자라났을 때 폭력을 배울 가능성이 더 높게 될 뿐만 아니라 폭력에 노출됨으로 인해 피해자나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높다고 제기되는 것이다.
2.2.2. 여성주의
여성주의 이론은 가정폭력이 남성에 의해 자행되는 여성에 대한 학대를 의미한다고 보았으며, 근본적으로 남녀 불평등에서 비롯되고 가족 내에서 '남성 지배, 여성 복종'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여성주의...
참고 자료
성정현 등 공저(2014). 가족복지론. 양서원.
김미애(2011). 가정폭력 유발원인의 척도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연구.
여성가족부 김권영(2014).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효율화 방안 연구.
김운회. 『가정폭력범죄:그 이론과 실제, 그리고 사례』. 서울:백산출판사, 2006.
서울신무네 성전환 후 전역‘변희수 전 하사 자택서 숨진 채 발견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303500227
여성복지론 교안
https://www.etymonline.com/word/feminine
Martha Chamallas, Introduction to Feminist Legal Theory (New York: Aspen Law & Business, 1989), 23면 ; Patrica A. Cain, “Grounding the Theories," 4 Berkeley Women's L.J. (1989-1980), 191면, 198-205면 ; Clare Dalton, "Where We Stand: Observations on the Situation of Feminist Legal Thought," 3Berkeley Women's L.J. (1987-1988), 1면.
장미경, 2003, “존 슈트어트 밀의 여성관 : 『여성의 예속』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4,5쪽)
원진숙, 2005, 미국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법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in postmodern feminist legal theory in the United States,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1,12쪽)
원진숙, 2005, 미국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법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in postmodern feminist legal theory in the United States,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2,13쪽)
Catharine, A. MacKinnon, "Feminism, Maxism, Method, and the State: An Agenda for Theory". 7 Signs: J. Women in Culture & Soc'y p. 515 (1982).
김재기, 「섹슈얼리티의 철학적 의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문화와 철학』, 동녘, 1999년, 189쪽
로즈마리 퍼트남 통, 『페미니즘 사상』, 이소영 역, 한신문화사, 2001년
마리아 미스·반다나 시바, 『에코페미니즘』, 이난아·손덕수 역, 창작과비평사, 2000년
박지훈, 2004, “혐오에 맞서는 혐오 :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젠더 담론”,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ⅱ쪽)
네이버 워마드 이미지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image&query=%EC%9B%8C%EB%A7%88%EB%93%9C&oquery=%ED%8E%98%EB%AF%B8%EB%8B%88%EC%A6%98+%EB%AC%B8%EC%A0%9C&tqi=TxHH0spySEKssbujUVZssssssTo-338422#imgId=news0160001390416_1&vType=rollout
https://blog.naver.com/ian3714/220853576016 사진 1
https://blog.naver.com/lotemh/220718081074 사진 2
MBN 홍대 누드사진 유출 게재된 워마드는 어떤 곳? 2018,05,08 사진 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7&aid=0001248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