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죽여주는 여자, 노인의 성생활 대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의 성과 대중매체
1.1. 영화에서 나타난 노인여성의 성과 사랑
1.2.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
1.2.1. 노래의 영향력
1.2.2.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과 그 분석
1.3. CF와 광고에 나타난 성 상품화
1.3.1. CF에 나타난 성과 그 분석
2. 노인 간호현장의 윤리적 문제
2.1. 신체구속(억제대 등)
2.2. 환자가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경우의 치료방향 결정
2.3. 치료 거부
2.4. 무리한 치료 요구
2.5. 학대
3.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안
3.1. 제도적 기반 구축
3.2. 인권 인식 개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의 성과 대중매체
1.1. 영화에서 나타난 노인여성의 성과 사랑
영화 속에서 노인의 사랑은 나이듦과 죽음의 경험 속에서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다. 그러나 노인들에게 사랑만이 유일한 구원이라는 논리는 자녀, 사회에 만연한 노인차별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영화 속에서 노부부 관계는 '평생 동반자'라는 환상 속에서 성별분업의 폐해를 드러내고 있었다. 영화에서 노인남성의 성적 욕망이나 실천에 대해서는 관용적이고 연민의 시선을 보이면서도, 노인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성규범에 순응하는 피해자, 성적으로 수동적인 존재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러한 여성들의 모습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몇몇 영화에서 노인 여성들은 여성성을 위반하고 자신의 성적 욕망에 충실하면서 성규범에 저항하고 적극적인 성적 실천을 보여 주었다. 이들은 연하남을 욕망함으로써 사회적 제재를 받고 남성들의 주체성을 위협함으로써 위험한 여성으로 낙인찍혔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노인여성의 욕망은 가시화되었고 노인여성은 성적 존재로서 자리매김 되었다.
1.2.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
1.2.1. 노래의 영향력
노래, 문학 작품, 그림 등은 대중들에게 가장 빠르고 강하게 전파되는 도구들이다. 그 중에서도 노래는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구전으로 전해 오는 시가나 민요 등으로 당시 민중들에게 빠르게 전파됐다. 구전 시가나 민요 등에 나타난 성 표현은 작가의 익명성이 유지됐다는 점에서 오히려 솔직한 양상을 보였다. 가장 흔하게 알려진 의 일부를 살펴보자면,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정을 통하여 두고, 맛둥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라는 가사를 서동이 의도적으로 민중에 퍼지게 하고 이 노래를 통해 그들을 선동했다. 요새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수들의 노래들 또한 '젊은이들의 사랑'이라는 포장 아래 굉장히 선정적인 성의 상품화로 대중들에게 강한 주목과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요즘 앨범의 필수적 부가요소라 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는 신곡이 발매되는 순간과 동시에 대중과 팬들에게 가장 큰 관심을 받는다. 실제로 뮤직비디오에서 남녀의 애정행위가 공중파 방송보다 더 선정적으로 보이는 것을 신체의 부분들을 과대 표현하고 줄거리의 서술을 돕는 배경장면들을 과감하게 생략하기 때문이다. 대중들에게 인기가 높은 가수들의 경우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올라가고 그것이 곧 그 가수와 노래의 이미지와 전달하는 메시지가 되기 때문에 그 위험성 또한 간과할 수 없다.
1.2.2.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과 그 분석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과 그 분석은 다음과 같다.
노래, 문학 작품, 그림 등은 대중들에게 가장 빠르고 강하게 전파되는 도구들이다. 그 중에서도 노래는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구전으로 전해 오는 시가나 민요 등으로 당시 민중들에게 빠르게 전파되었다. 가장 흔하게 알려진 의 일부를 살펴보면,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정을 통하여 두고, 맛둥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라는 가사를 서동이 의도적으로 민중에 퍼지게 하고 이 노래를 통해 그들을 선동했다.
최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수들의 노래들 또한 '젊은이들의 사랑'이라는 포장 아래 굉장히 선정적인 성의 상품화로 대중들에게 강한 주목과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요즘 앨범의 필수적 부가요소라 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는 신곡이 발매되는 순간과 동시에 대중과 팬들에게 가장 큰 관심을 받는다. 신체의 부분들을 과대 표현하고 줄거리의 서술을 돕는 배경장면들을 과감하게 생략하기 때문에 공중파 방송보다 더 선정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대중들에게 인기가 높은 가수들의 경우 뮤직비...
참고 자료
통계청, 2022 고령자 통계
조수현, 정순둘, 사회위험수준인식과 노인낙인의 관계: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 효과, 보건사회연구, 2019, p. 131-159
박광성, 정호석, 노인의 성건강과 성생활의 실태, J Korean Med Assoc. 2019, 6, p. 301-307
이해나, 노인의 성 생활.. ‘놀라운’ 건강 효과 불러, 헬스조선, 2021.3.15.
황경진, “혼자는 외로워” 황혼재혼 크게 늘었다, 백세신문, 2008.5.26.
김남초, 노인의 성에 대한 간호학적 고찰, 노인간호학회지 제1권 제2호
이동옥. 2008. 영화에 재현된 노인여성의 성과 사랑.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정천. 2002. 대중가요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 가수 박진영과 싸이의 노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nsationalism of the popular songs : focused on Park Jin-young's and Psy's.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신문출판전공 학위논문(석사)
국가인권위원회 (2014). 노인 인권 길라잡이.
국민건강보험 (2018). 2017 노인장기 요양보험 통계 연보.
권금주 (2016). 노인인권 관점에서 노인학대 정책 방향 모색. 복지동향, 3.
e-나라지표 (2018). 기대수명(0세 기대여명) 및 유병기간 제외 기대수명(건강수명).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김민선, 김초희, 홍진의, 안아름, 최은경, 김범석, ..., 박혜윤 (2017). 한국의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겪는 윤리적 문제 현황 및 임상윤리자문서비스의 필요성 조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4), 376-385.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https://www.koreanurse.or.kr/
대한내과학회 (2015). 내과전공의 의료윤리 사례집. 서울:진기획.
신문고뉴스. 2019.2.26. ‘신체 억제대’라는 이름의 ‘노인 요양’ 슬픈 얼굴. http://m.shinmoongo.net/124874
조선일보. 2017.7.8. 노인 64만명이 "학대 경험"… 0.6%만 신고 통해 도움받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07/2017070701710.html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6). 노인복지시설 인권침해 예방조치 방안 연구.
통계청 (2018). 2018 고령자 통계.
염현이 (2016).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찰.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56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