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랑의 기술
1.1. 사랑의 정의
사랑의 정의"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오해와는 다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랑을 "받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랑은 오히려 "주는 것"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 자신이 사랑스러워지기 위해 노력하거나, 사랑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몰두한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랑은 상대방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상대방에게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주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사랑은 자신의 생명력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상대방에게 주는 행위이다. 준다는 것은 포기하거나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힘과 부, 능력을 경험하고 그것을 발산하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주는 행위 자체에서 큰 환희와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사랑은 상대방에게 적극적으로 주고자 하는 의지이자 행동인 것이다.
1.2. 사랑의 이론
1.2.1. 고독으로부터의 탈출
인간은 본래 고독한 존재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고독한 상태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타인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고독에서 탈출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독으로부터의 탈출 욕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동기 중 하나이다. 인간은 자신과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 즉 고립된 존재라는 절망감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혼자라는 사실은 인간에게 괴로움과 불안감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완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랑, 우정, 소속감 등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고독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인간은 자신이 타인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사랑의 관계는 인간이 고독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이다. 사랑하는 상대와의 친밀한 관계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분리된 존재감을 극복하고 하나가 될 수 있다. 사랑의 관계는 인간에게 소속감과 연대감을 제공하여 고독감을 해소시켜준다.
따라서 인간은 사랑의 관계를 통해 고독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며, 이는 인간 존재의 핵심적인 동기라고 할 수 있다.
1.2.2. 사랑의 무조건성
어머니의 사랑은 무조건적이다. 어린아이의 사랑은 '나는 사랑받기 때문에 사랑한다'는 원칙에 따르지만, 성숙한 사랑은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받는다'는 원칙에 따른다. 어린아이는 사랑받기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전혀 없다. 다만 현재의 상태, 곧 어머니의 자식으로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런 어머니의 사랑에도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어린아이는 어머니의 사랑을 만들어내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전혀 없다. 즉 어린아이는 사랑받기 위해 어떠한 노력도 할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사랑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조건적인 사랑은 때로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어린아이가 사랑받기 위해 어떤 노력도 하지 않게 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을 사랑받기 위해 노력하는 법을 배우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불안감과 두려움에 사로잡힐 수 있다. 따라서 성숙한 사랑은 자신의 노력과 행동에 근거한 사랑이어야 한다. 즉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받는다'는 원칙에 따라 상대방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책임감 있게 행동하는 것이 성숙한 사랑의 모습이다.
1.2.3. 성숙한 사랑
성숙한 사랑은 무조건적인 모성애와는 달리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관계이다. 성숙한 사랑은 타인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그 사람의 성장을 위해 헌신하는 실천적 행위이다.
성숙한 사랑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입장을 공감하고 공유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상대방의 욕구와 필요를 배려하며 존중하는 태도로 상대방의 성장을 지원하고 격려한다. 이를 통해 상호간 깊은 유대감과 신뢰가 형성된다.
나아가 성숙한 사랑은 자신만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다. 상대방과의 융합이 아니라 독립된 개체로서 상호 존중하며 관계를 유지해나간다. 이는 상대방을 도구화하지 않고 그 자체로 존중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성숙한 사랑은 상호 이해와 존중, 그리고 독립성을 토대로 한다. 이는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과 관여, 배려와 격려를 포함한다. 나와 타인을 모두 소중히 여기며 서로의 성장을 돕는 실천적 태도가 성숙한 사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3. 다양한 사랑의 형태
1.3.1. 모성애와 부성애
모성애와 부성애는 부모와 자녀 간의 사랑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모성애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이타적인 사랑을 의미한다. 어머니는 자신의 자녀를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할 수 있는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녀의 생존과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본능적이고 애정 어린 행동으로 표현된다.
반면 부성애는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사랑으로, 모성애와는 그 특성이 다르다. 아버지의 사랑은 자녀가 아버지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시키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아버지는 자녀가 사회적 규범과 도덕적 기준을 잘 따르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자녀에게 엄격한 기준을 요구한다. 자녀가 아버지의 기대에 부응하면 사랑과 인정을 받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사랑과 관심을 철회할 수 있다. 즉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업적 지향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모성애와 부성애는 자녀에 대한 사랑의 근원과 표현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모성애가 무조건적이고 자녀 중심적인 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부모 중심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성애에 둘러싸인 자녀는 안정감과 신뢰감을 얻을 수 있지만, 부성애의 영향을 받는 자녀는 때로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부모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도 반영되어, 어머니는 자녀의 정서적 요구를 잘 이해하고 충족시켜야 한다는 압박감을 가지게 되는 반면, 아버지에게는 엄격한 규율 적용과 성공적인 자녀 양육이 요구된다.
이처럼 모성애와 부성애의 차이는 개인과 가족, 나아가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건강한 애착을 형성하고, 자녀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양육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2. 성애
성애(性愛)는 완전한 융합, 곧 다른 한 사람과 결합하고자 하는 갈망이다"". 성애는 다른 사람과의 완전한 일체감과 상호 동일화를 통해 개인의 분리와 단절을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성애는 상대방과의 경계를 허물고 완전히 하나가 되고자 하는 강렬한 충동이다.
성애는 단순한 성적 충동이나 쾌락 추구를 넘어서 상대방과의 합일을 통해 자신의 분리와 고독을 극복하고자 하는 보편적 인간 욕구이다. 성애에서는 상대방과의 감각적 융합, 정서적 교감, 정신적 일체감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가 작용한다. 성애는 개인의 고립과 단절을 해소하고 온전한 자기실현을 이루고자 하는 인간의 근본적 동기에 기반한다.
그러나 성애는 때때로 지나치게 강렬한 충동으로 인해 인간의 이성과 도덕심을 방해하기도 한다. 성애가 지나치면 상대방을 대상화하고 자신의 만족만을 추구하게 되어 상대방과의 진정한 합일을 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