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에게 읽는 포르노, 읽는 로맨스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포르노그래피의 이해
1.1. 포르노그래피의 정의와 역사
1.1.1. 동양의 역사
1.1.2. 서양의 역사
1.2. 포르노그래피의 종류
1.2.1. 하드코어 포르노그래피
1.2.2. 소프트코어 포르노그래피
1.2.3. 프렌지 포르노그래피
1.3. 현대 포르노그래피의 특징
1.4.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사회적 반응
2.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평가
2.1. 부정적 평가
2.2. 긍정적 평가
2.3. 여론의 선택
3.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사회적 대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포르노그래피의 이해
1.1. 포르노그래피의 정의와 역사
1.1.1. 동양의 역사
포르노그래피의 기원은 선사시대 종교적 제의 의식으로 제작된 남근을 상징하는 그림이나 조각물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포르노가 오늘날처럼 성을 주제로 하나의 장르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된 것은 중세 시대 금서로 분류됐던 「귀부인 아카데미」같은 여러 포르노 소설들이 등장하면서부터이다. 이후 포르노란 장르는 르네상스시대의 도래로 당시 종교계를 비롯 기득권 세력을 풍자하기 위해 신부의 부도덕한 행위나 귀족들의 근친상간을 묘사하는 등 자유주의 바람과 함께 서유럽 전체로 넓게 퍼지게 되었다. 동양에서 포르노의 역사는 중국의 「금병매」를 비롯한 소설이나 조선시대 양반집 규수들의 성교육용으로 쓰였던 춘화들에서 그 단면을 엿볼 수 있다."
1.1.2. 서양의 역사
서양의 역사에서 포르노그래피는 고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제전 때 불렀던 외설스러운 노래와 로마 폼페이에서 발견된 1세기 무렵의 에로틱한 벽화 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보존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 기원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 수 없다"" 중세에는 주로 수수께끼·광시(狂詩)·풍자시에서 외설적 표현들을 찾아볼 수 있고, 성직자들의 방종과 위선, 귀족들의 속임수와 배신 등을 유머와 로맨스를 더하여 묘사하고 있다"" 그 대표적 예가 G.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이며, 100편 이야기 중 몇 편은 호색한들이 등장하는 음탕한 내용이다"" 18세기는 과도기로서 '포르노그래피의 황금시대'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쾌락주의가 유행하였으며, 사드(통칭 Marquis de Sade:1740∼1814) ·카사노바(Giacomo Casanova de Seingalt:1725∼98) 등의 문인들은 성의 유토피아를 추구하였다"" J.클레란드의 《퍼니힐》(1749), 사드의 《쥐스틴, 또는 미덕의 불행》(91)에 대항하여 쓴 레티프 드라 브르톤(1734∼1806)의 《앙티 쥐스틴》(1798) 등의 포르노그래피의 걸작은 이 시대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르노그래피는 19세기에 이르면서 사회문제로 대두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는, 18세기까지 일부 귀족과 대(大)부르주아의 전유물이던 포르노그래피가,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중산계급의 상층부에서 책을 읽을 능력과 경제력을 가지게 되자 그 검열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예컨대 《퍼니힐》은 출판 당시에는 규제받지 않았으나, 1820년 미국에서는 이 책을 팔던 서점이 처벌받았다"" 뉴욕주에서 이 책의 판금이 풀린 것은 1963년의 일인데, 아이러니컬하게도 영국에서는 1964년 이 책에 대하여 몰수폐기의 판결이 내려졌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검열에 관하여는 19~20세기의 1960년대까지 연속해서 이와 같은 견해가 계속되었다"" 19세기에는 복제기술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대량의 포르노그래피가 쏟아져 나왔으며, 사진의 발명도 급속도로 이용되어 19세기 중엽에는 포르노사진이 나돌기 시작하였다"" 빅토리아왕조(빅토리아시대)의 영국 중산계급 사이에서 특히 포르노그래피가 번창한 것은, 이 시대가 '표리(表裏)'를 엄하게 구분하였기 때문이다"" 빅토리아왕조의 ...
참고 자료
참고문헌
『 포르노그래피, 드워킨, 동문당 』
『 포르노 섹스 그리고 미디어, 진석호, 가산 』
『 성과 사회, 오생근, 나남출판 』
『 섹슈얼리티, 브리스토우, 한나래 』
『 방송환경변화에 따른 방송심의 정책 전환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
『 새여성학강의, 한국여성연구소, 동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