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체육의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유아체육의 중요성
1.2. 유아체육의 정의와 발달
2. 유아체육의 필요성
2.1. 신체적 측면
2.2. 환경적 측면
3. 유아체육의 목적
3.1. 신체 인식하기
3.2. 신체 조절과 기본 운동하기
3.3. 신체 활동에 참여하기
3.4. 건강하게 생활하기
3.5. 안전하게 생활하기
4. 유아체육의 중요성
4.1. 운동기능의 발달
4.2. 발육의 촉진
4.3. 신체 기관의 발달
4.4. 사회성 발달
4.5. 정서적 발달
4.6. 소아비만의 예방
5. 유아 체육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
5.1. 유아 체육의 중요성
5.2. 유아 체육의 발전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유아체육의 중요성
유아체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는 운동기능이 발달하는 데 이상적인 시기이다. 경골화 이전이므로 몸이 유연하고 호기심, 모험심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할 뿐 아니라 여유를 가지고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시기에 올바른 신체 활동의 교육은 필수적이다.
둘째, 문화체육부에 따르면 유아의 체격은 과거에 비해 신장이 많이 늘었지만 체력은 점차 저하되고 있다. 또한 유아체육은 놀이를 통해 무한한 잠재력을 신장시켜 개인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 그들의 역량을 국가 발전의 자원이 되도록 한다.
셋째, 유아기는 대근육 발달이 가장 활발하고 기본적인 감각운동 기능이 급속히 발달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올바른 신체활동의 교육을 통해 대근육 운동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최근 사회적 변화로 인해 개방된 넓은 공간이 부족한 도시환경, 시설물의 안정성에 대한 부모의 우려, 출산율 감소와 조기교육으로 인한 또래와 놀이할 기회 감소, 전자기기 활용으로 인한 비활동적 생활 증가 등으로 유아의 신체활동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유아기에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이후 아동기나 성인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신체와 정신의 상태'를 의미하므로, 유아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유아체육은 유아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 정서발달 등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유아체육의 정의와 발달
유아체육은 인간 형성의 근간을 이루는 유아기 어린이들의 특징에 유의하고 발달 단계에 근거한 적절한 방법의 신체활동을 통하여 장차 평화롭고 민주적인 국가 사회의 일꾼으로서의 자질과 건강한 유아로서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유아교육의 초점을 맞춘 체육 교육의 한 영역이다"". 유아체육은 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유아체육의 정의와 발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란 유아교육진흥법 제2조에 따르면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를 말한다. 둘째, 체육이란 일정한 운동 등을 통하여 신체를 튼튼하게 단련시키는 일 또는 그런 목적으로 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체육은 유아기 어린이들의 특징과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한 유아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아체육의 발달을 살펴보면, 서울 YMCA에서 오래전부터 유아기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유아 체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왔다. 1976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아기 스포츠 단"을 개설하여 전문적인 유아체육 교육을 시작하였다. 또한 한국 사회 체육 센터는 1981년에 "모든 사람을 위한 스포츠"라는 목적으로 설립되어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움직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981년부터는 유아 교육 학자들에 의해 유아 교육 기관에서 남자 교사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체육과 남학생들이 유아 교육 현장에서 유아를 지도하게 되었다. 1997년에는 재단법인 한국 어린이육영회가 "유아와 함께 하는 신체 활동"이라는 주제의 워크숍을 통해 전국의 유아교육기관에 유아체육의 중요성을 알렸고, 1999년 4월에는 한국 유아체육학회가 창립되면서 유아체육 교육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2. 유아체육의 필요성
2.1. 신체적 측면
유아기의 신체는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유아체육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유아기는 운동기능이 발달하는데 이상적인 시기이다. 유아의 경골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몸이 유연하고 호기심과 모험심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한 편이다. 또한 여유를 가지고 다양한 학습이 가능한 시기이기 때문에 운동기능이 잘 발달하게 된다. 둘째, 문화체육부에 따르면 유아의 체격은 과거에 비해 많이 신장되었으나 체력은 점차 저하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유아기 때부터 체육활동의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문화체육부에서는 "유아체육은 놀이를 통해 무한한 잠재력을 신장시켜 개인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 그들의 역량을 국가 발전의 자원이 되도록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넷째, 유아기는 대근육 발달이 가장 활발하고 기본적인 감각운동기능이 급속히 발달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움직일 수 있는 잠재력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임의 욕구를 발산시켜 대근육 운동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유아기의 신체적 측면에서 볼 때 유아체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환경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유아체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중요한 유아기에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주변 여건을 열악하게 만든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 개방된 넓은 공간이 부족한 도시환경, 시설물의 안정성에 대한 부모의 우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체육학대사전, 이태신, 2000. 2. 25., 민중서관.
[논문]유치원 원장들이 바라본 유아체육의 의미 탐색/유형숙.
[논문]체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홍원택.
[논문]유아 체육 프로그램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조성.운동능력.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허익준.
[네이버 블로그]우리나라 유아체육의 유래.
지도자를 위한 유아체육교육의 이론과 실제/손원호, 창지사.
유아를 위한 체육교육활동의 이론과 실제/손원호, 스포츠북스.
유아체육교육/손원호, 진리탐구.
유아체육의 중요성 경희아이레포츠 성북지점 유아체육, 아동체육, 전문체육/ 당나귀선생님.
[출처]저자:정영호 대전시생활체육회 사무총장 -출판연도:2015년08월10일.
[네이버 블로그]색동(다문화)동화연구가 최은희님의 블로그, 삐삐최은희유아체육 중요성과 효과.
유아체육의 중요성/위니키즈.
유아체육 실태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 기민서, 용인대학교, 2000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List.do#none
유아체육교육의 연구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유정애, 진연경, 중앙대학교, 201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58214
놀이중심 유아체육프로그램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광노, 유아체육협회, 202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19560
유아체육활동이 유아들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예훈, 진연경, 전선혜, University of North Alabama, 중앙대학교, 201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53603
유아체육 프로그램 참여특성에 따른 체력 비교 분석, 김상진, 계명대학교, 2011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c3fc16b9c2b0561ffe0bdc3ef48d419&outLink=N
고선혜(1993) 생활체육조기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203
김경수(1996) 어린이체육지도백과. 도서출판 : 대경
김근영(1999) 유아의 지각-운동학습 프로그램이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김기웅, 곽은정(1998) 유아 및 아동체육. 서울 : 보경문화사
김두식(1991) 유아의 운동기능과 지능과의 상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위
김은심(1997) 유아동작교육. 서울 : 정민사
김정권, 권기덕, 최영하(1999) 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 서울 : 특수교육
김재은(1998) 아동의 인지발달. 서울 : 창지사
김수정(1992) 5세 유아의 인지, 신체, 사회성 및 언어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지수, 유병인, 육동원, 박윤식(1999) 유아의 기질과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8권 제3호
김현지, 오연주(1999) 유아를 위한 체육활동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김혜옥(1985) 유아의 동작활동 효과에 관한 기초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나병술(1969) 아동발달과 교육. 서울 : 대학출판사
문화체육부(1995) 취학전 아동의 체격과 체력육성을 위한 체육놀이 프로그램개발. 충남대출판국
박정권(1999) 유소년 스포츠의 세계적 동향.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36
부은영(2000) 단일연령과 혼합연령집단에 따은 유아의 사회ㆍ인지적 놀이 비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안미숙(1998) 유아체육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엄옥자, 김미숙(1997) 놀이 문화적 측면에서 본 밀양 백중놀이. 부산대학교 체육학회지. 92
양승경(1983) 그룹 게임을 통한 아동의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안집(2000)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 문음사
임승현(1996) 체육놀이 활동이 유아의 성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사전연구사(1997) 유아교육사전 용어편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93) 유아지능검사. 서울 : 한국행동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