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진단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독성 간염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목적
1.1.2. 문헌고찰
1.2. 간염의 정의와 종류
1.2.1. 바이러스성 간염
1.2.2. 기타 간염
1.3. 간호과정 적용
1.3.1. 간호사정
1.3.2. 간호진단
1.3.3. 간호계획 및 수행
1.3.4. 간호평가
1.4. 참고문헌

2. APN(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간호과정
2.1. 대상자 소개
2.1.1. 일반적 사항
2.1.2. 현병력
2.1.3. 간호력
2.1.4. 신체사정
2.2. 문헌고찰
2.2.1. 원인 및 병태생리
2.2.2. 임상증상
2.2.3. 치료
2.2.4. 간호
2.3. 진단검사
2.3.1. Hematology
2.3.2. Blood chemistry
2.3.3. Urinalysis
2.4. 간호과정
2.4.1. 간호진단
2.4.2. 간호계획 및 수행
2.4.3.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독성 간염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목적

연구목적은 건국대병원 112병동에서 식품(약물)로 인한 독성간염이 발병한 대상자의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및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 합병증 없이 대상자가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1.2. 문헌고찰

간염(hepatitis)은 간의 염증으로 바이러스, 세균, 독성 물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의 종류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delta: 델타 간염), E형 간염, G형 간염이 있다. 이 중 B, C, D형 간염바이러스들이 만성간염을 일으킨다.

A형 간염(hepatitis A)은 장바이러스 계열의 RNA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분변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A형 간염은 심각한 후유증 없이 회복되지만 나이가 많거나 만성 간염과 같은 기저질환을 가질 경우 전격성 A형 간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B형 간염(hepatitis B)은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보균자나 급성 질병상태에 있는 환자의 혈청 접촉이 주요 감염경로이다. 약 5%는 B형 간염의 결과로 간의 파괴를 초래하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한다. B형 간염의 심한 상태나 만성 간염의 결과로 간경변증이 초래되거나 원발성 간세포 암이 발생할 수 있다.

C형 간염(hepatitis C)의 경우 우리나라 전 인구의 약 1%가 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이며 증가하는 추세이다. 50~85%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며 20~30%가 간경변으로, 5~10%가 간암으로 발전한다. C형 간염은 과거 수혈 후 감염이 많았으나 최근 수혈혈액에 대한 검사 발달로 드물어졌다.

D형 간염(delta hepatitis)은 B형 간염과 동시에 감염되거나 기존의 B형 간염 보유자에서 중복감염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며 주로 지중해 연안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E형 간염(hepatitis E)은 RNA 바이러스에 의한 수인성 간염으로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 잠복기가 짧고 만성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드물다.

G형 간염(hepatitis G)은 혈액을 통해서 전파되는 간염으로 미국에서는 공혈자의 1~2%에서 이 바이러스가 발견된다. 그러나 정확한 병인과 예후에 대해서는 연구 중에 있다.

이와 같이 바이러스성 간염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질병의 과정, 잠복기, 감염 경로 및 질병의 심각성 등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증상은 서로 비슷하게 나타난다.


1.2. 간염의 정의와 종류
1.2.1. 바이러스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의 염증으로, 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바이러스성 간염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델타 간염), E형 간염, G형 간염이 있다. 이 중 B형, C형, D형 간염바이러스들이 만성간염을 일으킬 수 있다.

A형 간염은 장바이러스 계열의 RNA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분변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A형 간염으로부터 심각한 후유증 없이 회복된다. 하지만 나이가 많거나 만성 간염과 같은 기저질환을 가질 경우 전격성 A형 간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B형 간염은 주로 혈액이나 체액 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의료인, 수혈을 여러 번 받은 사람, 혈액투석 환자 등이 위험군에 속한다. B형 간염 환자의 약 5%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고, 간경변증이나 원발성 간세포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약물남용자의 주사기 공동사용이 주된 감염경로이다. C형 간염 환자의 50~85%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고, 이 중 20~30%가 간경변증으로, 5~10%가 간암으로 발전한다.

D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동시에 감염되거나 기존 B형 간염 보유자에서 중복감염되는 형태로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다. D형 간염은 혈액매개를 통해 전파된다.

E형 간염은 주로 인도, 미얀마,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멕시코 등에서 발생하며, 젊은 성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수인성 바이러스 간염이다. E형 간염은 만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드물다.

G형 간염은 혈액을 통해 전파되는 간염으로, 정확한 병인과 예후에 대해서는 연구 중이다.

이처럼 바이러스성 간염은 종류에 따라 질병 과정, 감염경로, 합병증 등에 차이가 있지만 증상은 비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1.2.2. 기타 간염

독성 간염(toxic hepatitis)은 간이 독성 물질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한다""

독성 간염은 간의 독성 물질이 독성 간염, 괴사, 담즙정체, 종양 등을 일으킨다""

독성 물질에 의한 간염의 범위와 형태는 노출의 정도, 간 독성 물질의 화학적 성분, 개인의 유전적인 체질 등에 따라 다르다""

대표적인 간 독성 물질로는 acetaminophen, amanitaphalloides(독버섯), aspirin, benzene, carbon tetrachloride, chlorofrom, methotrexate 등이 있다""

간 괴사는 간 독성 물질에 노출된 지 2~3일 이내에 나타나지만, 특이체질에서는 몇 주일 후에 나타나기도 한다""

환자들의 질병과정과 관계없이 간기능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소량이지만 어떤 간 독성 물질에 반복적으로 장기간 노출된 환자는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과민성 반응을 경험하는 환자는 호산구 증가증, 발열, 관절통 및 황색종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호중재로 과거의 약물 노출 물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하고, 휴식, 부작용의 감소(예: 소양증에 대해 콜레스티라민 사용), 허용 범위 내의 지방과 단백질을 포함한 고칼로리 식이를 제공한다""

독성 간염에 대한 합병증으로 콩팥기능상실증이 발생하기도 한다""알코올성 간염(alcoholic hepatitis)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간의 실질 조직의 괴사에 의해 발생한다""

알코올성 간염의 임상증상들은 대개 최근에 급격하게 과다한 음주를 한 후에 발생한다""

증상은 식욕부진, 오심, 복통, 비장비대, 간비대, 황달, 복수, 발열, 간성뇌병증 등이다""

검사실 검사에서는 빈혈, 백혈구 증가증, 혈청 빌리루빈치의 상승 등이 특징적이다""

간생검에서 전형적인 지방간을 볼 수 있다""

간호중재로 고비타민과 ...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이은희 외(20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윤은자 외(202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권(제7판). 황옥남 외(2021).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제7판). 황옥남 외(2021). 현문사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 Ⅰ. 송경애 외(2021). 수문사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 Ⅱ. 송경애 외(2021).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원종순 외(2018). 현문사
보건복지부. 인사혁신처. 스트레스 척도(PSS)
삼성서울병원. 검진 후 관리. 생활습관 개선클리닉. 스트레스 클리닉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Medical/private/lifeClinicStress05.do
서울성모병원. 검사정보. 복부골반검사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process/examination_view.do?no=15
서울아산병원. 급성 신우신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7
서울아산병원. 요로감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62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cp/K/deptMain.do
송파구보건소. 임상병리검사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2&
아주대학교. 급성 신우신염
https://www.ajoumc.or.kr/story/board/articleView010003001.do?no=450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케어한 하루. 네뷸라이저(약물 흡입기) 사용법
https://www.careday.me/situation/?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5869301&t=board)
프셉마음 혈액검사 해석 및 간호편. 이재왕 외(2022). 드림널스
조경숙, 김희경 외 | 성인간호학 | 하 |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