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아 발달 관찰 평가
1.1. 기본생활
1.1.1. 식사
영아는 성장에 따라 점차 식사 능력이 향상되어 갑니다. 처음에는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식사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OO는 식사 도구인 숟가락과 포크를 사용하여 스스로 식사하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채소를 먹어보려 하며, 먹은 후에는 교사에게 "선생님 나 먹었어"라고 말하며 칭찬의 의사 표현을 하는 등 식사에 점점 능숙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영아의 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OO는 집에서는 여전히 채소를 먹으려 하지 않지만, 어린이집에서는 선생님의 칭찬으로 인해 채소를 먹어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영아의 식습관 형성에는 가정과 어린이집의 협력이 중요한데, 가정에서도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통해 바람직한 식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입니다.
영아기 식사 지도 시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영아의 발달 수준에 맞춰 식사 도구 사용법을 단계적으로 지도해야 합니다. 둘째, 편식을 극복할 수 있도록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해야 합니다. 셋째, 식사 시간을 편안하고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넷째, 가정과 어린이집이 협력하여 일관된 지도를 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영아는 점차 스스로 즐겁게 식사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1.1.2. 배변
배변에 대한 관찰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서에 따르면, OO는 배변에 대한 몸짓이나 어떤 표현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교사가 파악하고 기저귀갈이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집에서도 아직 기저귀 갈이에 대해 표현하지 않고 있으며, 냄새로 확인하여 갈아주고 있다고 한다.
두 번째 문서에서는 OO가 화장실에 가는 표현을 정확히 하지는 못하지만, 배변 시간에 친구들과 화장실에 가서 스스로 기저귀와 바지를 내리고 배변을 하려고 한다고 한다. 화장실 변기에서 배변하기는 아직 어려워하는 모습이다.
세 번째 문서에는 OO가 가끔 화장실로 가겠다고 표현하고, 변기에 앉아보기도 하지만 조금씩 시도하다 보면 기저귀를 뗄 수 있을 것 같다고 기록되어 있다. 집에서도 가끔 화장실에서 배변을 하고 있다고 한다.
네 번째 문서에서는 OO가 교사의 물음에 반응하여 화장실을 가곤 한다고 한다. 기저귀를 떼고 팬티를 입으며 스스로 배변활동 표현을 정확히 한다고 한다.
마지막 문서에는 OO가 스스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주로 바깥놀이 시간, 식사 시간, 수면 시간 전후로 교사의 물음에 반응하여 화장실을 다녀온다고 기록되어 있다.
종합해 보면, OO는 배변에 대한 표현을 정확히 하지 못하는 편이지만, 교사의 지도와 함께 점차 배변 활동을 스스로 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정에서는 여전히 기저귀 사용이 많지만, 어린이집에서는 배변 활동에 점차 관심을 보이며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3. 수면
원에서도 눕혀주면 거의 바로 잠이 들며 낮잠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자고 일어난다"이다. 집에서도 잘 시간임을 알리고 눕혀주면 바로 잠에 든다고 한다. 그러나 밤에는 오래 자지 않고 새벽 일찍 일어난다"고 한다.
아동의 수면 패턴을 살펴보면, 어린이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