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뇨생식기 기능과 해부
1.1.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의 4개 기관으로 구성되며, 신장과 요관은 상부요로계, 방광과 요도는 하부요로계를 이루고 있다.
신장(kidney)은 한 쌍의 복막뒤장기(retroperitoneal organ)로서 제12번 등뼈에서 제3번 허리뼈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고 있다. 신장은 붉은색을 띠는 구조로 크기는 성인기준 길이 약 12cm, 폭 5~7.5cm, 두께 약 2.5cm이며 무게는 115~175g 정도이다. 신장내측에는 신문(hilum)이라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으며, 이곳으로 요관, 콩팥동맥, 콩팥정맥, 림프관과 신경 등이 신장으로 들어간다.
신장은 피질(cortex)과 수질(medulla)로 구분되며, 약 100만 개 이상의 콩팥단위(nephron)로 이루어져 있다. 콩팥단위는 사구체(glomerulus)와 콩팥요세관(renal tubule)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구체는 사구체모세혈관막을 가지고 있어 분자량이 작은 물질들을 여과하며, 여과된 물질들은 요세관을 통해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신장은 하루에 약 1,500L의 혈액을 처리하여 그 중 약 1.5L의 최종 소변을 배출하는데, 이를 통해 체내 요독 물질을 제거하고 수분과 전해질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적혈구 생성 자극, 비타민 D 활성화, 혈압 조절 등의 내분비 기능도 담당한다.
1.2. 신장 구조와 기능
신장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신장은 후복막 기관으로 열두번째 등뼈에서 셋째 허리뼈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며, 오른쪽 신장이 간 아래에 있어서 왼쪽 신장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다. 각 신장의 위에는 부신이 있다. 성인의 신장 무게는 115~175g 정도이며, 크기는 길이가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 cm로 거의 주먹 크기에 가깝지만 영아기에는 그보다 작다.
신장의 바깥쪽 영역은 피질(cortex), 내측은 수질(medulla)로 구분된다. 콩팥겉질(피질)과 콩팥속질(수질)이 뚜렷이 구분되며, 수질은 약 8~18개의 피라미드로 되어 있다. 피라미드의 넓은 바닥부는 겉질을 향해 있고, 꼭대기부는 콩팥유두(papilla)로서 작은콩팥잔(소신배, minor calyx)에 돌출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단위인 콩팥단위(신원, nephron)는 사구체(glomerulus)와 콩팥요세관(renal tubule)으로 구성된다. 신원은 한쪽 콩팥에 약 백만 개 이상 존재한다. 사구체는 사구체모세혈관과 보우만주머니(Bowman's capsu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콩팥겉질에 위치한다. 콩팥요세관은 근위요세관, 요세관고리(Henle의 고리), 원위요세관, 집합관으로 구성된다.
콩팥은 하루에 심장이 박출한 혈액의 약 20~25%를 처리하며, 이 중 소변으로 나가는 양은 1,000분의 1인 1.5L 정도이다. 신장의 주요 기능은 혈액의 여과,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유지, 산-염기 균형 조절, 적혈구 생성 촉진, 인슐린 대사와 혈압 조절 등이다. 소변 형성 과정에는 사구체여과, 요세관재흡수, 요세관 분비의 3가지 과정이 관여한다.
1.3. 요로계 구조와 기능
요로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다""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이 요관을 통해 방광에 저장되고, 일정량의 소변이 방광에 모이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요관은 신장과 방광을 연결하는 약 25-30cm의 관으로, 근육성 벽이 수축하여 소변을 방광으로 밀어낸다""
방광은 속이 빈 주머니 모양의 근육기관으로, 정상 성인은 400-500cc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다""
요도는 방광을 통해 배출된 소변이 몸 밖으로 나가는 통로이다"" 남자의 경우 길이가 15-20cm로 전립샘부, 막부, 해면체부로 구분되며, 여자의 경우 길이가 약 4cm로 더 짧다""
1.4. 비뇨생식기계의 발달
비뇨생식기계의 발달은 배아의 중간 중배엽(inter-mediate mesoderm)에서 시작한다"" 신장과 요관의 발생학적 이상으로 생기는 선천성 기형은 주로 형태와 위치이상이 관련된다"" 무신장증은 신장발달의 최종 단계에서 요관이(ureteral bud)의 생성이 결여되거나 발 육이 되지 않은 경우로 일측성인 경우에는 하나의 신 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양쪽 신장이 융합하여 생기는 형태로 가장 흔한 것은 말굽콩팥(horseshoe kid-ney)으로 양측의 후신(metanephros)이 융합하여 생긴 경우이다"" 방광과 요도는 요막관(allantoic duct)과 후장(hind-gut)이 합쳐지면서 총배설강(cloaca)이 형성되며 이는 배아의 발달에서 외부와 종배설강막(cloacal mem-brane)으로 분리된다"" 총배설강막은 다시 앞부분은 요 생식동, 뒷부분은 직장이 된다"" 총배설강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 그 위치에 따라 직장방광누공(rec-tovesical fistula), 직장요도공(rectourethral fistula) 을 초래한다"" 남아의 요도상열(epispadias)은 생식원 기(genital primordia)의 과다 발달로 음경해면체가 요 생식동의 출구 바로 밑에서 형성되어 결국 요도가 음경의 배부에 도랑을 파놓은 것과 같은 요도구가 만들어지는 경우이다"" 요도하열(hypospadias)은 요도주름 의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완전한 경우에 생길 수 있다"".
2. 비뇨기계 검사 및 평가
2.1. 간호력 및 병력 청취
아동에게 병력을 직접 듣기는 어려우나 부모의 관찰 내용과 가능성 있는 증상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주요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과 심해지는 정도, 진행 상태, 아동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악화 또는 완화시키는 요인, 관련된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 가족 중에 신질환이 있거나(다낭성 신장, 요붕증,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 B형 간염, 방광요관 역류에 대한 건강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출생력과 과거력에서 태반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선천성 신증후군, 주산기 가사와 육안적 혈뇨가 있는 경우는 신정맥 혈전증의 가능성이 있다"" 출생 시 고위험 신생아로 제대 동맥 카테터를 삽입한 병력이 있는 영아에게 고혈압이 동반된다면 신장 동맥에 혈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2.2. 임상 증상 사정
임상 증상 사정은 비뇨기계 건강문제가 있는 아동의 증상을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아동기에 발생하는 비뇨기계 질환의 임상 증상은 아동의 연령과 성숙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신생아와 영유아의 경우 국소적인 증상을 호소하기 어려워 발열과 같은 전신증상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요로감염 등의 비뇨기계 질환을 의심하여 신속한 평가와 진단이 필요하다""
한편 아동기 후기에는 배뇨장애, 요로감염 등의 증상을 보다 명확히 호소하기 때문에 세밀한 병력 청취와 함께 임상증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