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이들의 교과서 읽기 능력 저하 현상
1.1. 아이들의 교과서 읽기 능력 저하 실태
아이들의 교과서 읽기 능력 저하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국어(읽기) 교과 시험에서 기초학력 미달에 해당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비율이 2017년 2.6%에서 2020년 6.4%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에도 같은 기간 동안 5.0%에서 6.8%로 늘어나, 해당 연령대에서도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가 실시한 문해력 테스트에서도 전국 중학교 3학년 2,405명의 학생 중 27%가 기준에 미달했고, 그중 11%는 초등학생 수준의 어휘력밖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이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실질적 문해력 저하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1.2. 아이들이 교과서를 제대로 읽지 못하게 된 원인
1.2.1. 스마트폰 사용 증가에 따른 문해력 저하
최근 청소년들의 문해력이 저하되고 교과서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 사용 증가가 큰 원인 중 하나이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유튜브나 SNS와 같이 짧고 속도감 있는 콘텐츠에 익숙해져 있다. 이로 인해 긴 문장의 글을 읽거나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문자 학습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짧은 글이나 영상에만 집중하다 보니 글 읽기와 쓰기 능력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영상이나 짧은 글을 보는 것에 익숙해지면서 길고 복잡한 글을 읽는 것에 대한 흥미와 집중력이 낮아지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가 청소년들의 문해력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 학생일수록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한 학습을 줄이고 단계적으로 글 읽기와 쓰기 연습을 늘려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과서와 같은 장문의 글을 읽고 이해하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 것이다.
1.2.2. 가정환경 및 학업습관의 변화
급격한 산업화와 사회변화로 인해 맞벌이 가정의 비율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바쁜 생활로 인해 자녀에게 제대로 된 학업습관을 들여주는 부모들의 숫자가 과거에 비해 줄어들게 되었다"" 특히, 바쁜 직장생활로 인해 부모가 퇴근 후에도 자녀의 학습을 직접 봐주는 것이 어렵게 되고 대부분 사교육에 의존하거나 학습지 등을 활용하여 혼자서 학습을 하도록 만드는 경우가 많아서 자녀 스스로 제대로 된 학업습관을 들이는 것이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해 가족의 해체 현상이 잦아지고 이로 인해 부부가 이혼을 하거나 다른 특별한 사유로 인해 가정이 분리되는 일이 많아지다 보니 이로 인해 자녀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학부모들이 많아지게 되어 그러한 것이 실질적 문해력이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하고 있다""
1.2.3.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원격수업 실시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원격수업 실시는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 2년간 대도시를 중심으로 길게는 2년 동안 이어진 원격수업은 필연적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 즉 문해력 저하를 불러왔다. 특히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학생들이 집 밖 외출을 꺼려해 학원 등의 사교육을 통한 실질적 문해력 향상 기회마저 어려웠던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이 등교할 수 없고 원격수업의 콘텐츠만으로는 실질적인 문해력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2022년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크게 줄어들고 대면 수업이 재개되었지만, 지난 2년간의 공백으로 인해 이미 저하된 학생들의 실질적 문해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학교현장에서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현재 초등학교 3학년의 경우 지난 2년간의 원격수업으로 인해 실질적 문해력을 넘어 거의 문맹 수준에 이른 학생들이 다수 존재해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가 되고 있다.
1.3. 학생들의 실질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방안
학생들의 실질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다.
학생들의 실질적 문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학교와 사회가 협력하여 학생들의 문해력 증진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