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융합과학 평가 계획
1.1. 평가의 목적
'융합과학'의 평가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의 핵심 개념 이해와 과학적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 역량을 균형 있게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의 특성, 학생의 수준, 교재의 준비 상황 등을 고려하여 실험, 토의,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과학의 본성과 첨단 과학기술 등을 적절히 지도하여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1.2. 평가의 방향과 방침
'융합과학'에서는 과학의 핵심 개념의 이해, 과학의 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과학과 핵심 역량 등을 균형 있게 평가하며, 특히 다음 사항에 주안점을 둔다."이다.
첫째, '융합과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둘째,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과 같은 과학과 핵심 역량을 평가한다."
셋째, 과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과학 학습 참여의 적극성, 협동성,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 창의성 등을 평가한다."
넷째, 평가는 선다형, 서술형 및 논술형, 관찰, 보고서 검토, 실기 검사, 면담, 포트폴리오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다섯째, 평가는 창의 융합적 문제 해결력 및 인성과 감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소재나 상황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활용한다."
여섯째, 평가는 개별 평가와 더불어 협동심을 함양하기 위한 모둠 평가를 한다."
일곱째,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평가가 될 수 있도록 가능하면 공동으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한다."
여덟째, 평가는 설정된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학습 지도 계획 수립과 지도 방법 개선, 진로지도 등에 활용한다."
아홉째, 평가는 평가 계획 수립, 평가 문항과 도구 개발, 평가의 시행, 평가 결과의 처리, 평가 결과의 활용 등의 절차를 거쳐 실시한다."
1.3. 평가 유의 사항
지필평가는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력을 평가하며,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평가한다""수행평가는 개별 탐구, 협동학습, 자기 주도 학습(포트폴리오), 교사 관찰 평가, 자기 성찰 평가, 동료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과학과 핵심 개념을 활용·구현하는 핵심 역량을 평가한다""
1.4. 평가의 종류와 반영 비율
평가의 종류와 반영 비율은 다음과 같다""
평가 종류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구성되며, 지필평가가 40%, 수행평가가 60%의 비율로 반영된다.
지필평가는 2회에 걸쳐 실시되며, 1차 지필평가와 2차 지필평가가 각각 40%씩 반영된다. 지필평가는 선택형 문항이 70% 이하, 서답형 문항이 30% 이상으로 구성된다.
수행평가는 "과학과 생활 탐구"와 "과학 기사 작성"의 2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 영역이 30%씩 반영되어 총 60%의 비율로 평가에 반영된다.
이처럼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병행하여 균형있게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1.5. 수행평가 영역별 출제 계획 및 채점 기준
1.5.1. 과학과 생활 탐구
'과학과 생활 탐구'는 학생들이 학습한 융합과학의 핵심 개념을 실생활과 연결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행평가 영역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구체적인 평가 계획을 살펴보면, 먼저 학생들은 주제를 선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주제 선정 시 학습한 성취기준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선정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선정한 주제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원리와 출처를 제시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