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흉막삼출 x-ra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이론적 문헌고찰
2.1.1. 정의
2.1.2. 원인
2.1.3. 병태생리
2.1.4. 증상
2.1.5. 진단
2.1.6.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사정
3.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 적용
4.1. 과도한 폐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4.2.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5. 소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호흡기내과는 숨을 쉬는 기관지와 폐 및 그 장기에 생길 수 있는 여러 질환인 감기, 폐렴, 결핵, 천식 등을 진료하고 연구하는 분과 중 하나이다. 호흡기내과에서 이번 실습동안 호흡기에 관련해 입원 치료 중인 대상자들을 볼 수 있었다. 실습 중인 병동은 고령의 대상자들이 적지 않게 있어 한가지 질환이 있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 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흉막 삼출을 케이스 대상자로 선정한 이유는 라운딩 중 봤던 진단명들 중 'Pleural effusion'이라는 진단명이 매우 생소했고 흉막삼출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이론적 문헌고찰
2.1.1. 정의
정상인의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허파 쪽 흉막과 흉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 쪽 흉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 가슴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 공간이라 부른다. 정상인의 경우 벽 쪽 흉막에 있는 모세 혈관에서 흉막 안쪽으로 소량의 체액이 일정하게 생성되어 들어간다. 그러나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는 질환이나 체액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질환이 발생하면 흉막 삼출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흉막 삼출은 원인 질환에 의해 흉막에서 흡수되는 체액보다 생성되는 체액이 많아질 때 발생한다. 흉막 삼출은 다양한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하는데 삼출액의 경우 염증 반응으로 모세 혈관과 투과성이 증가되어 발생한다. 폐 악성 종양, 폐 감염, 폐색전증이 있을 때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2.1.2. 원인
흉막 삼출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심부전과 암, 폐렴, 폐색전증이다"" 흉막 삼출은 크게 누출성 흉막 삼출(transudative pleural effusion)과 삼출성 흉막 삼출(exudative pleural effusion) 두 가지로 분류된다""
누출성 흉막 삼출은 울혈성 심부전증, 간경변, 신증후군 등에서 보이고 삼출성 흉막 삼출은 암, 폐렴, 결핵 등에서 보인다"" 그 외에도 교원성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기생충 질환(폐디스토마), 바이러스성 폐렴, 복부 질환에 의한 이차적 흉막 삼출, 외상에 의한 혈흉 등이 흉막 삼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모세혈관의 압력이 증가할 때와 모세혈관의 교질삼투압이 감소할 때, 림프계의 기능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흉막 삼출의 원인이 된다""
2.1.3. 병태생리
정상인의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허파 쪽 흉막과 흉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 쪽 흉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 가슴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 공간이라 부른다. 정상인의 경우 벽 쪽 흉막에 있는 모세 혈관에서 흉막 안쪽으로 소량의 체액이 일정하게 생성되어 들어가지만,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는 질환이나 체액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질환이 발생하면 흉막 삼출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흉막 삼출은 원인 질환에 의해 흉막에서 흡수되는 체액보다 생성되는 체액이 많아질 때 발생한다. 흉막 삼출은 다양한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하는데 삼출액의 경우 염증 반응으로 모세 혈관과 투과성이 증가되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부전과 암, 폐렴, 폐색전증, 결핵 등이 있다.
구체적인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순환의 정수압 증가로 인해 혈관 내 액체의 증가로 모세혈관압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수분이 벽측 흉막의 모세혈관에서 계속 나오게 된다. 둘째, 모세혈관 삼투압의 감소로 인해 혈액 속 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감소로 수분이 혈관에서 간질강으로 이동한다. 셋째,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단백질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흉막 삼출액이 발생한다. 넷째, 림프계의 기능 장애로 인해 보...
참고 자료
흉막유착술 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81
흉막삼출 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10
성인간호학Ⅰ / 현문사 / 윤은자 외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2019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19
[네이버 지식백과] 호중구 [neutrophils, 好中球] (영양학사전, 1998. 3. 15., 채범석, 김을상)
[네이버 지식백과] 흉수 [pleural effus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건강칼럼, “ABGA”, 2021.10.8
http://www.snuh.org/intro.do
흉막삼출(BruceBlaus, "pleural effusion",Wikimedia, 2015.11.5.)
흉막삼출(Jon Johnson,“pleural effusion", Medical news today, 20176.21)
장태원, “누출성 흉수 대 삼출성 흉수”,『대한내과 학회지』, 제81권 제2호(2011)
“흉관 삽입과 관리”,세브란스 병원, 2010.6.4. 수정, 2019.11.12. 접속,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treat_info/view.asp?con_no=43156
“호흡기 질환”, 병원간호 사회, 2019.11.12. 접속, http://khna.or.kr/homecare/disease/respiratory/respiratory_03.php
폐렴”,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2016.12.17. 수정, 2019.11.14 접속,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37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수문사,2019)
강현숙 외, 기본간호학1(수문사,2006)
성미혜외,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수문사,2018)
부록, NANDA-1 간호진단 2018-2020(수문사,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