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동물매개활동 AAA 효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노인 동물매개활동 AAA 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1.1. 동물매개치료의 정의
1.2. 동물매개치료의 역사
1.3. 동물매개치료의 방법
1.3.1. 방문형
1.3.2. 사육형
1.3.3. 활동형
1.4. 치료도우미 동물 선택과 조건
1.5. 동물매개치료의 효과
1.5.1. 도우미적 효과
1.5.2. 신체적 효과
1.5.3. 인지적 효과
1.5.4. 사회적 효과
1.5.5. 정서적 효과
1.6. 동물매개치료 사례
1.6.1. 자폐 아동에 대한 동물매개치료 사례
1.6.2. 발달장애 대상 동물매개치료 적용 사례
1.6.3. ADHD 아동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례
1.6.4. 해외 사례
1.7. 동물매개치료 기전
1.7.1. 단계별 기전
1.7.2. 아동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치료 효과 기전
1.7.3.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치료 효과 기전
1.8. 동물매개치료와 다른 대체요법과의 차별성
1.8.1. 미술치료
1.8.2. 음악치료
1.8.3. 원예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1.1. 동물매개치료의 정의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AAT)란 살아있고 감정이 있으며 따뜻한 체온이 있는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부족한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즉, 동물을 매개로 하여 내담자의 인지, 신체, 사회, 정서적 기능의 향상 및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 방법 중 하나로 동물 보조치료라고도 한다. 상담학, 정신재활의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등의 이론과 실제를 종합적으로 접목한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분야로서, 치료사는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라는 책임과 목적에 따라 계획적으로 동물을 활용해야하는 분야이다.


1.2. 동물매개치료의 역사

동물매개치료의 역사는 그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동물을 이용한 치료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사의식을 치르는 과정에서 애견을 이용하였는데, 애견이 환자를 핥아주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믿었다고 한다. 이후 9세기경 벨기에에서 동물이 장애인들의 치료에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790년대 영국 요크셔 지방에 설립된 정신장애인 수용소에서 토끼나 닭을 키워 환자들의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고 치료에 도움을 주었다고 전해진다. 1867년 독일에서는 간질 환자를 위한 주거시설 내에 새나 고양이, 개, 말 등을 돌볼 수 있는 동물농장과 동물보호구역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1919년 미국에서는 1차 세계대전으로 정신 질환을 앓게 된 군인들이 애견과의 유대를 통해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에 워싱턴시의 세인트 엘리자베스 병원에서 애견을 환자의 놀이상대로 제공하여 치료에 활용하였다. 이후 1942년 미국 공군요양병원이 적십자사와 협조하여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으로 2차세계대전에서 다친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주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심리학자들이 동물로 인해 사람의 행동패턴에 일어나는 변화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애완동물을 활용한 장애인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1960년대 미국의 소아정신과 전문의인 레빈슨(Boris Levinson)이 자신의 애견 "징글"을 동물매개치료에 직접 적용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관찰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동물매개치료가 시작되었다.

1977년에는 미국에서 동물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형태의 동물매개치료 활동의 조직화를 위해 델타 소사이어티(Delta Society)란 단체가 발족되었다. 이후 1980년대부터 전문가 수준의 치료를 "AAT"(Animal-Assisted Therapy)로, 비전문적 수준의 활동을 "AAA"(Animal-Assisted Activity)로 구분하여 부르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동물매개치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국제단체인 IAHAIO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uman and Animal Interaction Organizations)가 결성되어 상호 연구결과 공유 및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1.3. 동물매개치료의 방법
1.3.1. 방문형

방문형은 치료사가 직접 동물을 데리고 환자의 집이나 병원 등을 방문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단시간의 방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물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사육하는 동물은 치료사가 직접 조련한 동물일 수도 있고, 동물 주인인 자원봉사자와 함께 팀을 이뤄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방문형 동물매개치료의 경우 동물과 치료사가 직접 환자를 만나면서 상호작용하게 되므로, 환자와 동물 간의 관계 형성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환자의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환자의 반응을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물을 병원이나 시설로 데리고 가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와 통제가 어려우며, 감염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1.3.2. 사육형

사육형은 치료실이나 병원 같은 시설에서 직접 길러 환자들의 치료에 이용하는 동물들을 의미한다. 동물매개치료사에 있어서 사육형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치료에 이용하는 동물과 치료사와의 유대를 높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대로 동물에게는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사육형 동물매개치료에서는 치료실이나 병원 내에서 동물을 직접 기르고 돌보면서 치료에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동물과 치료사 간의 유대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치료사가 직접 동물을 훈련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동물과의 깊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동물이 늘 동일한 공간에 머물러야 하므로 동물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동물이 익숙한 환경이 아닌 치료실이나 병원 내에서 지속적으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동물의 건강과 복지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적절한 관리와 환...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theaat?Redirect=Log&logNo=140007059670 - 인간과 동물의 교감 (블로그) -동물매개치료의 정의,사례
http://shane3158.blog.me/10041842196?Redirect=Log&from=postView - 울디의 생물나라 (블로그)
http://www.kaatwa.org/
http://scholar.ndsl.kr/schDetail.do?cn=JAKO201251348012185&topN=5 - NDSL 김옥진교수님 논문자료
www.kaaap.org -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http://news.nate.com/view/20071125n00970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c/aat/aat1.html - 마음백과
http://www.kfaat.org/therapykorea.php - 한국동물매개치료연맹
동물매개치료학과,동물매개치료란?/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2015.04.20
[김옥진의 동물매개치료②] 동물매개치료란 무엇인가?/김옥진/2014.11.22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c/aat/aat5.html
동물매개치료 역사 (Animal assisted therapy)/칸이아바/2014.01.07
인간과 동물 / 2014 / 동원출판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