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제왕절개분만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이는 마취 후유증과 감염 및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며, 입원기간이 자연분만보다 2~3일 더 길고, 분만 후 일상으로 돌아가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또한 최근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가 자연분만으로 태어난 아기보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알레르기 위험도 5배 많고, 비만 위험도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러한 제왕절개 산모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제왕절개 분만에 대해 잘 이해하고, 제왕절개를 하는 산모에게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를 도출하여 해결함으로써 제왕절개 산모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1.2. 통계자료
저출산과 고령임부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2016년 제왕절개수술 건수는 전체 출생아 수 대비 40%를 넘어섰다. 출생아 수는 2011~2016년 47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줄었지만, 같은 기간 제왕절개 수술건수는 16만 건에서 17만 건으로 늘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발간한 「2016년 주요수술통계연보」에서 33개의 주요수술 중 수술인원이 백내장수술, 치핵수술 다음으로 제왕절개수술이 16만 9천명으로 3위를 차지할 만큼 많은 산모들이 제왕절개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 주요수술에서도 20-30대 연령에서 제왕절개수술이 1위를 차지했다.""
2. 제왕절개 분만
2.1. 정의
제왕절개수술(Cesarean section)은 질식분만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임신부의 배를 절개한 후 자궁을 일부 절개하고 절개부위를 통하여 태아를 꺼내는 수술을 말한다. 질을 통한 출산이 산모나 태아의 생명에 위험을 가할 수 있을 경우 시행한다.""
2.2. 적응증
2.2.1. 모체 측 요인
모체 측 요인은 제왕절개수술의 주요 적응증 중 하나이다. 모체 질병, 중증 감염, 과거 제왕절개 수술 경험, 자궁수술 경험, 자궁내 종양 등이 모체 측 요인에 포함된다.
먼저 모체 질병으로는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이 있는 산모의 경우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위험을 줄 수 있어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체의 중증 감염도 제왕절개수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단순포진 II형 등 활동성 병소가 있는 경우에는 태아 감염 위험이 높아 제왕절개술이 필요하다.
또한 과거에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자궁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산모에서도 제왕절개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이전 수술로 인한 자궁 반흔이 약해져서 자연분만 시 자궁파열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궁내 섬유종이나 종양으로 인해 산도가 폐쇄된 경우에도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산모의 건강상태, 과거력, 합병증 등 다양한 모체 측 요인들이 제왕절개수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2.2.2. 태아 측 요인
태아 측 요인은 제왕절개의 주요한 적응증 중 하나이다. 태아가 선진부 이상, 즉 둔위 혹은 횡위인 경우 모성골반에 통과되기 어려워 제왕절개가 필요하다. 또한 분만 전이나 분만 중에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 사산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제왕절개가 권장된다. 거대아, 즉 4kg 이상의 태아도 골반을 빠져나오기 어려워 제왕절개의 적응증이 된다. 이처럼 태아의 크기나 위치, 상태가 질식분만을 어렵게 하는 경우 제왕절개가 선택되는 것이다.
2.2.3. 태반 요인
태반 요인의 경우, 제왕절개수술의 주요 적응증 중 하나이다. 전치태반과 태반조기박리가 그에 해당한다""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 입구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경우로, 태반이 정상적인 자리에 위치하지 않아 분만할 때 출혈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다. 태반조기박리는 태반이 임신 중 고르게 자리잡고 있다가 갑자기 분리되어 나오는 경우로, 심각한 출혈과 태아곤란증을 초래할 수 있다.""이러한 태반 관련 요인들은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왕절개술이 필요한 주요 적응증이 된다.
2.3. 수술방법
2.3.1. 소요시간
제왕절개수술의 소요시간은 대략 1시간 전후이다. 마취방법에 따라 시간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전신마취의 경우 마취시간을 제외하면 실제 수술시간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반면 척추마취나 경막외 마취의 경우에는 마취시간을 포함하더라도 전체 수술시간은 1시간 전후로 진행된다.
소요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산모의 상태, 태아의 크기와 위치, 기존 수술 유무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산모의 경우 유착으로 인해 수술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태아가 거대아인 경우에도 태아를 분만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에서 진행되는 제왕절개의 경우 조금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마취 방법과 산모 및 태아의 상태를 고려하여 수술 소요시간을 충분히 예측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전 마취과 의사와 소통하여 마취 방법과 예상 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수술 후 예상되는 회복 과정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2.3.2. 수술절차
제왕절개 수술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복부 절개 과정이 이루어진다. 피부 및 피하지방 절개 후 근막과 복막을 절개하여 자궁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피부 절개 방법에는 가로축으로 절개하는 방법과 세로축으로 절개하는 방법이 있는데, 가로절개 방식이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실혈량이 적고 수술 후 회복에도 용이하며 감염 발생이 적다. 세로축 절개는 응급 수술이나 큰 절개가 필요할 때 시행한다.
다음으로 자궁 절개를 한다. 방광과 접촉되어 있는 자궁 아랫부분을 분리한 후 가로로 절개한다. 응급이거나 큰 절개가 필요할 경우 세로축 절개에 'ㅗ'자형 절개를 시행한다.
태아를 분만한 후에는 탯줄을 자르고 신생아에게 필요한 조치를 시행한다. 그리고 태반을 배출하고 자궁을 다시 봉합하며, 복막과 근막, 피하지방과 피부를 역순으로 봉합한다.제왕절개 수술은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