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웨어러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웨어러블 기술과 간호
1.1. 웨어러블 기술의 개요
1.2. 웨어러블 기술의 간호실무 적용
1.2.1. 심장 모니터링
1.2.2. 뇌졸중 후 재활
1.2.3. 신경학적 모니터링
1.2.4. 장기요양 환경에서의 활용
1.2.5. 파킨슨병 환자의 걸음걸이 장애
1.2.6. 간호사의 손위생 향상
1.2.7. 구글 글라스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 제공
1.3. 웨어러블 기술과 간호사의 역할
1.3.1. 적절한 임상 결정 및 신속한 대응
1.3.2. 환자 중심 및 셀프케어 강화
1.3.3. 신기술 연구 및 개발
1.3.4. 간호사의 아이디어와 특허 출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웨어러블 기술과 간호
1.1. 웨어러블 기술의 개요
웨어러블 기술은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술은 심박수, 활동량, 수면 패턴 등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어 개인의 건강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술은 사용자와 의료진, 보호자 등을 연결하여 원격으로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웨어러블 기술은 센서와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생활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과 보호자에게도 건강 정보가 전송되어 원격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관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기 예방과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기술은 심전도,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등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활동량, 수면 상태, 스트레스 수준 등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술은 의료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심장 질환 환자의 심전도 모니터링, 뇌졸중 환자의 재활 관리,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 장애 개선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요양 시설 입소자의 안전관리, 간호사의 손위생 관리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기술은 질병 예방과 관리, 환자 모니터링 및 재활 지원, 의료진의 업무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기술은 향후 더욱 발전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스스로 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료진과 보호자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질병 예방과 관리,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등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2. 웨어러블 기술의 간호실무 적용
1.2.1. 심장 모니터링
심장 모니터링은 심장학에서 가장 오래된 분야 중 하나이며, 심장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추적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심장 질환 환자들의 경우 심장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전에는 24시간 심장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 홀터 모니터가 사용되었지만,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착용할 수 있는 제세동기와 같은 기기를 통해 심장 리듬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웨어러블 제세동기는 치명적인 심장 리듬을 감지하면 환자와 의사에게 경고를 보내고 제세동 충격을 전달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외부 제세동기를 찾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고, 제세동 과정을 탐색할 필요도 없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가슴에 직접 이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성도 높다.
이처럼 웨어러블 기술을 통한 심장 모니터링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신속한 대응, 편의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심장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간호사들도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심장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찰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1.2.2. 뇌졸중 후 재활
재활치료와 물리치료를 하는 환자들에게도 웨어러블 기술이 도움이 된다. 과거의...
참고 자료
An overview of the Application of Wearable Technology to Nursing Practice-Daira Wilson, RN, MSN CNE
조인성, 이수진, 김수영, 양선영, 박수연. (2020). 공공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백경화, 하은아. (2021).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 스마트 웰니스를 중심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4(1), 101-112.
스마트헬스케어: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10351&cid=42346&categoryId=4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