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아기 뇌발달 관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아의 감각운동 발달과 뇌 발달
1.1. 영아의 감각 발달
1.1.1. 시각 발달
1.1.2. 청각 발달
1.1.3. 후각 발달
1.1.4. 미각 발달
1.1.5. 평형감각 발달
1.2. 영아기의 감각통합
1.3. 영아 뇌 발달
1.3.1. 뉴런과 수초화
1.3.2. 대뇌피질 발달
1.4. 감각 발달과 뇌 발달의 상호관계
1.5. 감각 발달과 뇌 발달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환경 조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아의 감각운동 발달과 뇌 발달
1.1. 영아의 감각 발달
1.1.1. 시각 발달
시각 발달은 영아의 감각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갓 태어난 신생아의 시력은 매우 약한 편이지만, 생후 몇 개월 동안 급격한 발달을 보인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약 50cm 정도 떨어진 곳의 사물을 간신히 지각할 수 있는 수준의 시력을 가지고 있다. 생후 3-4개월이 지나면 사람의 얼굴 윤곽을 알아볼 수 있고, 행복한 표정과 화난 표정, 무표정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움직이는 사물을 따라 시선을 옮길 수 있으며, 빨강, 파랑, 노랑 등의 기본 색채를 구별할 수 있다.
생후 6-9개월 무렵에는 시력이 빠르게 좋아지며, 1년이 지나면 사물의 상을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의 시력에 도달한다. 이때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신경은 계속 성장하여 6세가 되면 완전히 발달한다. 한편, 입체적인 양안시(two-eye vision)는 8세가 되어서야 완성된다.
동물 실험을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생후 4-10주 사이에 한쪽 눈을 가리면 그 눈에 해당하는 뇌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다. 이 시기 이후에는 눈을 가려도 시력 발달에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즉, 초기 시기에 시각자극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으면 시각을 담당하는 뇌 부분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사시나 근시와 같은 시각 문제가 있어 망막과 신경에 자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6-7세 이전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시각 담당 뇌신경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시력 회복이 어려워진다.
이처럼 영아기의 시각 발달은 출생 직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특히 초기에 충분한 시각자극이 주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기 시각 자극의 제공은 시각 담당 뇌신경의 발달을 촉진하여 향후 시각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1.2. 청각 발달
출생 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는 강한 소리자극을 주면 대개 깜짝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이때 심장박동과 호흡이 변한다. 출생 후 4개월에는 어떤 소리를 들려주면 소리에 집중하는 것처럼 조용해지고 친숙한 엄마의 음성에는 웃는 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4-6개월이 되면 고개를 돌려 소리가 나는 방향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엄마의 목소리를 인식한다고 한다. 생후 한 달쯤 되면 진동수가 다른 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고, 6개월이 되면 멜로디 윤곽의 변화에 반응한다. 이는 갓난아기도 음악을 들으면 좋아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1.1.3. 후각 발달
후각은 태어나면서 잘 발달되어 있어서 신생아의 경우 젖 냄새를 구별할 수 있다. 생후 4-5일이 지나면 냄새로 모유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1개월이 지나면 자기 엄마와 다른 사람을 모유의 냄새로 구별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김경철ㆍ김은혜 외 1명. 『영유아발달』 동문사, 2019
조성자ㆍ정인숙 외 2명. 『보육학개론』 도서출판 신정, 2012
김진미. 『전학령기 정상아동의 감각운동 발달촉진을 위한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의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008. 경상남도
코메디닷컴(2021.09.29.). 말하는 언어 능력, 1살에 결정된다? (연구). http://kormedi.com/1358187/%EB%A7%90%ED%95%98%EB%8A%94-%EC%96%B8%EC%96%B4-%EB%8A%A5%EB%A0%A5-1%EC%82%B4%EC%97%90-%EA%B2%B0%EC%A0%95%EB%90%9C%EB%8B%A4-%EC%97%B0%EA%B5%AC/.
김복연(2003). 뇌기능 특성에 따른 뇌친화적 언어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언어사용 기능 신장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경은(2006). 뇌과학에 기초한 영아기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및 교육적 시사점.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