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법의 기능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법의 개념
2.1. 형식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2.2.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2.2.1. 협의의 사회복지법
2.2.2. 광의의 사회복지법
3. 사회복지법의 발전과정
3.1. 가족기능의 변화와 사회복지법
3.2. 자본주의와 사회문제
3.3.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변천
4. 사회복지법의 개인적·사회적 영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는 사회, 복지의 합성어로 복지는 불만이 없는 상태 혹은 만족할 만한 상태를 뜻한다. 이에 따라 복지는 안락하고 만족한 상태, 건강하고 번영한 상태를 의미하고 행복 추구에 대한 가치 이념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복지에 사회라는 말을 첨가한 사회복지는 어의적으로 사회적으로 행복한 생활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행복한 상태는 사회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인지 규정하기는 어렵다. 대상 범주 관점에서 보면 좁은 의미에서 사회복지는 제한된 사회적 약자,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정해 이루어지는 소극적인 개념이고 사회구성원 전체 복지를 정부, 사회가 책임을 지는 넓은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를 규정하는 사회복지법에 관해 형식적 의미와 실질적 의미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사회복지법의 개념
2.1. 형식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를 시행하기 위한 제도, 수혜자 권리, 의무 관계 등을 규정하는 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형식적인 의미에서 사회복지법은 외적 형식을 지닌 제반 법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독립적인 사회복지법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사회보장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 등과 관련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에서 규정하는 사회복지사업에 속하는 개별 법률이 형식적 의미에서의 사회복지법에 해당한다. 형식적 의미에서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법적이라는 외적인 형식을 지닌 성문 법규를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독일의 사회법전, 형법전, 민법전과 같은 형식의 총괄 법전은 없지만, 사회복지와 관련한 개별 실정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형식적 의미에서의 사회복지법으로 볼 수 있다.
2.2.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2.2.1. 협의의 사회복지법
협의의 사회복지법은 보충적, 소극적 사회복지에 관련한 법을 의미한다. 윌렌스키와 르보는 보충적인 개념에 따른 사회복지에 관한 법을 말했는데 사회복지의 보충적인 개념에서는 가족, 시장을 통해서 개인에 따른 욕구가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하고 가족, 시장 등과 같은 정상적인 공급구조가 자신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때만 사회복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협의의 사회복지법에서 사회복지의 대상은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한정하는데 가족, ...
참고 자료
강희갑 외,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0.
이중엽,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4.
오승종, 2019, 사회복지서비스법제에 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p.11~12
강동효, 2020,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법률복지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p.78~79
심상오, 사회복지법제론, 에듀파이터, 2019, p.27~28
남기민, 홍성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2020, 7판), 공동체.
박정연. 「민주화 이후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복지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사회권을 중심으로」, (2018),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