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칭 간호학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1.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필요한 이유
1.2. 간호사를 임파워링하는 구체적 방법
2. 감성지능 자기진단
2.1. 감성지능의 5가지 요소
2.2. 자신의 감성지능 진단 및 특성 분석
3. 간호사의 리더십 사례
3.1. 김희걸 간호정우회장
3.2. 김장언 수간호사
3.3. 김수지 박사
3.4. 김현아 간호사
3.5.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1.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필요한 이유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가 결단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응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며,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결단력이 부족한 간호사는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저하시킬 수 있다.
둘째, 의료기술의 발전과 질병의 복잡성에 대응하기 위해 간호사에게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의료기술의 발전, 질병의 복잡한 변화와 수명 연장, 인구의 노령화, 환자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지면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범주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가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간호사는 환자를 배려하고 봉사하는 마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의료관련 전문지식과 실무를 갖추는 것만으로는 간호사가 될 수 없으며, 환자에 대한 배려와 봉사정신, 응급상황 시 빠른 대처 능력 등이 중요하다.
종합하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는 간호업무의 질적 향상과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간호사의 결단력, 전문성, 봉사 정신 등이 강화될 때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실현될 수 있다.
1.2. 간호사를 임파워링하는 구체적 방법
간호사를 임파워링하는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다양한 변화활동에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임파워먼트는 권력은 나눌수록 커진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를 권력의 공유 과정으로 보고 간호사의 적극적 참여 유도를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서로를 지원하고 격려해주는 문화를 조성하고 참여 관리제도 등을 도입하여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은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조직의 의사결정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되어 자율성과 책임감이 높아질 수 있다.
둘째,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보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간호조직을 혁신하는데 필요한 활동을 수행 할 수 있는 실질적 권한과 힘을 간호사들에게 실어주여야 하며 창의성과 적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분위기를 조성하고, 변화시도의 과정이나 결과에서 나타난 간호사의 실수를 처벌하기 보다는 실수로부터 무엇을 배웠는가를 중시하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이 두려움 없이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게 되어 조직혁신과 발전을 주도할 수 있다.
셋째, 간호사에게 권한을 부여함과 동시에 책임을 부여해주어야 한다. 권한과 책임이 동행할 때 간호사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무성과 주인의식을 갖게 된다.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중요한 의사결정과 자율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은 자신의 역량을 믿고 발휘할 수 있게 되며, 결과에 대한 책임감도 가지게 된다.
2. 감성지능 자기진단
2.1. 감성지능의 5가지 요소
감성지능의 5가지 요소는 "자기 감정의 인식", "자기 감정의 관리",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타인 감정의 인식" 그리고 "대인관계 관리"이다.
첫째, "자기 감정의 인식"이란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는 자신의 내적 상태, 선호, 자원, 직관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사람은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감정을 잘 다룰 수 있게 된다.
둘째, "자기 감정의 관리"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충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이는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고 자신의 감정을 건전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자기 감정을 잘 관리하는 사람은 상황에 적합한 감정반응을 보이며 감정에 휩싸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셋째,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은 자신의 감정을 목표달성이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는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그것을 적절히 표현하며 자...
참고 자료
백기복(1998). 조직행동연구. 법문사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영학과 자치회(1992). 경영학 자료집
유영옥(1997). 행정조직론. 학문사
이병숙 외 (2008). 간호관리학. 정담미디어
이상욱(2007). 현대조직의 리더십적용. 시그마프레스
정면숙 외(2014). 간호관리학. 현문사
이상미,고문희 외(2022) 간호지도자론.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학술논문. 인공신장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계. 2011
학술논문.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수생에 미치는 영향. 2022. 유순미
https://psychologynews.tistory.com/entry . 심리학뉴스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567
이용권,“김장언‘명감보다 재밌겠다 싶어 선택……아직 男간호사 영역 개척중’”, 문화일보, 2014.07.2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4072301033527163007
김수지(2013). 사랑의 돌봄은 기적을 만든다. 비전과 리더십
채널예스인터뷰(글 신연선), “김현아 ‘환자를 살리고 싶다면, 간호사가 살아야 한다.’”, 18.10.20., http://ch.yes24.com/Article/View/36365
tank manual nursing management 간호관리학 퍼시픽 학술 편찬국 (2017)
염영희 외 공저,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경기도 파주(2017)
간호사의 셀프 리더십 수준이 개인과 팀의 직무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2016) 김세영,김은경, 김병수, 이은표
리더십의 조직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단순 최소자승 모형과 순위 프로빗 모형의 비교 (2015) 정호준, 김도형, 오정일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학습이론”, 18.10.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659&cid=40942&categoryId=3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