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언어생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1.2. 연구 방향
1.3. 연구방법
2. 본론
2.1. 양구의 지역적 특색
2.2. 양구지역 청소년의 언어 연구
2.3. 핸드폰 문자메시지 사용실태
2.4. 문자메시지에 나타난 언어 모습 연구
3. 청소년 언어 사용 문화
3.1. 청소년의 언어생활
3.1.1. 청소년 언어 형태의 특징
3.1.2. 청소년 은어와 속어
3.1.3. 청소년들이 은어와 속어를 쓰는 이유
3.2. 청소년 언어에 관한 국내외 연구
3.3. 청소년의 언어 사용 유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우리나라 휴대전화 보급율이 76%를 차지하는 오늘날 휴대폰 문자메시지의 언어는 상당히 흥미로운 연구거리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엄지족'이라는 말을 만들어 낼 정도로 현대 청소년의 문자메시지 사용은 언어생활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핸드폰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문자메시지는 구어의 특성과 문어의 특성 중 특히 채팅과 흡사한 언어양상을 띈다. 즉 문자메시지는 생활 문화에서 매체의 발달과 함께 생긴 독특한 언어 생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구 지역 청소년의 언어를 탐구하고 구어와 문자메시지의 관계가 어떤 특징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1.2. 연구 방향
연구 방향은 네 가지 세부주제로 세분화되어 있다""
첫째, 양구의 지역적 특색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양구가 군사지역으로 주민들의 이동이 제한적이었던 고립지역이었다는 점, 그리고 1991년 이후 외부인의 자유로운 이주가 허용되면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다는 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둘째, 양구지역 청소년의 언어를 방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양구 지역의 독특한 언어적 특성이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셋째, 양구지역 청소년의 핸드폰 문자메시지 사용실태를 조사한다""
문자메시지가 구어와 문어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이 지역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을 잘 반영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넷째, 문자메시지에 나타난 언어 모습을 방언과 어미 등 형태론적 측면에서 연구한다""
앞서 살펴본 양구 지역의 언어적 특성이 문자메시지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1.3. 연구방법
설문지를 이용하여 방언 어휘조사 및 핸드폰 문자메시지의 직접적 실례를 들도록 하였다"" 설문지에 표준어와 양구지역의 방언형을 함께 넣어 조사했다"" 설문 문항은 응답자의 언어사용중에서 어휘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했으며, 전체 30문항이며 어휘 15개, 음운 및 문법 사항은 15개 항목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기본 인적 사항도 조사하였는데, 학생들의 부모님 직업, 양구에 거주한 기간, 양구 이외에 오래 거주한 지역 등이다""
2. 본론
2.1. 양구의 지역적 특색
양구는 지리적으로 휴전선 근처의 고립된 군사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한국전쟁 당시 군사작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주민들이 모두 이주된 후 외지인들을 받아들였다. 1956년에 1차로 주민이 받아들여졌고, 1972년에 2차로 원래 양구의 주민들을 포함하여 입주시켰지만, 현재 토박이 주민의 비율은 15%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휴전선 근처에 위치하여 군부대가 수시로 주민들을 시찰하였고, 주민들의 외부 출입도 군에서 발급하는 출입증이 있어야 가능했다. 이처럼 양구는 오랫동안 고립되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91년부터 외부인의 자유로운 이주가 가능해졌다. 주민의 직업은 80% 가량이 농업이며, 최근 들어 청소년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1995년에는 초등학교 재학생이 120명이었지만, 현재는 1,800여 명으로 늘어났다."
2.2. 양구지역 청소년의 언어 연구
양구지역 청소년의 언어 연구는 양구라는 특수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행되었다"" 이 지역은 ...
참고 자료
최형규, 청소년을 위한 개념 있는 언어생활, 뜨인돌, 2022
조재연, 청소년 사전 부모와 아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쓴다, 마음의숲, 2012
국립국어원, 오염된 청소년 언어 이렇게 개선 했어요, 휴먼컬처아리랑, 2014
투데이피플, 줄임말' 사용 이대로 괜찮은가?, 2022
김영진, 『대전 사회방언 연구』, 다운샘, 2003
이정복, 『바람직한 통신 언어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2000
정준섭,『교육한글 제 15호』,「21세기 국어 교육 정책」, 2002
남기탁 외, 『방언』, 국학자료원, 2002
이장송, 정태영, 김용각, 「휴전선 일대 고립 지역의 언어 양상에 대한 연구―강원도 양 구군 해안면 일대를 중심으로」
김기석, <휴대전화 문자 언어의 실태 분석과 국어 교육적인 방안> 교육한글14, 2001
김선남, 김현욱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관한 연구』,한국방송학보, 2004
김충회, 『韓國方言資料集』, 한국정신문화원, 1995
이정복, 양명희 외 1명. 2006. 인터넷 통신 언어와 청소년 언어문화. 한국문화사.
최하영. 2012. 청소년 언어 사용에 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용성. 2009.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 연구.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