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NA
-
CCNA요약
1,000원0원 -
[컴퓨터공학] CCNA (Enhanced IGRP)
1,000원0원 -
[국제공인자격증] 국제공인자격증
1,000원0원
생성
RIP와 CDP, IGRP 및 IPX RIP, IARP 등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은 각자 고유한 Update time과 Hold time 값을 가지고 있다. RIP는 30초마다 상태를 갱신하고 180초 동안 유지하며, CDP는 60초마다 상태를 갱신하고 180초 동안 유지한다. IGRP는 90초마다 갱신하고 있으며, IPX RIP와 SAP는 각각 60초, IARP는 60초, LMI는 10초마다 갱신한다."
RIP, IGRP, IPX RIP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한다. RIP는 홉 수(최대 15)를 기준으로 하는 클래스풀 프로토콜이며,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라우팅 업데이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IGRP는 대역폭, 지연 시간, 로딩, MTU, 신뢰도(최대 255) 등의 복합적인 지표를 활용한다. IPX RIP는 틱(약 1/18초)과 홉 수(최대 15)를 기준으로 한다."
IP 표준 액세스 리스트는 1~99번, IP 확장 액세스 리스트는 100~199번, IPX 표준 액세스 리스트는 800~899번, IPX 확장 액세스 리스트는 900~999번, SAP 필터는 1000~1099번의 번호를 사용한다."
표준 액세스 리스트는 소스 주소만을 검사하므로 목적지 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고, 확장 액세스 리스트는 소스 및 목적지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 등을 검사하므로 소스 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STP(Spanning-Tree Protocol, IEEE802.1d)는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를 2초마다 보내며, 브리지의 우선순위와 MAC 주소로 구성된 브리지 ID를 사용한다. 블록킹 포트 상태에서도 BPDU는 계속 수신할 수 있다. STP가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스톰, 멀티프레임 복사, MAC 데이터베이스 불안정, 멀티 루프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은, 브리지는 소프트웨어 기반이며 하나의 스패닝 트리를 사용하지만 최대 16개의 포트만 지원하는 반면, 스위치는 하드웨어 기반이며 여러 개의 스패닝 트리를 사용하고 더 많은 포트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커팅 스루(Cut-through) 방식은 목적지 주소를 체크하고 즉시 프레임 전송을 시작하며, 스토어 앤드 포워드(Store and forward) 방식은 전체 프레임을 수신하고 검사한 뒤 전송한다. 프래그먼트 프리(Fragment free) 방식은 처음 64바이트만 체크하고 즉시 전송을 시작하여 충돌 프레임을 걸러낼 수 있다."
전이중 모드는 점대점 통신에서만 지원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충돌 회피 회로가 비활성화된다. 반이중 스위치와 전이중 스위치 간 연결 시 지연 충돌 오류나 FCS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편집 키 조합으로는 Ctrl+A(행 시작), Ctrl+E(행 끝), Ctrl+B(한 문자 뒤로), Ctrl+F(한 문자 앞으로), Esc+B(단어 단위 뒤로), Esc+F(단어 단위 앞으로), Tab(명령어 자동 완성) 등이 있다."
"show cdp neighbors" 명령으로 볼 수 있는 정보에는 장치 ID, 로컬 인터페이스, 홀드타임, 장치 기능 코드, 하드웨어 플랫폼, 원격 포트 ID 등이 있으며, "show cdp entry" 명령으로는 장치 ID, 레이어3 프로토콜(IP 주소), 플랫폼, 기능, 원격 포트 ID, 홀드타임, IOS 버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루프 방지 기법에는 스플릿 수평선, 경로 독극, 포이즌 역방향, 홀드다운 타이머, 트리거 업데이트 등이 있다. PPP는 NCP(Network Control Protocol)로 다양한 프로토콜 패킷을 전송하고, LCP(Link Control Protocol)로 링크 옵션 및 인증(PAP, CHAP)을 설정한다. ISDN 관련 표준에는 E-시리즈, I-시리즈, Q-시리즈가 있다."
계층 모델은 접근 계층, 배포 계층, 핵심 계층으로 구성된다. 접근 계층은 종단 장비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지점, 배포 계층은 접근 계층 집계 지점으로 라우팅, 필터링,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도메인 관리, 미디어 변환, 보안 등을 수행하며, 핵심 계층은 고속 백본 연결만을 담당한다."
기본 관리 거리는 직접 연결 인터페이스 0, 고정 경로 1, EIGRP 90, IGRP 100, OSPF 110, RIP 120, 외부 EIGRP 170, 알 수 없음/불신뢰 255 등이다. IP 주소는 A 클래스 1~126, B 클래스 128~191, C 클래스 192~223, D 클래스 224~239이며, 사설 IP는 10.0.0.0, 172.16.0.0~172.31.0.0, 192.168.0.0 등이다."
포트 번호는 FTP 21, Telnet 23, SMTP 25, DNS 53, TFTP 69, SNMP 161, RIP 520 등이며, TCP는 6, UDP는 17을 사용한다. 홀드다운은 홀드다운 타이머 만료, 더 나은 메트릭의 새로운 경로 수신, 플러시 타이머로 경로 제거 등의 조건으로 발생한다."
ICMP 프로토콜에는 목적지 도달 불가, 에코(Ping) 응답 등이 있다. 프레임 릴레이의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은 초당 전송 가능한 최대 비트 수를 의미한다. 스텁 네트워크는 나가는 곳이 한 곳밖에 없는 네트워크다."
시스코 장비의 인캡슐레이션 유형에는 Ethernet_802.3, Ethernet_802.2, Ethernet_II, Ethernet_SNAP, Token_Ring, Token_ring_SNAP, FDDI_SNAP, FDDI_802.2, FDDI_Raw 등이 있다. GNS(Get Nearest Serv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에서 브로드캐스트하면 네트웨어 서버와 시스코 라우터가 응답한다."
ISDN 인터페이스는 TE1, NT2, NT1, TE2, TA로 구성된다. OSI 7계층은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으로 구성되며, 이를 계층화한 이유는 기능 세분화,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화를 통한 부분적인 오류 검사 등이다."
인터페이스는 up 상태지만 라인 프로토콜이 down인 경우 키핑얼라이브 없음, 클록 레이트 미설정, 인캡슐레이션 불일치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시스코 IOS를 탐색하는 순서는 구성 레지스터 확인, NVRAM 구성 파싱, 플래시의 첫 번째 파일 로딩, 네트워크 부팅 시도, RXBOOT(ROM), ROMMON(미니 IOS)의 순서이다."
RAM은 라우팅 테이블, 활성 구성 파일을, ROM은 부트스트랩, 서브넷 IOS를, 플래시는 IOS를, NVRAM은 백업 구성 파일을 저장한다. 스위칭 기능에는 주소 학습, 전달/필터링 결정, 루프 방지 등이 있다."
스위치의 구성 방식에는 메뉴, VSM(Virtual Switch Manager), CLI 등이 있다. 주소 위반 시 동작으로는 무시, 포트 shutdown, 일시적 중지(suspend) 등이 있다. VLAN 멤버십 모드에는 정적 모드와 동적 모드(VMPS 서버 사용)가 있다."
라우터와 브리지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라우터는 관리성, 흐름 제어, 다중 활성 경로, 패킷 수명 제어 등의 장점이 있고, 브리지는 관리성, 신뢰성, 확장성 등의 장점이 있다."
라우터 명령어에는 호스트 이름 설정, 배너 메시지 설정, 콘솔 포트 구성, 세션 타임아웃 방지, 동기화된 콘솔 출력 등이 있다. 스위치 명령어에는 포트 듀플렉스 설정, MAC 주소 테이블 관리, 포트 보안 설정 등이 있다."
참조한 문서의 document index는 [1]이다.
Update time & Hold time은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경우 Update time은 30초, Hold time은 180초이다. CDP(Cisco Discovery Protocol)의 경우 Update time은 60초, Hold time은 180초이다.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의 경우 Update time은 90초이며, IPX RIP의 경우 Update time은 60초, SAP(Service Advertising Protocol)의 경우 Update time도 60초이다. IARP(IntraAS Routing Protocol)의 경우 Update time은 60초이며, LMI(Local Management Interface)의 경우 Update time은 10초이다.
이처럼 각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자신의 특성에 맞게 Update time과 Hold time을 설정하고 있다. Update time은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는 시간 간격을, Hold time은 이웃 라우터로부터 갱신 정보를 받지 못할 경우 이를 판단하는 기준 시간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라우팅 정보 관리와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간의 경로를 결정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는 홉 수(Hop count)를 기반으로 한 클래스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하고 있으며, 라우팅 업데이트 시 서브넷 마스크를 전송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둘째,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는 대역폭, 지연 시간, 로딩, MTU, 신뢰도 등 다양한 메트릭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IGRP는 최대 255의 메트릭 값을 가질 수 있다.""
셋째, IPX RIP(IPX Routing Information Protocol)는 틱(Tick)과 홉 수(Hop count)를 기반으로 한다. IPX RIP는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하고 있다.""
Access List Number는 Cisco IOS에서 IP 및 IPX 액세스 목록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이다.
IP Access List Number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IP Standard Access List: 1-99
- IP Extended Access List: 100-199
IPX Access List Number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IPX Standard Access List: 800-899
- IPX Extended Access List: 900-999
또한 SAP(Service Advertising Protocol) 필터에 사용되는 Access List Number는 1000-1099 범위이다.
이처럼 다양한 범위의 Access List Number를 사용하여 IP 및 IPX 프로토콜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 및 트래픽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ess List는 Cisco IOS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네트워크 보안 기능 중 하나이다. Access List는 소스 및 목적지 주소, 프로토콜, 포트 번호 등 다양한 조건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필터링할 수 있다.
Standard Access List는 소스 주소만을 기반으로 하므로 대상지에 가까운 곳에 배치해야 한다. 반면 Extended Access List는 소스, 목적지 주소와 프로토콜, 포트 번호 등을 모두 고려하므로 소스에 가까운 곳에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Access List Number 지정 시 IP와 IPX, 표준과 확장 등 프로토콜과 기능에 따라 적절한 번호 범위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유연한 액세스 제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Spanning-Tree Protocol(STP, IEEE802.1d)은 이더넷 브리지 네트워크에서 브리징 루프(Bridging Loop)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브리징 루프는 데이터 프레임이 무한히 순환하며 스위치와 브리지에서 MAC 주소 테이블이 불안정해지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STP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소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고 유지하여 브리징 루프를 방지한다.
STP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STP는 BPDU라는 멀티캐스트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관리한다. BPDU에는 브리지 ID, 포트 ID, 경로 비용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2. 브리지 ID: 브리지 ID는 브리지 우선순위와 MAC 주소로 구성되며, 브리지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3. 포트 상태: STP에서 포트는 Blocking, Listening, Learning, Forwarding의 4가지 상태를 가진다. 포트는 토폴로지 변경 시 이러한 상태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최종적으로 Forwarding 상태에 이른다.
4. 루트 브리지: STP는 네트워크 내에서 루트 브리지를 선출한다. 루트 브리지는 브리지 ID가 가장 작은 브리지로,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한다.
5. 경로 비용: 각 포트는 링크 속도에 따라 경로 비용이 부여되며, STP는 경로 비용이 가장 낮은 경로를 선택한다.
6. 타이머: STP는 BPDU 전송 간격, 브리지 및 포트 상태 변경 지연 시간 등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타이머를 사용한다.
이러한 STP의 동작을 통해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최소 스패닝 트리 형태로 구성되며, 브리징 루프가 방지된다. 이는 네트워크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Bridge와 Switch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Bridge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장비로 1개의 스패닝 트리가 존재하지만, Switch는 하드웨어 기반의 장비로 1개 이상의 스패닝 트리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Bridge는 최대 16개의 포트를 가지지만, Switch는 더 많은 포트를 가질 수 있다.
Bridge는 운영이 복잡하지만, Switch는 성능이 우수하고 간단하게 운영할 수 있다. 또한 Bridge는 MAC 주소를 학습하여 포워딩을 결정하지만, Switch는 고속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여 포워딩을 결정한다.
요약하면, Bridge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저성능 장비이고 Switch는 하드웨어 기반의 고성능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스위칭 방식(Switching Method)은 스위치가 프레임을 전달하는 방식을 말하며,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컷-스루(Cut-through)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스위치가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바로 전달하기 시작한다. 즉, 프레임의 전체를 대기 없이 바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프레임의 오류 확인은 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오류 프레임이 전달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스토어-앤드-포워드(Store-and-forward)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스위치가 프레임 전체를 받은 후 오류를 확인하고 전달한다. 이에 따라 지연 시간이 증가하지만 오류 프레임을 걸러내 정확한 프레임 전달이 가능하다.
셋째, 프래그먼트-프리(Fragment-free) 방식이다. 이 방식은 컷-스루 방식과 스토어-앤드-포워드 방식의 절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스위치가 프레임의 처음 64바이트를 확인하고 전달을 시작한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충돌 프레임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동시에 빠른 프레임 전달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방식은 전송 속도와 데이터 무결성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황에 따라 빠른 속도가 중요한 경우에는 컷-스루 방식을, 데이터 정확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스토어-앤드-포워드 방식을, 그리고 두 가지 요구사항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경우에는 프래그먼트-프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Full duplex는 점대점 연결에서만 지원되며, 양쪽 끝단 모두 full duplex를 지원해야 한다.""
Full duplex는 충돌 없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점대점 연결에서만 가능하며,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full duplex를 지원해야 한다. Full duplex를 사용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두 배로 늘어나고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다.""
Full duple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1) 점대점 연결: Full duplex는 스위치와 호스트 간의 연결과 같은 점대점 연결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공유 매체와 같은 멀티액세스 연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 양측 지원: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full duplex를 지원해야 한다. 한 쪽만 full duplex를 지원하면 결국 절반 이중(half duplex)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Full duplex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충돌 방지: Full duplex에서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전송 속도 향상: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이론상 전송 속도가 두 배로 증가한다.""
3) 사용 효율 증가: 네트워크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full duplex는 점대점 연결에서 충돌 없이 높은 전송 속도와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Duplex Mismatches는 스위치와 노드 간의 통신 방식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이다.
스위치와 노드간의 통신 방식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반이중(Half Duplex)과 전이중(Full Duplex)이다. 반이중 방식은 노드와 스위치가 번갈아가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고, 전이중 방식은 노드와 스위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다.
만약 노드가 반이중 방식이고 스위치가 전이중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노드와 스위치 간에 데이터 충돌(late collision)이 발생한다. 이 경우 스위치는 데이터를 보내고 있는데 노드가 데이터를 보내려 하면서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로 인해 FCS(Frame Check Sequence) 에러가 발생한다.
반대로 노드가 전이중 방식이고 스위치가 반이중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노드와 스위치 간의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FCS 에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스위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반이중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드가 보낸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고 FCS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와 노드 간의 통신 방식이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터 충돌이나 FCS 에러가 발생하게 되므로, 스위치와 노드의 통신 방식을 일치시켜야 한다.
Editing key는 Cisco IOS의 명령줄 편집 기능에 대한 것이다.""
Ctrl+A: 행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한다.
Ctrl+E: 행의 끝 부분으로 이동한다.
Ctrl+B: 한 문자씩 뒤로 이동한다.
Ctrl+F: 한 문자씩 앞으로 이동한다.
Esc+B: 한 단어씩 뒤로 이동한다.
Esc+F: 한 단어씩 앞으로 이동한다.
Tab: 부분적으로 입력된 명령어를 완성한다.Cisco IOS의 명령줄 편집 기능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더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Ctrl+A와 Ctrl+E를 사용하면 행의 시작과 끝 부분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Ctrl+B와 Ctrl+F로 한 문자씩, Esc+B와 Esc+F로 한 단어씩 이동할 수 있다. Tab 키를 누르면 부분적으로 입력된 명령어를 완성시켜준다. 이러한 편집 기능들은 사용자가 Cisco 라우터나 스위치를 운영할 때 명령어 입력 속도와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Cisco IOS에서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편집 키 조합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명령어를 입력할 때 Ctrl+E로 행 끝으로 이동한 뒤 Backspace를 눌러 지우고 새로 입력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또한 이미 입력한 명령어를 수정할 때는 Ctrl+B나 Esc+B로 이동한 뒤 편집하면 된다. Tab 키를 이용하면 부분적으로 입력한 명령어나 키워드를 자동으로 완성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이처럼 Editing key 기능은 Cisco IOS 사용자의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을 크게 높여준다.""
'show cdp neighbors' 명령은 Cisco 장비 간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로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원격 장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how cdp neighbors' 명령어의 출력 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Device ID: 원격 장비의 이름
- Local Intf: 로컬 인터페이스 이름
- Hold Time: 원격 장비로부터 수신한 마지막 CDP 패킷의 보유 시간(초)
- Capability: 원격 장비의 기능 코드
- Platform: 원격 장비의 하드웨어 플랫폼
- Port ID: 원격 장비의 포트 ID
이를 통해 로컬 장비와 연결된 원격 장비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토폴로지 파악, 장비 정보 확인, 연결 문제 해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show cdp entry 명령은 특정 Cisco Discovery Protocol(CDP) 장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장비의 장치 ID, 레이어 3 프로토콜 주소, 플랫폼, 기능, 원격 포트 ID, 보류 시간, IOS 버전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how cdp entry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다:
device-id: Switch1
entry address(es):
IP address: 172.16.10.1
platform: cisco WS-C2950-12
capabilities: Switch IGMP
interface: GigabitEthernet0/1
port id: Fa0/1
Holdtime : 174 sec
Version :
Cisco 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Software
IOS (tm) C2950 Software (C2950-I6Q4L2-M), Version 12.1(22)EA8a, RELEASE SOFTWARE (fc1)
Copyright (c) 1986-2005 by cisco Systems, Inc.
Compiled Fri 25-Feb-05 15:54 by antonino
이 출력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명령은 CDP를 통해 수집한 연결된 장비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장비의 호스트 이름, IP 주소, 플랫폼 정보, 기능, 연결된 인터페이스, 보류 시간, IOS 버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연결된 장비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 해결 및 장비 관리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CDP 정보를 통해 문제가 있는 포트를 신속히 찾아내거나, 장비 업그레이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첫째, 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기법이다. 스플릿 호라이즌은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그 정보가 들어왔던 경로를 통해 다시 보내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즉, 라우터는 정보를 받아온 경로로 다시 그 정보를 보내지 않는다. 이를 통해 루프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라우트 포이즈닝(Route Poisoning) 기법이다. 라우트 포이즈닝은 다운된 라우터의 거리 정보를 무한대로 설정하여 해당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다운된 라우터로 가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셋째, 포이즌 리버스(Poison Reverse) 기법이다. 포이즌 리버스는 스플릿 호라이즌 기법을 보완한 것으로, 라우터가 정보를 받아온 경로로 다시 그 정보를 보내지만 해당 경로의 거리 정보를 무한대로 설정하여 해당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넷째, 홀드다운 타이머(Holddown Timers) 기법이다. 홀드다운 타이머는 라우팅 테이블이 변경된 후 일정 시간 동안 해당 경로 정보를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경로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트리거드 업데이트(Triggered Updates) 기법이다. 트리거드 업데이트는 라우팅 테이블이 변경되면 즉시 해당 정보를 이웃 라우터에게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신속한 경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루프 방지 기법을 통해 라우팅 프로토콜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PPP(Point-to-Point Protocol)는 두 개의 직접 연결된 장치 간 데이터 링크 계층 통신 프로토콜이다. PPP는 직렬 회선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PPP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NCP(Network Control Protocol)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 스위트(예: IP, IPX, AppleTalk)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둘째, LCP(Link Control Protocol)는 링크 옵션 설정,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LCP는 PPP 링크 구성 및 구성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