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지역사회보고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강동구지역사회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강동구 개관
2.1. 역사적 배경
2.2. 지리적 특성
2.3. 인구 현황
2.4. 행정 사항
2.5. 사회경제적 상태

3. 지역사회 특성
3.1. 지리적 특성
3.2. 인구학적 특성
3.3. 건강 수준
3.4. 환경 특성
3.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3.6. 오락·휴식
3.7. 지역사회자원

4. 지역사회 공공자원분석
4.1. 관공서
4.2. 학교
4.3. 의료기관
4.4. 지역사회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5. 지역사회에 대한 평가
5.1. 필요하거나 보완되어야 할 사회복지서비스 제안(문제점)
5.2. 해결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가장 작은 단위에서 가족부터 학교, 직장, 지역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평생을 사회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살아간다. 성장하면서 사회문화적인 영향력을 받는 것은 당연하며 우리나라는 특히나 성장환경에 있어 지역사회가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작게는 언어적인 부분에서 식습관, 가치관, 생활태도 등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지역적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가진 문제나 역사, 지역적 특성 등을 살피는 것은 개인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하며 지역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지역에 관한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론에서는 내가 살고 있는 서울시 강동구 지역을 소개하고 해결해야 할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는 데 기초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다.


2. 강동구 개관
2.1. 역사적 배경

강동구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강동구는 조선시대 때 광주군에 속해 있었다.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 언주면, 대왕면 일부와 함께 성동구에 편입되었다. 이때 성동구 내에 천호출장소와 송파출장소가 신설되었다. 1973년 7월 1일 송파출장소는 폐지되고 영동출장소가 새롭게 신설되었다. 이후 1975년 10월 1일 성동구의 인구가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분구가 불가피해 졌고, 대통령령에 의해 강남구가 분리 신설되었다. 당시 강남구의 관할구역은 현재의 송파, 강남, 서초, 강동 등 4개구를 모두 포함할 정도로 큰 규모였다.

이후 강남구의 계속적인 발전과 인구 증가로 1979년 10월 1일 천호출장소가 강동구로 승격 신설되면서 강동구 시대가 개막되었다. 1988년 1월 1일에는 강동구에서 송파구가 다시 분리 신설되었다. 한편 1988년 5월 1일에는 서울특별시 구단위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강동구는 자치입법권, 자치재정권 등을 갖는 자치단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처럼 강동구는 조선시대부터 광주군, 성동구 등 여러 변화를 거쳐왔으며, 1979년 강동구로 승격된 이후 송파구 분리와 함께 현재의 행정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1988년 구단위 자치제 실시로 강동구는 자치기능을 갖춘 자치단체가 되었다.


2.2. 지리적 특성

강동구는 서울시의 남동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에는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 구리시와 접해있다. 서쪽으로는 천호대교를 기점으로 광진구와 인접하고, 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강동대로를 중심으로 송파구와 이웃하고 있다. 강동구의 전체 면적은 24.58㎢로, 이 중 48.2%가 녹지지역이며 시 전체의 4.1%에 해당한다. 지질학적으로는 대부분의 기반암이 선(先)켐브리아기에 속한 경기 편마암 콤플렉스와 제4계에 속하는 홍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0~20m의 기복량이 적은 지역의 편마암류로 구성된 구릉지는 화학적 풍화작용이 진전되어 두께 5m이하의 적갈색 풍화산물 토양으로 형성되었다. 과거 강동구 지역에는 이러한 토양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벽돌공장이 산재하고 있었다. 또한 한강연안의 범람으로 형성된 고기하성층인 홍적층과 현 하천유로와 곡간에는 신기하성층이 퇴적되어 고덕천 연안 등에는 넓은 충적층을 이루고 있어 옛날부터 비옥한 밭농사와 논농사지역으로 이용되어 왔다. 아직도 일부 개발을 기다리고 있는 땅은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재배지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질적인 환경과 지형적 특색은 도시화 과정에서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역적 구조의 특생을 이루는데 반영되고 있는데, 중부고속도로의 시발점으로서 동부교통의 요충지가 되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2.3. 인구 현황

강동구의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강동구의 2022년 7월 기준 총 인구수는 461,774명이다. 이 중 남성 인구는 226,179명(48.9%), 여성 인구는 235,595명(51.1%)으로 여성 인구가 약간 더 많다. 연령별로는 30-49세가 144,784명(31.34%)으로 가장 많고, 50-64세가 109,040명(23.62%),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8,338명(16.59%)으로 그 뒤를 이었다.

노년부양비는 19.62%로 서울시 전체 20.49%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노령화지수는 127.13%로 서울시 143.11%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다. 특히 2018년부터 65세 이상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2021년 기준 독거노인은 남성 4...


참고 자료

2011 강동구 통계연보 (강동구청 홈페이지 http://www.gangdong.go.kr)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csrchief/40091748345
서울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한국사회복지관 협회 http://www.kaswc.or.kr/
2011 강동구 “행복한 세상” (지속가능보고서)
지은구, 지역사회실천론, 학지사, 2019, pp. 231~248.
강동구 제 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강동구, 2014, pp.15~359.
강동구보건소, 대사증후군 지침서
강동구보건소, 고지혈증 팜플렛
강동구 보건소 (https://www.gangdong.go.kr/health/site/main/home)
강동구청 주민등록인구현황 (https://www.gangdong.go.kr/post/41*************14ap=B1129&bbsId=1129)
걷기 마일리지, 서울정보소통광장 (https://opengov.seoul.go.kr/civilappeal/8447595)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18
국가비만관리 종합대책
대한비만학회 비만식사치료 (http://general.kosso.or.kr/html/)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흡연율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pblcVis/OverallSgg.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