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목재해부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1.01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목재해부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목재 유물의 보존
1.1. 목재의 특성
1.1.1. 나무의 구조
1.1.2. 해부학적 특징
1.1.3. 화학적 특징
1.2. 목재 유물의 종류
1.2.1. 일상생활 필수품
1.2.2. 칠공예품
1.3. 목재 유물에 사용된 재료
1.3.1. 오동나무
1.3.2. 소나무
1.3.3. 느티나무
1.3.4. 먹감나무
1.4. 손상 원인
1.4.1. 생물학적 열화
1.4.2. 비생물학적 열화
1.5. 보존 처리 방법
1.5.1. 건조 목재의 보존 처리
1.5.2. 수침 목재의 보존 처리
1.6. 보존 환경
1.7. 보존 처리 사례
1.7.1. 목재 방망이 (PEG 함침법)
1.7.2. 손잡이 칼 (Cethyl Alcohol을 이용한 고급알콜법)

2. 수목의 연령 측정 및 수목의 수고, 흉고직경, 둘레와의 상관관계 분석
2.1. 나이테
2.1.1. 수목의 비대생장에 의한 나이테 형성
2.1.2. 수목 연령(나무의 나이) 측정 방법
2.2. 선정 수종의 생태 및 분류학적 접근
2.2.1. 리기다소나무
2.2.2. 해송
2.2.3. 히말라야시다

3. 식물의 줄기와 잎 구조 관찰
3.1. 줄기의 내부 구조
3.2. 잎의 내부 구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목재 유물의 보존
1.1. 목재의 특성
1.1.1. 나무의 구조

나무의 구조는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할 수 있다"" 침엽수는 가늘고 길쭉한 잎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육송, 비자나무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활엽수는 손바닥 모양의 넓은 잎을 가지고 있으며, 밤나무, 참나무, 느티나무, 떡갈나무, 오동나무 등이 대표적이다""

침엽수의 목질은 연하여 연목재라 불리고, 활엽수의 목질은 단단하여 경목재라 불린다"" 침엽수는 나뭇결이 곧고 질겨서 건축이나 토목 시설의 구조재로 많이 사용되며, 활엽수는 무늬가 있어 가구 또는 건축물의 내장재로 많이 사용된다"" 침엽수는 벌목 후 건조가 빠른 반면, 활엽수는 건조에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 침엽수의 목질은 두꺼운 세포벽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활엽수의 내부는 그렇지 않다""이처럼 나무의 구조는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나무는 선사시대부터 인류에게 중요한 자원이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도구와 예술품 제작에 활용되어 왔다"" 따라서 나무의 구조에 대한 이해는 목재 유물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1.1.2. 해부학적 특징

나무의 해부학적 특징은 매우 다양하다. 먼저 나이테(Annual ring)를 들 수 있다. 나무의 목질부에는 수심을 둘러싼 동심원이 있는데, 이것을 나이테라고 한다. 나이테는 춘재와 추재가 1년을 통하여 반복되어 수심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만든다. 춘재(春材)는 봄철부터 여름철까지 형성되는 목질의 부분으로, 세포의 크기가 크고 세포막이 얇으며, 세포 내강이 크기 때문에 다공성을 나타낸다. 춘재는 조직이 가볍고 색깔이 연하며, 생장기의 초기에 자란다는 뜻으로 조재라 부르기도 한다. 추재(秋材)는 초여름 이후부터 자란 세포로, 크기가 작고 세포막이 두꺼우며 세포 내강이 작고 조직이 치밀하여 색깔이 진하다. 추재는 초여름 이후부터 자란 것으로 만재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을에는 제대로 생장하지 못하는데 일종의 월동 준비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목질부(Xylem)도 중요한 해부학적 특징이다.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수심 주위의 목질부는 짙은 색깔을 띠게 되는데 이를 심재라 하며 껍질에 가까운 목질부는 옅은 색깔을 띠게 되는데 이를 변재라 한다. 변재는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양분을 저장하고 물과, 물에 녹아 있는 무기염류를 나무 꼭대기로 통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심재는 수액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대부분이 세포의 성장이 멈춘 죽은 세포이다. 대체로 심재는 변재보다 색이 진하며 내구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수피(Bark)는 내피(Inner Bark)와 외피(Outer Bark)로 구성된다. 내피는 수액이나 영양분이 옮겨다니는 세포가 있고, 외피는 바깥쪽 껍질이다.

이처럼 나무의 해부학적 특징은 나이테, 목질부, 수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중요한 구조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1.1.3. 화학적 특징

목재는 화학적으로는 셀룰로스(Cellulose), 헤미셀룰로스 및 리그닌(lignin)으로 구성된 고분다 화합물이 복잡하게 이루어진 층상구조를 갖는 생체 재료(Biomaterial)이다. 목재의 세포벽은 이들 고분자 화합물로 90-98% 구성돼 있으며, 나머지 2-10%는 소위 추출물이라는 저분자 화합물로 되어 있다.

셀룰로스(Cellulose)는 자연계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기화합물로 섬유소라고도 한다. 식물 세포벽의 기본구조이며, 모든 식물성 물질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식물의 세포막과 목질부를 이루고 있는 주성분이다.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는 셀룰로스와 같은 다당류이지만, 셀룰로스와는 달리 다양한 당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침엽수와 활엽수재에 따라 그 구성 성분과 양의 차이가 있다. 주로 뿌리·뿌리줄기·씨·열매의 세포를 이룬다.

리그닌(lignin)은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와 함께 목재의 실질(實質)을 이루고 있는 성분이다. 리그닌의 함량은 목재의 채취 부위가 상부로 갈수록 적어지고 심재부(心材部)가 변재부(邊材部)보다 많으며, 추재부(秋材部)가 춘재부(春材部)보다 많다. 리그닌의 발색반응(發色反應)은 목질화의 진행 상태 및 침엽수와 활엽수의 식별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1.2. 목재 유물의 종류
1.2.1. 일상생활 필수품

우리 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으로 사용되었던 다양한 목재 유물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목재 유물로는 장, 궤, 함, 농, 경대 등의 가구류와 농기구, 실패, 자, 빈짇고리, 참빗, 부채, 보석함 등의 생활용품, 그리고 가야금, 거문고 등의 악기류, 인장, 문방구, 목간, 사찰에서 사용되는 불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우리 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했던 다양한 물품들을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었는데, 이는 나무가 쉽게 구할 수 있고 가공하기 용이하며 탄력성과 질감이 좋은 등의 장점 때문이다. 이러한 목재 유물들은 선인들의 생활상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우수한 목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1.2.2. 칠공예품

칠공예품은 나무로 기물을 조형한 다음에 그 표면에 옻나무에서 나오는 즙인 옻칠을 바른 것을 말한다. 옻은 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목공예품의 표면 처리에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칠에다 조개껍질, 회 등 여러 가지 물질들을 섞어서 투명도와 색깔을 조절하기도 한다.

나전칠기는 칠기에 자개를 박아 장식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자개는 전복껍질을 최상품으로 치고, 거북의 등껍질이나 상어껍질을 대용하기도 한다. 자개는 빛을 반사하여 아름다운 무늬를 나타내기 때문에 칠기 표면을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화각은 쇠뿔을 가지고 얇은 투명판을 만들어 그 안쪽에다 채색의 그림을 그려서 목공예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각은 투명하고 아름다운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처럼 칠공예품은 나무에 옻칠을 바르거나 자개, 화각 등을 이용하여 아름답고 실용적인 공예품을 만드는 기법이다. 옻칠을 통해 내구성과 내수성을 높이고, 자개와 화각으로 시각적 아름다움을 더함으로써 전통 공예품의 가치를 높였다.


1.3. 목재 유물에 사용된 재료
1.3.1. 오동나무

오동나무는 종이나 의복 등 습기에 약한 물품들을 보관하는 데 적합한 나무이다. 이는 오동나무의 비중이 낮으면서도 미세조직이 고르고 균일하게 배열되어 습도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관재를 얇게 켜도 쉽게 부서지지 않고 가벼우며, 광택이 없어 선비들의 청빈겸약 정신에 잘 맞는 검소한 분위기를 추구하는 사랑방용품 재질로 적당하다. 넓은 관재로는 장·농·함·거문고 등을 만들며, 좋은 무늬결의 관재는 사랑방용품인 장·책장·문갑의 복판재, 필통·지통·연상·상자·함 등의 문방가구에 사용된다.


1.3.2. 소나무

소나무는 한옥의 기둥에서부터 실내가구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수종이다. 나뭇결이 고우며 기름칠을 하지 않아도 윤기가 난다. 또한 습기에 강하...


참고 자료

구자봉·정영동,『문화재의 발굴과 보존처리』, 춘추각,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동산문화재의 보존과 관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김익주,『목재 문화재의 보존과 관리』,「보존과학기초연수교육」,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출토유물과 보존과학의 만남』,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6.
김윤수 외,『목재보존과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4.
김주삼,『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책세상, 2001.
서정호,『문화재를 위한 방법론』, 경인문화사, 2008.
이내옥,『문화재 다루기』, 로얄프로세스, 2000.
최광남,『문화재의 과학적 보존』, 대원사, 1991.
박원규•서정욱, 2000, 파이토그램을 이용한 월악산 기후요소, 토양환경 및 수목생장 장시간 모니터링, The Korean Jounal of Quaternary Research
박원규•김요정, 2005, 나무 나이테를 이용한 고가구의 재질과 연대분석, 한국가구학회
신현철•이창석, 리기다소나무 조림지에서 확인된 생태적 복원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한상억 외 4명, 2007, 해송 수형목 풍매차대의 수고, 직경, 재적생장에 대한 유전력 및 개량효과, Korean J. Breed. Sci
이광호 외 4명, 붕소 결핍 조건에서 생장한 해송의 해부학적 특징
홍정기 외 5명, 한국산 소나무 속 (Pinus L.) 식물의 형태형질 연구
양아람 외 3명, 2013, 리기다 소나무와 낙엽송 인공림의 지역 및 임령에 따른 토양 특성, 한국임학회지
강판권, 2008, 세계의 지붕, 히말라야에 사는 개잎갈나무
나무위키, “나이테”, https://namu.wiki/w/%EB%82%98%EC%9D%B4%ED%85%8C
산림청 홈페이지, www.forest.go.kr
네이버 지식백과 (건축용어사전), “나이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01523&cid=42318&categoryId=42318
다음, “나이테‘, http://tip.daum.net/question/91923537
네이버 지식백과(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리기다소나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39748&cid=46685&categoryId=46685
네이버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해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2157&cid=46685&categoryId=46685
네이버 (두산백과), “히말라야시다”
식물해부학 제2판, 2012(이규배, (주)라이프 사이언스)- 10장,11장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