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교육계획안 치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및 목적
1.1. 주제 선정 배경
1.2. 교육 대상자 선정
2. 보건교육 내용
2.1. 치매의 정의 및 증상
2.2. 치매의 종류와 원인
2.3. 치매 예방법
2.3.1. 식습관 및 운동
2.3.2. 인지 활동
2.3.3. 건강관리
3. 교육 계획
3.1. 교육 대상
3.2. 교육 장소 및 일시
3.3. 교육 방법 및 내용
4. 교육 자료
4.1. PPT 자료
4.2. 팸플릿 및 자가진단표
4.3. 색칠 훈련 교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및 목적
1.1. 주제 선정 배경
전국 보건진료소를 실태 조사한 (김영선, 원장원, 강은나& 신혜리, 2017) 자료를 보면,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주민들의 대부분은 70대(70.4%)이며, 지역주민이 주로 호소하는 건강문제는 고혈압(49.4%)이고, 주요 건강상담 내용은 만성질환 관리(37.3%)였다. 현대의 보건진료소는 1차 진료의 목적보다는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었으며 특히 인구 고령화 현상에 맞춰서 노인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만성질환으로의 이행을 줄이는 관리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이런 건강증진 사업으로 운동과 재활(30.9%), 치매 관리 및 예방(14.8%), 건강관리 교육(11.8%)등이 있었다. 더불어 보건진료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보건의료 사업에 대해 치매관리 및 예방(7.1%)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치매이해능력, 건강관리 교육 등 만성질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에 노인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주로 자리한 보건진료소에서는 그들을 위해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중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것과 예방,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1.2. 교육 대상자 선정
교육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지역 주민으로 설정하였다. 전국 보건진료소를 실태 조사한 2017년도 자료에 따르면 보건진료소를 방문한 주민들이 대부분 70대(70.4%)이상이었으며, 전국적으로 60세 이상 추정치매 유병률은 7.2%였다. 특히 충북 괴산지역의 60세 이상 추정치매 유병률은 8.8%로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WHO에서는 나이가 치매의 가장 강력한 위험요소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교육 대상자인 60세 이상 노인들이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더불어 보건진료소를 방문하는 대부분의 주민들이 노인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치매 예방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치매 예방 교육의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지역 주민으로 선정하였다.
2. 보건교육 내용
2.1. 치매의 정의 및 증상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을 의미한다. WHO는 치매를 "뇌 질환으로 생기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대개 만성적이고 진행성이며,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과 관련된 뇌 피질기능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인지기능의 장애는 흔히 정서 조절, 사회적 행위 및 동기화 등의 문제를 동반한다.
치매의 대표적인 초기증상은 기억력 장애이다.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젊었을 때 비해 기억력이 저하되기 마련이지만, 치매에서의 기억력 저하는 이러한 정상적인 변화와는 다르다. 치매는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니며,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기억력 저하는 대개 사소한 일들에 국한되어 있고 개인의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저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억력의 저하가 가장 흔한 첫 증상이긴 하나, 언어, 판단력의 변화나 성격의 변화가 먼저 나타날 수도 있다. 치매를 진단하...
참고 자료
김영선, 원장원, 강은나& 신혜리.(2017). 보건진료소 노인대상 건강증진사업 실태 연구.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2014). 치매예방 '두근두근(頭筋頭筋) 뇌운동' 제1권 발간. 중앙치매센터.
송명경, 김순옥& 김춘숙. (2018).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1). pp. 81-95.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2
이경희 외 공저, 보건교육학, 수문사
김영원, [100세뇌건강]80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이 치매],
아시아경제, https://www.asiae.co.kr/article/*************782256
중앙치매센터(https://www.nid.or.kr/main/main.aspx)
서울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지정 노인성치매임상연구센터, 임상연구지원센터.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수칙[책자, 팸플릿]. 보건복지가족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