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캡스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학과 캡스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목적
1.1.3. 용어정의
1.2. 문헌고찰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1.3.2. 연구참여자
1.3.3. 연구도구
1.3.4. 자료수집 방법
1.3.5. 자료분석 방법
1.3.6. 연구의 윤리적 고려
1.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1.5. 참고문헌

2.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
2.1.2. 연구의 목적
2.1.3. 용어의 정의
2.2. 문헌고찰
2.2.1. 수면의 질
2.2.2. 자아탄력성
2.2.3. 임상실습 스트레스
2.3. 연구방법
2.3.1. 연구 설계
2.3.2. 연구 대상
2.3.3. 연구도구
2.3.4. 자료 수집 방법
2.3.5. 자료 분석 방법
2.3.6. 연구의 제한점
2.4. 연구결과
2.5. 논의
2.6. 결론 및 제언
2.7. 참고문헌

3.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의 협력관계와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3.1. 보건의료 전문분야 내 간호사의 역할
3.2.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의 협력관계의 중요성
3.2.1. 중복되는 노력의 방지
3.2.2. 기술효율의 최대화
3.2.3. 대상자 권익 보호
3.2.4. 간호사 윤리강령
3.2.5. 팀 내 갈등의 제거
3.2.6. 의료서비스 질 향상
3.3. 보건의료 전문분야 내에서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3.3.1. 업무조정 조직화의 여러 가지 원리
3.3.2.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
3.3.3. 중요성 및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은 간호교육을 통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직업인 간호사로 성장한다. 간호교육은 이론수업과 임상실습으로 구분되며, 이 중 임상실습은 이론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과정이다. 최근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의 복잡성, 중증도 증가 등으로 간호사의 전문적인 역량확보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질병에 대한 지식습득과 환자의 안전과 권리가 중요시 되면서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는 간호활동이 제한되고 있어 임상실습을 통한 지식과 기술 습득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강의식 교육을 통해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간호현장에서의 업무에 필요한 실무지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법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인 시뮬레이션 교육은 응급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교육은 환자나 타인을 위험에 빠트리지 않으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고위험 상황에 맞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통해 임상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경험에 대해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안전한 실습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사가 될 간호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므로 학교 내 학습현장에서부터 체계적인 반복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통한 팀훈련을 통해 개인의 기술뿐만 아니라 팀워크를 습득하여 병원 내 환자의 심정지 상황에 대비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1.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교육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으로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후에 임상에서의 심정지 시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래에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1.3. 용어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은 현실과 공통성을 지니며, 임상실무에서 실제로 발생 할 수 있는 것을 관리하고 임상상황을 즉시 이해하기 위해 임상 상황의 본질적 양상의 일부나 거의 모든 것을 복제하기 위한 시도를 의미한다."

나. 임상수행능력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을 보여주고 유능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다. 지식
"간호학에서 지식은 어떤 대상을 연구하거나 배우거나 또는 실천을 통해 얻은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또는 인식에 의해 얻어진 성과, 사물에 대한 단편적인 사실적, 경험적 인식을 말하며 객관적 타당성을 요구할 수 있는 판단의 체계이다."

라. 비판적 추론능력
"개인적 또는 전문적인 업무에 있어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자기 조절적인 판단을 의미한다."

마. 자신감
"어떤 일을 할 수 있다는 마음의 상태로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믿음이다."


1.2. 문헌고찰

수면의 질은 인간의 기본적 요구이며, 에너지를 회복하는 수단이 되는데 적당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에너지 회복이 되지 않아 정신적 피로와 우울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힘과 건강을 유지하는 기전으로 신체적, 정서적으로 재충전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휴식 방식이다. 충분한 수면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뇌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재충전의 기능을 하므로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낮 동안의 활동과 더불어 밤에 적절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지 못할 때 집중력에 장애가 생기고 판단력이 저하되어 불안정하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간호 대학생은 임상실습이 학점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임상실습 중에도 학업이 과중할 뿐만 아니라 빠듯한 강의 일정과 임상실습 일정으로 인해 수면부족을 경험할 수 있다.

자아탄력성은 개인의 감정차원을 조절하고 변화하는 내적, 외적 스트레스와 같은 상황적인 문제에 융통성 있게 반응하는 경향성이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실패나 어려운 역경을 일시적으로 여기고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어 긍정적 정서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경험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보다 스트레스 상황을 더 위협적으로 느껴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임상실습은 간호 대학생들이 간호 실무 현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상태를 의미한다. 간호 대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임상이라는 새롭고 낯선 환경, 과도한 과제, 바쁜 실습 일정, 학생으로 임상 현장에서의 모호한 역할, 이론과 실무의 괴리, 환자와 보호자와의 대인관계, 환자의 요구에 대한 대처 능력의 저하, 예상치 못한 상황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러한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실습이 두려워지고 간호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되며, 간호학 전공에 대한 회의감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수면의 질 향상과 자아탄력성 강화는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심정지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과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간호대학생들의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교육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이론수업과 달리 실제 임상 현장과 유사한 상황에서 팀원들과 협력하여 심정지 환자 간호를 경험하고 이에 대한 수행능력, 지식 함양,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1.3.2.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김천시에 소재한 G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한 3.4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경우로 하였다. 즉,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 학생들 중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이 있는 10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1.3.3. 연구도구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는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HA, 2010)와 황성오와 임경수(2011)의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을 토대로 채민정(2015)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지식 측정도구는 BLS for Healthcare Provider (AHA, 2020),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ort (AHA, 2020) 및 황성오와 임경수(2011)의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에 수록된 내용을 토대로 채민정(2015)이 구성한 총 20문항의 지식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얻은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정지 환자의 응급간호에 대한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비판적 추론능력 측정도구는 윤진(2004)이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비판적 추론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신감 측정도구는 최향옥(2006)이 국제심폐소생협회에서 제시한 '심폐소생술과 응급심장 처치에 관한 지침 2000'의 내용을 근거로 원칙, 기본소생술, 전문심장소생술 세 영역의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문심장소생술 과정을 삭제하고 기본소생술 과정에 맞게 곽윤실(2018)이 수정, 보완하여 총 13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본소생술 수행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1.3.4.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월 3일부터 2022년 1월 28일까지 총 25일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전 대상자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진행방법에 대해 서면동의 얻은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자기기입방식으로 진행하였다.


1.3.5.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 평가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 평가 점수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들의 신뢰도검정을 위해 Cronbach's ? 계수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 미만으로 하였다.


1.3.6.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시 대학의 정해진 절차에 따라 협조 승인을 받았으며, 연구를 시작하기 전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설문지 작성 중 원치 않을 때는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 동의서에 연구자의 연락처를 기입하여 연구 대상자가 궁금한 사항이 있을 때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 공개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며 대상자의 개인적인 정보는 비밀로 유지하여 익명성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1.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교육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으로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후에 임상에서의 심정지 시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래에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심정지 환자간호 시나리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임상실습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간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 참고문헌

American Heart Association(2010).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provider manual), 154. 이는 간호대학생의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고찰 부분에서 인용된 내용이다"

American Heart Asociation(2006). BLS for Healthcare Provider. 이는 간호대학생의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고찰 부분에서 인용된 내용이다"

American Heart Association(2006).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이는 간호대학생의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지식, 비판적 추론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고찰 부분에서 인용된 내용이다"


2.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은 간호교육을 통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직업인 간호사로 성장한다. 간호교육은 이론수업과 임상실습으로 구분되며, 이 중 임상실습은 이론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과정이다. 최근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의 복잡성, 중증도 증가 등으로 간호사의 전문적인 역량확보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질병에 대한 지식습득과 환자의 안전과 권리가 중요시 되면서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는 간호활동이 제한되고 있어 임상실습을 통한 지식과 기술 습득이 어려운 상황이다. 강의식 교육은 지식전달 면에서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지만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 간호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필요한 간호업무능력을 향상시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의식 교육을 통해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간호현장에서의 업무에 필요한 실무지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법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인 시뮬레이션 교육은 고도로 컴퓨터화된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간호학생들이 실무와 유사한 안정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제공한다.


2.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자아탄력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2.1.3. 용어의 정의

(2.1.3. 용어의 정의)

수면의 질이란 수면의 양,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 야간 수면 시 각성 수, 각성 후 다시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 아침 기상 시 피곤감과 쉬지 못한 듯 한 기분, 수면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감 정도를 의미한다".

자아탄력성이란 상황에 따라 개인 스스로 통제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조절 능력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속에서 정서적, 심리적기능이 다시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란 간호 대학생들이 간호실무 현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상태를 말한다".


2.2. 문헌고찰
2.2.1. 수면의 질

수면의 질은 인간의 기본적 요구이며, 에너지를 회복하는 수단이 되는데 적당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에너지 회복이 되지 않아 정신적 피로와 우울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은 환자들에게 휴식과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정신적-생리적 향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힘과 건강을 유지하는 기전으로 신체적, 정서적으로 재충전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휴식 방식으로 적당한 감각이나 자극에 의해 깨어날 수 있는 무의식의 상태이다. 수면의 질이란 수면의 양,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 야간 수면 시 각성 수, 각성 후 다시 잠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 아침 기상 시 피곤감과 쉬지 못한 듯 한 기분, 수면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감 정도이다. 충분한 수면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뇌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재충전의 기능을 하므로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낮 동안의 활동과 더불어 밤에 적절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지 못할 때 집중력에 장애가 생기고 판단력이 저하되어 불안정하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뿐 아니라 만성적인 피로에 시달리며, 신체의 회복과 통합적 능력의 약화, 기억력의 손상, 증가된 스트레스와 불안을 야기하여 개인의 건강과 안녕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간호 대학생의 수면의 질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도 스트레스가 간호 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 대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임상실습이 학점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임상실습 중에도 학업이 과중할 뿐만 아니라 빠듯한 강의 일정과 임상실습 일정으로 인해 주중에 수면부족을 야기할 수 있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주말에 수면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2.2.2.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은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통제를 얼마나 융통성 있게 조절하여, 자신이 처한 환경적 요구에 대해 심리적 균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도록 하는 역동적인 능력이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등이 있다.

통제성은 스스로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하며, 원인분석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긍정성은 실패나 어려운 역경을 일시적으로 여기고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내는 행복의 기본수준과 낙관성을 의미한다. 사회성은 다른 사람의 마음과 감정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여 깊이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정서를 활용하고, 긍정적인 의미를 찾으며, 효과적으로 정서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보다 스트레스를 더 빈번하게 지각한다고 한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긴장이나 인내를 조절하는 능력이 높아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역경의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은 진로문제에 직면해 있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충시키고 적응을 도와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2.2.3.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간호대학생이 간호실무 현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상태를 말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은 실습과 관련하여 과다한 과제물, 간호사와의 어려운 관계, 수업과 실습의 여유 없는 일정, 이론과 실습의 괴리 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실습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임상이라는 새로운 환경, 과도한 과제, 바쁜 실습 일정, 학생으로서의 모호한 역할, 이론과 실무의 괴리, 환자와 보호자와의 대인관계, 예상치 못한 상황 등으로 다양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피로, 불안, 불면, 우울, 위축, 수면장애 등의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은 일반 대학생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고, 특히 학업과 실습을 병행하는 타과 대학생보다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3.36점, 3.30점, 3.11점, 3.40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며, 특히 과제물이나 보고서에 대한 부담과 실습교육 환경 및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등이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4학년이 3학년보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어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외부 요인을 모두 고려한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아탄력성과 수면의 질 향상을 통해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3. 연구방법
2.3.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3.2.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김천시에 소재한 G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으로,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한 3학년과 4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경우로 선정하였다.


2.3.3. 연구도구

수면의 질 측정도구는 리즈 수면 평가질문지(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LSEQ)를 김인자, 최희정, 김범종(2014)이 한국어로 번역하고 응답지를 변경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리즈 수면 평가 질문지(KLSEQ)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들은 왼쪽 0점(부정적 구절)에서 오른쪽 끝의 100점(긍정적 구절)까지 양극단에 반대가 되는 구절이 쓰여 있고 이들 사이에 10점 단위로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표 척도이다. 전체 수면의 질(KMLSEQ) 점수는 모든 문항의 점수를 합하여 문항의 수로 나눈 값이며 0점부터 100점까지의 범위에 있고 총 수면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KMLSEQ의 절단점수는 66점 이하인 경우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된다. 선행연구에서 이 도구의 Cronbach's alpha는 .95였고, 본 연구에서는 .79로 나타났다.자아탄력성 측정도구는 O'Connel-Higgins(1983)가 개발한 자아탄력성의 하위 구성요소를 사용한 것으로,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를 분석하여 대학생에 맞는 문항으로 변형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제성 9문항, 긍정성 9문항, 사회성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5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이루어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이 도구의 하위요인별 ...


참고 자료

American Heart Association(2010).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provider manual), 154American Heart Asociation(2006). BLS for Healthcare Provider.
American Heart Association(2006).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Alinier, G. Hunt, W. B, Gordon, R(2004). Determing the valu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Study Design and Initial Result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4, 200-207.Barette, C, Myrick, F(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Bond, W. F, Spillane, L(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11), 1295-1298.Bond, W. F, Deitrick, L. M, Arnold, D. C, Kostenbader, M, Barr, G. C, Kimmel, S.R, Worrilow, C. C(2004). Using Simulation to Instruct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in Cognitive Forcing Strategies. Academic Medicine, 79(3), 438-446.Bearson, C. N, Wiker, K. M(2005). Human Patient Simulator: A New Face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at Brigham Young Universi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9), 421-425.Brannam, J. D, White, A, Bezanson, J. L(2008). Simulator Effects on Cognitive Skills and Confidence Level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1), 495-500.Baek Ji-yoon(2006).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es' ability to perform professional cardio resuscita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Bremner, M. N, Aduddell, K, Bennett, D. N, VanGeest, J. B(2006).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Best Practices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1(4), 170-174.Blum, C. A, Borglund, S, Parcells, D(2010).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cholarship, 7(1).41. Chae Min jung(2015). Effects of cardiac arrest patient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 doctoral dissertation in nurs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7.
Chae Min Jeong, Choi Soon Hee(2016). Effectiveness of Student Learning with a Simulation Program focusing on Cardiac Arrest i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100-111, 447-458.“cardiopulmonaryresuseit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last modified May 19, 2021, acessed May 30, 2021,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Choi Hyang Ok(2006). A study on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at Yonsei University, Seoul. 60.Cooper, J. B, Taquetti, V. R(2004).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13(Suppl 1), i11-i18.Corbridge, S, McLaughin, R, Tiffen, J, Wade, L, Templin, R, Corbridge, T. C(2008). Using Simulation to enhance Knowledge and confidence. Nurse Practitioner, 33(6), 12-13.Cho Mi Young(2010).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domestic research on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Nursing Education, 16(2), 239-248.Feltz, D. L(1988). Self-confidence and sports performanc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16, 151-166.Facion, N. C, Facion, P. A, Sanchez, C. A(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Nursing Education, 33(8), 345-350. Hamilton R(2005). Nurses'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3), 288-297.Holmberg M, Holmberg S, Herlitz J(2000). Effect of bystander car- 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47:59-70. Issenberg, S. B, Mcgaghie, W. C, Pertusa, E. R, Gordon, D. L, Scales, R. J(2006).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7(1), 10-28.Jeffries,P.R(2005). Designing,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6(2), 96-103.Jang Geum Sung, Choi Soon Hee, Choi Ja Yoon, Hong Mi Soon(2008). Clin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respiratory system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ursing Society, 38(1), 83-91.Kim Soo Young, Lee Ji Hae, Jeon Ji Eun(2019).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A Meta-synthesis and Meta-ethnography Study. 300-311Kwon In Soo, Cho Mi Hye(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Kang Hee Young, Kim Hae Ran, Choi Eun Young(2013).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5-15 Kim Eun Jung, Kim Ji Young, Lee Kyeong Ryong, Lee Myung Hyun(2012).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5 minutes in in-situ simulated cardiac arr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361-368.
Kang Ji Soon, Oh Jae Woo, Lee Mi Yea(2010). The mean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xperienceby nurses. Qualitative Research, 11, 134-145.Korea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m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Seoul: Korea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1, modified May 19, 2021, acessed. Available http://www.kacpr.org/popup/file/2011_guidelines.pdfKim Gi Yon, Kim Ki Kyong, Park So Mi, Shin Yoon Hee, Lim Young Mi, Choi Hyang Ok, Choi Ji Hea, Hur Hea Kung et al(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28-240.Kwon Mal Suk, Kwon Sang Min, Shin Seung Hwa(2013).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1), 5819-5826. Ko Jin Kyung, Park Jae Hyun, Yoo Hyo Bin.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skills in simulation-based training(2012).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1), 7-14.Korea CPR Association, Korea CPR AssociationBasic resuscitation(KBLS), last modified May 13, 2021, acessed May 19, 2021,
http://www.kacpr.org/board/bbs_list.php?code=CPRbbs&category_idx=65&category1_code=1412125592&page_idx=1135” Kim Yoon Hee(2010).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cardiopulmonary emergency nursing education on th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ew nurses. Degree Thesis (Doctor) -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6-15.Kim In Soo(1996). Korean dictionary. Eunpyeong Institute of Language and Literature.Kwak Yoon Sil(2018).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60.Ko Jong Hyun(2007). Simulation-based education is based on the ability of emergency services students to perform basic resuscitation. Korean Journal of Emergency Rescue, 11(3), 31-45Kim Chun Ja, Kim Yong Soon, Park Ji Won, Ahn Jung Ah, Yoo Moon Sook, Yoo Hye Ra, Chae Sun Mi(2012). The impact of critical thinking, self-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Education, 24(3), 223-231.Kwon In Soo(2002). Analysis of research papers on clinical practice training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n Nursing Society, 32(5), 706-715.
Kim Sun Hwa(2015).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healthcare-related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Ph.D. thesi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Korea Institute of Nursing Education(2017). Self-assessment briefing session for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in the first half of 2017.Kim Yoon Min, Kim Yoon Hee, Kang Seo Young(2010).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imulation-based intensive care education combined with Microsi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in Korea, 16 (1), 24-32 .

Lee Young Hee(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experience among preceptors in hospital. A dissertation on a master's degree in Korea,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ng, R. E. Using simulation to teach resuscitation: An important patient safety tool.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7(1), 1-8.Lee Hyun Duk, Jung Sun Young(2018). Relationship betwe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knowledge, professional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A descriptive analysis of medium-to small-sized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
Lisa S Ball(2009). A collaborative exercise between graduate and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ing a computer-assisted simulator in a mock cardiac arres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1), 22-27.
Lo BM, Devine AS, Evans DP, Byars DV, Lamm OY, Lee RJ, et al(2011). Comparison of traditional versus high-fidelity simulation in the retention of ACLS knowledge. Resuscitation. 82(11), 1440-1443.Lim Kyung Soo, Hwang Seong Oh.(201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professional cardio. Gunja Publishing Company: Seoul.Lee Sun Ok, Lee Ju Hee, Eom Mi Ran(2007).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90-94.Medley, C. F, Horne, C. Using simulation technology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1-34, 44.
Murray, C, Grant, M. J, Howarth, M. L, Leigh, J(2008). The Use of Simulation as a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o support Practice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5-8.
McCausland, L. L, Curran, C. C, Cataldi, P(2004). Use of Human Simluator for Undergraduate Nurs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1(1), 1-17.Moule, P, Wilford, A, Sales, R, Lockyer, L(2008). Student experiences and mentor views of the use of simulation for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28, 790-797.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2000). https://stdict.korean.go.kr/Park So Mi, Hur Hea Kung(2012).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11-119. Pi Hye Young(2013).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program on ACLS study of paramedic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7(3), 139-147.Papa MJ(1989). Communicat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Southem communication Joumal. 55(1), 87-101.Pacsi, A. L(2009). Human Simulator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New York State Nurses Association, 39(2), 8-11.Ragsdale, M. A, Mueller, J. Plan, do, study, act model to improve an orienta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 268-272.Ryoo Eon Na, Ha Eun Ho, Cho Jin Young(2013).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using high-fidelity and multi-mode simulation: an application of emergency care for a patient with cardiac arr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2), 185-93.Rodgers DL, Securro S Jr, Pauley RD(2009).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on educational outcomes in a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course. Simulation in Healthcare. (4), 200-206.Rystedt, H., Lindstrom, B(2001). Introducing simulation technologies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Practice, 1, 134-141.Silvestri. L. A(2002). Saunders Q & A Review for NCLEX-RN.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Simulation(2009). In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Retrieved.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simulationSsenberg, S. B, Mcgaghie, W. C, Pertusa, E. R, Gordon, D. L, Scales, R.J(2006).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 that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7(1), 10-28.Turcato, N, Robertson, C, Covert, K(2008). Simulation-Based Education: What's in it for Nurse Anesthesia Educators?. AANA Journal. 76(4), 257-262.Yoon. J(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4(2). 159-66.Yang, Jin Ju(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ult Nursing, 20(4), 14-24, 548-560.Yoo So Young(2013).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for newborn emergency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4), 468-477. Yee, B, Naik, V. N, Joo, H. S, Savoldelli, G. L., Chung, D. Y, Houston, P. L, Karatzoglou, B. J, Hamstra, S. J(2005). Nontechnical Skills in Anesthesia Crisis Management with Repeated Exposure to Simulation-based Education. Anesthesiology, 103(2), 241-248.Zhang, Z, Luk, W, Arther, D, Wong, T(2001). Nursing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4), 467-474.
강경훈 (2009).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영미, 유순화, 윤경미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와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415-438.
강유진, 오석희, 홍혜정 (2018). 간호대학 학생의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기초간호자연학회지 20.1, 30~3714.
강은희, 김미영 (2014).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107-107.
강화이 (2013). 청소년의 종교 활동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고관우, 남진열 (2013). 제주지역 대학생의 취업 준비 활동과 취업 스트레스와 의 관계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43(단일호), 293-319.
고유미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정미. (20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스트레스연구, 25(2), 120-127. DOI: 17547/kjsr.2017.25.2.120
곽민경, 서보준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21(1), 75-112.
김경희, 윤희상 (2013). 간호 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2(4): 320-329.
김근면 (2015).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김금이, 이보영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눈문지, Vol.14 No.10
김도연, 오옥선, 김성봉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5), 71-91.
김명숙 (2016). 임상실습 간호 대학생을 위한 동사섭 훈련 적용 주장훈련의 개발 및 효과. journal of korea.
김명애 (2013). 간호수가연구 분석 및 적정 간호수가 급여화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교.
김명옥 (2011).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옥, 박영숙 (2012).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69-90.
김미예 (2016).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건국대학교 간호학 학위논문.
김민지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선양, 김태희, 홍소현, 박진주, 전아영, 김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임상스트레스의 관계, 예술인문사회멀티미디어논문지 7, 577-5928.
김순례, 이종은. (2005).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98-106.
김애리 (2017). 간호대학생의 공감피로, 자아탄력성 및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 646~663.
김은아, 장금성 (2012).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구축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2), 312-322.
김은희(2015).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피로,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0(1), 24-36.
김인숙, 장윤경, 박수호, 송소현 (2011).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수행능력. 한국 간호교육학회지, 17(3), 337-345.
김정효, 박미경 (2012). 임상실습 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김종군, 김정미, 최미경 (2003). 서울시내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4), 413-422.
김현정 (2013). 공감만족-공감피로(CS-CF) 모델에 근거한 임상간호사의 소진 구조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수, 안정선, 배진형 (2013), 사회복지실습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처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740-753.
민은실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자아탄력성 및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의료커뮤니케이션 13(1), 71-7812.
박민아 (2009).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민아 (2009).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복순(2009). 간호학생의 성 역할 정체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 Stres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by sex role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박영숙, 권윤희 (2013).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박완주, 한지영 (201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가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권 (3호), 365-3756.
박지현, 김은희 (2017).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신은정 (2012),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계명대학교 대학원.
안미영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및 주간 졸림증에 관한 조사연구. 가천대 간호대학원 학위논문5.
양선이. (2016).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9), 286-296. DOI: 10.5392/JKCA.2016.16.09.28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한나래출판사.
유계숙, 신동우 (2013).대학생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상담학연.
이경진 (2008). 스트레스, 반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학위논문.
이미련, 남문희 (2017). 간호대학생의 인성 및 관련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Vol.7 No.6.
이에리쟈 (2004). 여성 성인주기별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위논문.
이유민 (2014).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학위논문.
장현숙, 이정순 (2016). 간호학생의 밀착형 실무진입 임상실습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상태불안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Vol.23 No.4.
정경순 (2013).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 10호, 165~1837.
정계선, 김경아, 성지아 (2013).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정승교 (2011).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조옥희, 황경혜(2014). 신입간호사의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핵심자기평가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7), 291-301.
조혜선 (2016).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종양전문간호 석사 학위논문.
지은주, 방미란, 전혜진 (2013),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4), 571-579.
한정진 (2012).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홍민주 (2014). 간호 대학생의 학습유형. 비관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6(5):2841-2853.
홍성실, 박미정 (2014).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홍성실, 홍정아, 전원희 (2013). 간호학생의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361-369.
황성자(2006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 - Efficacy, and Self -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5-213
Akbay, A. (2014). Visual Analog Scale (VAS) Evaluation. . Paper presented at the Turkish Society of Neurosurgery-Spine and Peripheral Nerve Surgery Group.
Dulay, G. S., Cooper, C., & Dennison, E. M. (2015). Knee pain, knee injury, knee osteoarthritis & work.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9(3), 454-461.
Durán A, S., Fuentes de la C, N., Vásquez Q, S., Cediel G, G., & Díaz N, V. (2012), Relación entre estado nutricional y sueño en escolares de la comuna de San Miguel, Santiago, Chlle. Revista Chilena de Nutrición, 39(1), 30–37.
Escobar, C., González Guerra, E., Velasco-Ramos, M., Salgado- Delgado, R., & Angeles-Castellanos, M. (2013). La mala calidad de sueño es factor promotor de obesidad. Revista Mexicana de Trastornos Alimentarios, 4(2), 133–142.
Favero, M., Ramonda, R., Goldring, M. B., Goldring, S. R., & Punzi, L. (2015). Early knee osteoarthritis. RMD open, 1(Suppl 1), e000062.
Geiker, N. R. W., Astrup, A., Hjorth, M. F., Sjödin, A., Pijls, L., & Markus, C. R. (2018). Does stress influence sleep patterns, food intake, weight gain, abdominal obesity and weight loss interventions and vicerversa Obesity Reviews, 19(1), 81–97.
Lahana, E., Papadopoulou, K., Roumeliotou, O., Tsounis, A., Sarafis, P., & Niakas, D. (2017). Burnout among nurses working in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BMC Nursing , 16(15).
Martínez-Moyá, M., Navarrete-Muñoz, E. M., García de la Hera, M., Giménez-Monzo, D., González-Palacios, S., Valera-Gran, D., … Vioque, J. (2014). Asociación entre horas de televisión, actividad física, horas de sueño y exceso de peso en población adulta joven. Gaceta Sanitaria, 28(3), 203–208. 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