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지용 시 향수 감상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지용과 그의 시 세계
1.1. 정지용의 생애
1.2. 정지용 시의 주요 특징
1.2.1. 이미지와 감각적 표현
1.2.2.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성격
1.2.3. 전통 지향성과 상고주의
1.3. 대표 작품 「향수」 분석
1.3.1. 다양한 이미지와 감각의 활용
1.3.2. 짝수 연의 반복적 구조
1.3.3. 고향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
1.4. 정지용 시 세계의 미학적 특성
2. 일제강점기 말기 잡지 『문장』과 '문장파'
2.1. 『문장』의 성격과 편집인들
2.1.1. 『문장』의 편집 체제와 특성
2.1.2. 주요 편집인들의 지향점
2.2. '문장파'의 상고주의와 전통적 민족주의
2.2.1. 중등국어교본의 반영
2.2.2. 『문장』에 나타난 미학적 지향
2.3. '문장파'에 대한 비판과 재해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지용과 그의 시 세계
1.1. 정지용의 생애
정지용은 1902년 6월 20일(음력 5월 15일) 충청북도 옥천 하계리에서 약상을 경영하던 정태국과 정미하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연못의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태몽을 꾸었다고 해서 아명을 지룡(池龍)이라고 하였고, 이름도 지용(芝溶)이라고 하였다."" 9세 때인 1910년 옥천공립보통학교(지금의 죽향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2세 때인 1913년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했다."" 17세 때인 1918년 서울로 올라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휘문고보에 재학하면서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搖籃)≫을 발간하였으며, 1919년 3ㆍ1운동 당시에는 교내 시위를 주동하다가 무기정학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1919년에 창간된 월간종합지 ≪서광(瑞光)≫에 '3인'이라는 소설을 발표하였다."" 1922년 휘문고보를 졸업한 뒤에 시작(詩作) 활동을 하였고, 휘문고보 출신의 문우회에서 발간한 ≪휘문(徽文)≫의 편집위원을 지냈다."" 1923년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일본 교토의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대학에 다니던 1926년 유학생 잡지인 ≪학조(學潮)≫ 창간호에 '카페 프랑스' 등 9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1929년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뒤에는 휘문고보 영어과 교사로 부임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재임하였다."" 1930년에는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과 함께 동인지 ≪시문학≫을 발간하고, 1933년에는 순수문학을 지향하는 김기림ㆍ이효석ㆍ이종명ㆍ김유영ㆍ유치진ㆍ조용만ㆍ이태준ㆍ이무영 등과 함께 9인회를 결성하며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인물로 떠올랐다."" 1935년 34세 때 그 동안 발표했던 시들을 묶어 첫 시집인 ≪정지용 시집≫을 출간하였으며, 1939년부터는 ≪문장(文章)≫의 시 부문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이한직, 박남수 등을 등단시켰다."" 해방 이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한국어와 라틴어를 강의하였고, ≪경향신문≫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했다."" 1946년 2월에는 사회주의 계열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문학가동맹의 아동분과 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그해에 시집 ≪지용시선(芝溶詩選)≫을 발간했다."" 1947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시경(詩經)≫을 강의하기도 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이화여대 교수를 사임하고, 지금의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 초당을 짓고 은거하며 ≪문학독본(文學讀本)≫을 출간했다."" 이듬해인 1949년 2월 ≪산문(散文)≫을 출간했으며, 6월 국민보도연맹이 결성된 뒤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참여했던 다른 문인들과 함께 강제로 가입되어 강연 등에 동원되기도 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뒤에는 김기림. 박영희 등과 함께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으며, 이후 북한군에 의해 납북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와 시기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데, 1953년 평양에서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 발행하는 ≪통일신보≫는 1993년 4월에 정지용이 1950년 9월 납북 과정에서 경기도 동두천 인근에서 미군의 폭격으로 사망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발표하기도 했다.
1.2. 정지용 시의 주요 특징
1.2.1. 이미지와 감각적 표현
정지용의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감각적 표현은 그의 시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정지용은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를 중시하였으며, 다양한 감각적 표현을 활용하여 시적 경험을 구체화하고 생동감 있게 형상화하였다.
정지용의 대표작 「향수」에서 이미지와 감각적 표현은 두드러진다. 이 작품에서는 청각, 시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고향의 풍경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지줄대는 실개천", "금빛 게으른 울음", "말을 달리는 밤바람 소리", "우짖는 서리까마귀", "도란도란거리는 소리" 등의 청각적 이미지와 "얼룩빼기 황소",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 등의 시각적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또한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나 "하늘에는 성근 별" 등 후각적, 시각적 이미지가 고향의 정취를 효과적으로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정지용은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고향의 풍경을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표현함...
참고 자료
이민호, 「[특집논문/정지용] 정지용 시에 나타난 의미의 사회적 생산 분석-시 향수를 중심으로」,『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3.6, 59-79쪽
민병기, 「정지용의 바다와 향수」 , 『시안 제 4권』, 시안사, 1999.6, 253-27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