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 개요
1.1. 실습 기관
실습 기관은 지역아동센터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아이들의 복지와 안녕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관이다. 지역아동센터의 목적은 아이들이 바르게 성장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는 5대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실습생은 실습 기간 동안 이러한 지역아동센터의 목적과 운영 현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1.2. 실습 기간
실습 기간은 2019년 12월 23일부터 2020년 1월 14일까지 총 22일간 진행되었다. 실습생은 지역아동센터에서 기관 프로그램 및 활동에 보조 역할로 참여하며 관찰, 기록, 지도 등의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실습 기간 동안 실습생은 다양한 아동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무를 경험하고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로서의 지식과 기술,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1.3. 실습 지도자
실습 지도자는 김복지 사회복지사이다. 김복지 사회복지사는 실습생들에게 실습을 지도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습생들의 실습 일정과 내용, 실습 목표 달성 등을 평가하였고, 서비스 실천 과정과 정책/행정 실습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실습생들의 자원 활용, 실습 태도 및 전문성, 실습 지도 활용 정도와 평가, 기관 이해도 평가 등 전반적인 실습 과정을 지도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실습생들이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인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2. 실습 내용 및 평가
2.1. 실습 일정 및 활동 내용
실습생의 실습 일정 및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실습이 약 20일간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었다. 먼저 실습 첫날에는 지역아동센터의 전반적인 운영과 프로그램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이루어졌다. 이후 아이들과 카드놀이, 블록쌓기, 그림그리기, 퍼즐 맞추기 등의 다양한 놀이활동을 진행하며 아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수학, 국어 등 기초학습을 돕는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실습생은 아이들과의 활동에서 안전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였으며, 아이들 간 원활한 관계 형성을 도왔다. 실습기간 중반에는 타 기관의 프로그램을 참관하거나 보조하며 다른 사회복지 현장을 경험할 기회도 가졌다.
또한 실습생은 실습일지 작성과 다양한 과제물 제출 등 행정업무에도 힘썼다. 실습의 마지막 주에는 실습 전반에 대한 종합 평가회가 진행되었다.
이처럼 실습생은 실습기간 동안 아동복지 실천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현장의 이해도를 높이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2.2. 실습 내용 및 역할에 대한 평가
주로 아이들과 카드놀이, 블록쌓기, 그림 그리기, 퍼즐 맞추기 등 다양한 놀이를 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부터 고학년 학생까지 수학, 국어 과목의 기초학습에 대해 지원을 했다고 평가된다. 아이들과 놀이 활동을 하며 안전에 대해 항상 신경 썼고, 아이들끼리 잘 어울릴 수 있도록 관계 형성을 도왔다고 한다.
2.3. 실습 목표 달성 평가
실습 목표 달성 평가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목표 설정 여부와 목표 달성 여부로 평가할 수 있다"" 실습생은 실습을 통해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넓히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인 역할을 배우고자 하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실습 전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충분히 달성했다고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습을 통해 이론 수업에서 알 수 없었던 현장에 대한 이해와 아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고 말하고 있다"".
3. 서비스 실천 과정 및 정책/행정 실습 평가
3.1. 문제 파악 및 자료 수집 능력, 문제 인식 능력
문제 파악 및 자료 수집 능력, 문제 인식 능력은 실습생의 전반적인 실습 수행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실습생은 실습 기간 동안 참고문헌, 교육 자료, 전공 서적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인식하려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습생은 함께 있는 아이들을 관찰하고 라포 형성이 충분하게 이루어진 후에는 실생활에서의 다양한 질문을 통해 아이들에게 문제가 생기거나 요구사항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아이들의 실제적인 문제와 요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