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회계원리2"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회계의 순환과정과 회계 거래
1.1. 회계 순환 과정
1.2. 회계적인 거래의 정의
1.3. 회계 거래의 8요소
2. 회계의 기본 원리
2.1. 회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분개의 중요성
2.2. 법인세법상 세무조정과 회계상 결산수정분개의 논리 비교
2.3. 법인세법상 소득처분과 회계상 이익처분의 논리 비교
2.4.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각 세법상 과세표준의 의의 및 비교
3.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
3.1.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점
4. 재무제표
4.1. 재무제표 전반에 대한 설명
4.2. 결산의 의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회계의 순환과정과 회계 거래
1.1. 회계 순환 과정
회계의 순환과정(단계)은 기업에서 거래가 발생하면 회계 전표를 발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발행한 전표를 집계하여 일계표를 작성하고, 이것을 다시 집계하여 월계표 작성과 결산 등 회계 업무는 매년 반복된다. 회계 순환 과정은 크게 회계 기간의 시작, 회계 기간, 결산 그리고 회계 기간 말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기업에서 경제적 활동이 발생하면 이것이 회계적인 거래인지 식별하는 것으로부터 회계 기간이 시작된다. 거래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계정과목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류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거래 요소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분석하여 분개장에 기록한다. 하나의 거래는 차변(좌측)과 대변(우측)으로 동시에 기록한다.
분개장의 기록을 원장에 전기하고 수정전 시산표를 작성한다. 시산표를 작성하고 수정분개를 통해 수정 후 시산표를 작성하며, 결산이 완료되면 결산보고서로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그리고 자본변동표 등이 해당된다.
마감 분개와 전기를 실행하고 마감 후 시산표(이월시산표)를 작성한다. 회계 마감이 완료되면 다시 다음 회계 기간을 준비하며 회계 순환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회계 순환 과정은 거래의 식별, 분석, 분개, 원장 전기, 시산표 작성, 결산보고서 작성, 마감 분개와 전기의 단계를 반복하며 이루어진다.
1.2. 회계적인 거래의 정의
회계적인 거래란 기업이 이윤을 얻기 위해 활동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기업 자산의 증가 또는 감소가 나타나는 사건(거래)을 의미한다"" 회계의 목적은 기업의 외부이해관계자와 내부이해관계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정보란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이나 비용으로 인한 지출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것을 의미하는데, 회계적인 거래라는 것은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일반적인 거래와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 듯이, 재화를 교환하는 행위를 일반적인 거래로 볼 수 있지만, 회계적인 거래는 금전적 또는 금전적 가치가 있는 재산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계적인 거래는 기업이 이윤을 얻기 위해 활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1.3. 회계 거래의 8요소
회계 거래의 8요소는 자산의 증가와 감소, 부채의 증가와 감소, 자본의 증가와 감소, 수익의 발생, 비용의 발생을 의미한다. ...
참고 자료
김평기, 이동녕. K-IFRS를 반영한 재무회계의 강의. 두남
KDI 경제정보센터
이수로 (2014년 6월 25일). 《회계의 이해》.
신방수 (2011년 6월 15일). 《IFRS를 알아야 회계가 보인다》. 위너스북.
최병호 (2000년 1월 3일). 《기초회계》. 한국금융보험아카데미.
선우혜정, 『재무회계원리』,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김순기 外, 『회계원리』, 무역경영사, 2018
김정교 外, 『회계원리』, 교육과학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