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소생술의 개요
1.1. 신생아 소생술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매년 4백만 명 정도의 신생아 사망의 23%가 신생아 질식사에 의한 사망으로,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건강하게 태어나기에 소생술이 필요 없지만, 약 10%정도의 신생아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도움이 필요하며, 약 1%는 집중적인(intubation, chest compression and medication) 소생술이 필요로 한다. 그러하기에 이들이 양호한 경과를 가질 수 있도록 분만실,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실 종사들에게는 신생아 소생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충분한 훈련이 필요하다."
1.2. 정상적인 신생아의 호흡 기전
정상적인 신생아의 호흡 기전은 다음과 같다.
자궁 내에서 폐포관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재태연령 20~24주 경부터 원시적인 폐포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24~28주 경까지 폐포 상피세포가 가스 교환에 필요한 1형 세포와 계면활성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2형 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이후 28~32주 경에는 2형 세포가 더욱 증가하여 35주 경에 계면활성제인 레시틴이 최고에 달하게 되며, 이는 임신 말기까지 유지된다. 계면활성제는 폐포의 안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레시틴과 스핑고미엘린이라는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레시틴은 폐 성숙을 돕는 주성분이다.
자궁 내에서는 호흡 억제 기전에 의해 호흡이 억제되어 있다가, 출산 관련 자극인 기계적 자극, 화학적 자극, 온도 변화, 촉각 자극을 통해 저하된 pH가 호흡 중추를 직접 자극하고, 낮은 산소 분압과 높은 이산화탄소 분압이 중추 및 말초 화학수용체에 의해 호흡 중추를 자극함으로써 첫 호흡을 시작하게 된다.
첫 호흡으로 폐에 공기가 유입되면 폐포에 남아있던 액체가 폐 간질로 이동하여 흡수되고, 이에 따라 폐혈관이 확장되어 폐혈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출생 시 증가한 카테콜아민과 함께 증가한 계면활성제가 폐포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폐포를 안정화시키고 날숨 시 폐포 폐쇄를 막아 무기폐 또는 폐 허탈을 예방한다.
이와 함께 심혈관계의 변화로 혈중 산소 증가에 따른 폐혈관 이완, 폐동맥압 감소, 폐혈류 급격한 증가, 동맥관 폐쇄 등이 일어나게 된다.
1.3. 신생아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
신생아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는 정상적인 이행과정이 잘못되는 경우라 볼 수 있다. 자궁 내에서는 호흡이 억제되어 있다가 출산 시 기계적 자극, 화학적 자극, 온도 변화, 촉각 자극 등에 의해 첫 호흡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면 신생아에게 근 긴장도 저하, 호흡욕구 감소, 서맥, 저혈압, 빠른 호흡, 청색증, 무호흡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생아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포의 액체를 밀어내기에 호흡이 강하지 않은 경우, 둘째, 태변 등에 의해 기도가 막힌 경우, 셋째, 과도한 출혈로 인해 심장수축이 감소되거나 서맥이 있는 경우, 넷째, 폐가 가스로 팽창되지 못하거나 산소 부족으로 폐동맥이 지속적으로 수축되어 폐혈류가 감소하여 전신에 산소공급이 차질을 빚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