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편마비 환자 교육
1.1. 편마비 환자 안전간호
편마비 환자 안전간호는 보호자(간병인)의 상주를 원칙으로 하며, 침상에 있을 때는 반드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필요한 물건은 침상 가까이 손 닿는 곳에 두어야 한다"이다. 또한 휠체어, 워커는 이동 시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바퀴를 고정시켜야 하며, 수면제, 이뇨제 등의 약물 복용 시에는 낙상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어지럽거나 기운이 없을 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이다.
1.2. ROM(Range of Motion) 운동
1.2.1. ROM이란?
ROM(Range of Motion)이란 관절이 아프지 않은 한도 내에서 위, 아래. 앞, 뒤, 옆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ROM 운동은 우리 몸에 관절이 있는 모든 곳(어깨, 팔꿈치, 팔목, 손, 손가락, 엉덩이, 무릎, 발목, 발, 발가락)을 견딜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운동을 말한다.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하여 관절 구축을 예방하고 근육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ROM 운동의 필요성
ROM 운동의 필요성은 수술 후 치유 중이거나, 부상, 통증이 있는 환자,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환자(마비,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류머티즘, 근육장애 등)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런 상태가 오래되면 운동 부족으로 근육이 줄어들어 근육 구축이 되고 기형적 신체 모습을 가지게 되어 나중에는 정신적으로도 악영향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다"" ROM 운동을 매일 해야 하는 이유는 몸의 기동성과 유연성을 길러줄 수 있고, 관절이 뻣뻣해지는 것과 통증도 줄여주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주고, 앉거나 서거나 움직일 때, 보다 쉽고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자세도 좋아지고, 결과적으로 욕창이나 근육 구축, 변비, 혈액 응고같이 와상생활에서 오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3. ROM 운동 방법
ROM 운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관절이 아프지 않은 한도 내에서 위, 아래, 앞, 뒤, 옆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 ROM 운동은 우리 몸에 관절이 있는 모든 곳(어깨, 팔꿈치, 팔목, 손, 손가락, 엉덩이, 무릎, 발목, 발, 발가락)을 견딜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ROM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수술 후 치유 중이거나, 부상, 통증이 있는 고객,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고객(마비,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류머티즘, 근육장애 등)의 경우 활동이 줄어들어 근육이 줄어들고 근육 구축이 되어 기형적 신체 모습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ROM 운동을 통해 몸의 기동성과 유연성을 길러주고, 관절이 뻣뻣해지는 것과 통증을 줄여주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앉거나 서거나 움직일 때 쉽고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고 자세도 좋아지며, 욕창이나 근육 구축, 변비, 혈액 응고같이 와상생활에서 오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ROM 운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받이가 있는 견고한 의자에 앉는다. 발가락과 발의 앞부분이 닿을 정도 높이의 의자에 앉도록 한다. 한쪽 다리를 발목을 구부린 채로 "2"까지 세며 무릎이 곧게 펴질 때까지 다리를 들어 올린다. 무릎이 곧게 펴진 상태에서 멈추어 1-2초간 유지한 후 천천히 발을 땅에 내려놓는다. 2-3초간 휴식 후 반복하여 시행한다. 이를 왼쪽 무릎에 5-15회, 우측 무릎에 5-15회 반복한다. 이것을 1세트로 하며, 1-2분간 휴식 후 다음 세트를 시행할 수 있다. 총 하루에 3-5회 시행할 수 있다.
1.3. 재활운동
1.3.1. 무릎펴기 운동
무릎펴기 운동은 편마비 환자의 재활운동 중 하나로, 무릎관절의 굴곡 능력을 개선하여 하지의 기능 향상을 돕는 운동이다. 이를 위해 등받이가 있는 견고한 의자에 앉아 한쪽 다리의 무릎을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받이가 있는 견고한 의자에 앉는다. 발가락과 발의 앞부분이 닿을 정도의 높이로 의자에 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