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학자정약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1.1.2. 벼슬 생활과 유배
1.1.3. 고향 생활과 학문 정리
1.2. 정약용의 사상
1.2.1. 정치사상: 민본사상
1.2.2. 경제사상: 여전론
1.2.3. 교육사상: 실천윤리학
2. 정약용의 문학 작품
2.1. 보리타작
2.2. 기민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고향 마재에서 태어났다. 당시 세상은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정조가 사망하고 정권을 탈취하려는 세력들이 득세하면서 정치적 갈등과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정약용의 가문은 유명한 집안으로, 8대 옥당 가문에 속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온 훌륭한 조상들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태어난 마재는 정약용 가문의 오랜 터전이었으며, 초기 천주교 인사들이 모였던 곳이기도 했다. 이처럼 정약용은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유서 깊은 가문 배경 속에서 태어났다.
정약용은 어린 나이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네 살 때부터 아버지에게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했는데, 배우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문자를 완벽하게 익혔다. 일곱 살에는 처음으로 시를 짓기 시작했는데, 그의 첫 작품 '산'은 주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 정도로 뛰어났다. 이후에도 그는 수학, 과학 등 다방면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열 살 이전에 지은 시들을 모아 자신만의 시집 '삼미자집'을 완성할 정도였다.
뿐만 아니라 정약용은 성장하면서도 꾸준히 학문적 성취를 이뤄냈다. 십대 시절에 이미 두보의 시를 모방하고 화답하는 작품을 수백 편이나 썼다. 또한 맹자와 서경을 탐구하며 학문에 정진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그는 경학을 새롭게 해석한 '다산 경학'을 확립하기도 했다.
이처럼 정약용은 태어날 때부터 뛰어난 천재성을 보였으며,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매진하며 빠른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그의 발자취는 후일 그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2. 벼슬 생활과 유배
정약용은 28세의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공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789년(정조 13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한림학사로 추천되었고, 이후 예문관의 검열이 되었다. 이 시기 정약용은 정조의 최측근으로 활약하며 다양한 공직을 수행하였다.
정약용은 1799년(정조 23년) 38세에 형조 참의직을 사직하게 된다. 이는 정조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이 있는데, 정약용은 정조의 인척인 정의현감 홍명호가 죽음에 연루되어 있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다가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정약용은 관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후 1800년(정조 24년) 40세에 유배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정약용은 1800년 5월 경복궁 추문 사건으로 인해 유배형을 받게 되었다. 이 사건은 정조가 갑작스럽게 죽게 되자 그의 정치적 적대세력들이 궁중 내부에서 세력을 장악하려 하면서 벌어진 권력 투쟁이었다. 정약용은 이 과정에서 피해자가 되었다. 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 자신의 저서 《목민심서》 등에 실린 개혁안들이 문제가 되어 유배형을 받게 된 것이다.
정약용은 ...
참고 자료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서보혁, 이찬수 《한국인의 평화사상》, 인간사랑, 2018
김동욱, 《수원화성》, 대원사, 1989
허경진, 《다산 정약용 산문집》, 서해문집, 2010
박석무, 《다산 정약용 평전》, 민음사, 2014
이경순, <학습자 중심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경험적 성장에 관한 비교 연구: 4학년과 1학년의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2015
박경수, <목민관은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 2017
역사그날 저널-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전한 사랑
http://www.kbs.co.kr/1tv/sisa/theday/
EBS - 정약용의 목민심서("Mind of Governing the People")
https://plus.google.com/+ebsdocumentary
다큐S프라임 -실학을 완성한 공학자, 정약용
http://dmb.ytn.co.kr/mytn/program
정간휘,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 추출한 교사상 탐구, 2007
양명우,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2007
이영실, 다산 유적지와 실학박물관 활동지 개발 방안: 다산 정약용의 삶과 학문, 2015
지성구, 다산 사상에 나타난 교육정책적 함의, 2000
김희영, 다산 정약용의 신민본사상에 관한 연구, 1999
최혜성, 茶山 정약용의 敎育思想, 2006
송혜영,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2007
박양호, 정약용 문학의 작가론적 교육 방안 연구, 2005
김효건, 정약용의 목민심서와 사회복지사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14
박계옥, 조선후기 사창제도에 관한 일고찰, 1982
박승규, 우리가 잘 모르는 연암과 다산 이야기, 충남일보 2020.06.30
박석무. 다산 정약용 평전. 민음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