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공회의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컨벤션 산업의 현황과 중요성
1.1. 컨벤션 산업의 개요
1.2. 컨벤션 산업의 현황 및 전망
1.3. 컨벤션 산업의 중요성
2. 무역과 관련된 시설 방문
2.1. 코엑스 방문 및 운영 조사
2.1.1. 코엑스의 설립 목적 및 연혁
2.1.2. 코엑스의 주요 시설
2.1.3. 코엑스의 운영 및 전략
3. 무역과 관련된 업무 및 활동
3.1. 컨벤션 센터를 통한 수출입기업의 무역 전시회 활용 전략
3.2. 무역전시회의 전망
3.3. 무역관리기구의 구성 및 역할
3.3.1. 무역관리기구의 개요
3.3.2. 위임 및 위탁기관
3.3.3. 무역위원회의 기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컨벤션 산업의 현황과 중요성
1.1. 컨벤션 산업의 개요
컨벤션 산업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국제사회는 각 나라 간의 무역이나 경제협의, 국제적인 평화와 안정을 위해 각 나라 간에 모임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여러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국제적인 모임 행사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즉, 국내회의, 즉 기업 및 단체의 대회나 집회 및 모임을 주류로 한 것을 의미하던 컨벤션이 국제간의 교류의 증진으로 인하여 국제간 회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컨벤션이 여러 가지 유형의 모임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각종 이벤트가 부수적으로 개최되어 축제적 분위기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컨벤션은 대규모 집회나 회의, 전시 등을 수용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 전시(Exhibition)는 산업혁명 이후 미술품 위주의 전시회에서 농산물과 식품에 관한 전시회로 발전하여 지금은 산업전시회가 성황을 이루고 있다. 컨벤션은 국내·외의 특정 다수인이 특정목적이나 가치재를 중심으로 모여 관련된 문제를 심의·토의·결정할 목적으로 사전에 결정된 일정에 의하여 진행되는 공식적인 회의, 전시,이벤트, 관광 등을 수반하는 일련의 집회를 의미한다. 컨벤션은 회의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로서, 정보 전달을 주목적으로 하는 정기 집회에 많이 사용되며, 전시회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1.2. 컨벤션 산업의 현황 및 전망
국제사회는 각 나라 간의 무역이나 경제협의, 국제적인 평화와 안정을 위해 각 나라 간의 모입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여러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국제적인 모임 행사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즉, 국내회의, 즉 기업 및 단체의 대회나 집회 및 모임을 주류로 한 것을 의미하던 컨벤션이 국제간의 교류의 증진으로 인하여 국제간 회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컨벤션이 여러 가지 유형의 모임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제회의의 분야가 하나의 "산업"으로 가장먼저 정착한 곳은 유럽지역이다. 국제기구 본부의 65%가 소재하고 있는 유럽은 전세계 국제회의의 약 58%를 개최하는 등 세계 컨벤션 산업의 중심지가 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컨벤션 산업이 고부가가치의 신종 산업으로 부상함에 따라 세계각국은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컨벤션센터를 건립하는 등, 자국으로의 국제회의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국가들은 국제회의뿐만 아니라 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라 하여 같은 범주에 속하는 각국단체나 외국기업들의 해외 개최 회의, 인센티브 관광, 전시·박람회 등의 유치에도 전력을 기울이고 있어, 새로운 컨벤션 개최지역으로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력신장 및 국제화에 따른 여러 국가들과 각 분야에서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국제회의를 비롯하여 전시회, 이벤트 등 국제행사 개최건수가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2000년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 개최했으며, 2010년 G20정상회담을 추진하여, 국제회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시켰으며, 서울을 비롯 전국적으로 컨벤션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국제회의 개최기반마련과 이를 통한 관광산업의 발전과 국민경제의 향상을 목표로 '국제회의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으로 우리나라 국제회의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인 발판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1.3. 컨벤션 산업의 중요성
컨벤션 산업은 21세기 가장 각광받는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컨벤션 산업은 뉴밀레니엄 시대의 국가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컨벤션 산업은 1차적으로는 컨벤션 센터의 운영과 관련된 설비 및 서비스 관련산업, 전시관련산업을 지칭하나, 다양한 연관 산업 효과를 가지고 있어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이다. 즉, 컨벤션 산업은 관광, 레저산업, 숙박, 유흥, 식음료 산업, 교통, 통신 등 관련산업까지를 포함하는 종합산업이자 지식과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는 지식기반산업(Knowledge-based industry)의 핵심 산업이다...
참고 자료
김은주(2005),이벤트 컨벤션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성대 석사논문.
김옥경(2008), Multimedia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경성대 석사논문.
강경희(2000), 호텔 컨벤션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호텔 컨벤션 종사원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빈봉식, 김옥재(2006), 한국컨벤션산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신혜숙(2002), 컨벤션관리론, 대왕사.
서승진, 컨벤션산업론(201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진식(2007), 컨벤션산업 현황과 육성방안
이장춘ㆍ박창수(2001), 국제회의론, 대왕사
http://iksancci.korcham.net/ 익산상공회의소 홈페이지
http://www.korcham.net/kcncomon/index/index_a.htm 대한상공회의소
익산 상공회의소 지원센터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