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절제술(Hysterectomy)
1.1. 정의
자궁절제술은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여성 생식기계 질환의 가장 흔한 수술로서 자궁근종, 악성 종양, 자궁선근증,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골반염, 심한 자궁출혈, 자궁탈수 등의 경우에 시행된다. 자궁은 여성의 생식 및 월경과 관련된 중요한 장기이므로, 자궁절제술은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사와 간호사는 자궁절제술이 필요한 여성에게 수술의 목적과 예상되는 결과, 회복 과정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가 적극적으로 치료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
1.2. 자궁절제술의 종류와 방법
1.2.1. 자궁절제술의 종류
자궁절제술의 종류는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자궁경부는 남기고 자궁 체부만 제거하는 "부분자궁절제술(subtotal hysterectomy)"이다. 이 수술은 자궁경부와 함께 자궁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 자궁 상부만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월경이 지속되고 임신도 가능하다. 다만 자궁이 제거되어 임신할 때의 합병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둘째, 자궁경부와 체부를 모두 절제하는 "전자궁절제술(total hysterectomy)"이다. 이 경우에는 자궁 전체가 제거되어 월경과 임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셋째, 전자궁절제술에 한쪽 또는 양쪽 난소난관절제술을 동반하는 경우이다. 이는 "전자궁절제술과 한쪽 난소난관절제술" 혹은 "전자궁절제술과 양쪽 난소난관절제술"이라 할 수 있다. 난소와 난관이 제거되면 월경과 임신이 불가능하며 폐경이 유발된다.
넷째,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는 "근치자궁절제술(radical hysterectomy)"이다. 이는 자궁 전체와 함께 자궁 주위의 림프절과 인대까지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수술이다. 월경과 임신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뇨기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자궁절제술의 종류는 제거 범위에 따라 다양하며, 그에 따라 여성의 생식 기능과 호르몬 분비에도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1.2.2. 수술방법
자궁절제술의 수술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궁절제술의 수술방법 선택은 수술의 적응증, 자궁의 크기, 자궁과 자궁경부의 하강 정도, 질의 모양과 수술의사의 기술 및 선호도 등에 의해 달라진다. 주된 수술방법으로는 복식 전자궁절제술(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질식 전자궁절제술(total vaginal hysterectomy, TVH), 복강경하 보조 질식자궁절제술(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H)과 복강경하자궁경부상부절제술(laparoscopic supracervical hysterectomy, LSH), 또는 로봇을 이용한 자궁절제술(robot assisted hysterectomy)이 시행되기도 한다.
복식 전자궁절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