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회로 내에서 전하를 충·방전하는 축전기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회로 내에서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때 저항과 전기용량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축전기의 충·방전 과정에서 전하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여, 이론적으로 알려진 축전기의 충·방전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기본 원리 및 이론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에 대한 기본 원리 및 이론은 다음과 같다.
축전기의 충전 과정에서 회로에 걸리는 전압은 V=IR-q/C의 관계를 따른다. 여기서 I는 회로에 흐르는 전류, R은 저항, C는 축전기의 전기용량, q는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을 나타낸다. 이를 미분하면 dq/dt = (V-q/C)/R이 된다. 이 식을 적분하면 q = C(1-e^(-t/RC))의 충전 특성 함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RC는 시간상수를 의미한다.
충전 과정에서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 q와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충전 전압 V_c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가 점차 V에 접근하는 지수함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는 초기에 크다가 점차 줄어들어 0에 수렴하는 지수함수 형태로 변화한다.
축전기의 방전 과정에서는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가 저항을 통해 방전되면서 전압과 전류가 변화한다. 방전 과정에서도 V=IR-q/C의 관계가 성립하며, 이를 미분하면 dq/dt = -q/RC가 된다. 이 식을 적분하면 q = Q*e^(-t/RC)의 방전 특성 함수를 얻을 수 있다.
방전 과정에서 축전기의 전압 V_c와 회로의 전류 I는 초기에 크다가 점차 0에 수렴하는 지수함수 형태로 변화한다. 특히 RC 시간상수는 축전기의 전압이 초기 전압의 36.8%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과정은 RC 회로의 고유한 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저항과 전기용량의 값에 따라 충전 및 방전 특성이 달라진다.
2. 실험 결과
2.1. 실험 데이터
2.1.1. 실험 1
실험 1은 저항이 100kΩ, 축전기가 100μF로 구성된 RC 충전 회로 실험이다. 이 경우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축전기의 충전 시 전위차(V_c)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가 점차 포화되어 최종 전압 4.40V에 도달하였다. 이론적으로 계산한 최종 전압은 4.55V이므로 실험값과의 오차율은 3.39%이다.
축전기 충전 시 시간상수(τ_c)는 실험값이 8.80초, 이론값이 9.09초로 계산되어 오차율이 3.20%였다.
방전 시에는 축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