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음주예방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 음주 실태 및 특성
2.1. 청소년 음주 실태
2.2. 청소년 음주 요인
2.2.1. 사회정신적 요인
2.2.2. 발달단계에 따른 요인
2.3. 청소년 음주의 폐해
2.3.1. 신체적 측면
2.3.2. 정서적 측면
2.3.3. 인지행동적 측면
2.3.4. 사회적 측면
3. 청소년 금주 교육
3.1. 청소년 금주 교육과 음주 예방의 필요성
3.2. 청소년 금주 교육과 음주 예방
3.2.1. 프로그램 정보 제공
3.2.2. 가정 교육
3.2.3. 교육자로서의 역할
3.2.4. 상담자로서의 역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난 '간호학 1-2-1 전문성 package part.3'의 시나리오에서 오토바이 사고로 입원한 환자가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음주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미성년자인 이 환자는 음주가 몸에 끼치는 영향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청소년에게 어떤 정신적 문제를 가져오는지를 인식하지 못한 채 건강에 자신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리는 이 시나리오와 토론을 통해 청소년 음주와 금주 교육에 대한 필요와 중요성을 느꼈으며 청소년 음주의 원인과 유해성 및 문제를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2. 청소년 음주 실태 및 특성
2.1. 청소년 음주 실태
청소년 음주 실태는 다음과 같다.
통계청이 2019년 5월 1일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음주율은 증가했다. 지난해 음주율은 16.9%로 같은 기간 1년 전보다 0.8%p 증가했다. 청소년 음주율은 2006년 28.6%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16년 15%까지 줄었으나 2017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중학생 음주율은 8.5%로 전년 7.6%보다 0.9%p 증가했으며 고등학생 음주율은 24.2%로 1년 전 23%보다 1.2%p 늘었다. 청소년이 음주하는 주된 장소는 주로 집이나 친구 집(77.5%)이었다.
2.2. 청소년 음주 요인
2.2.1. 사회정신적 요인
청소년들은 스트레스 해소나 자신감 향상 등을 위해 성인들의 음주를 모방하여 잘못된 방법으로 음주를 선택하게 된다"이다. 청소년기에는 자아정체감을 모색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부모로부터 벗어나 반항심과 독립심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음주를 하게 되는 등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도 청소년 음주의 원인이 된다"이다.
2.2.2. 발달단계에 따른 요인
발달단계에 따른 요인은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기로, 이 시기에 자신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혼란을 겪을 수 있는데, 이러한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주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에는 부모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가치관과 신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반항심과 독립심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변화로 인해 기존 체계와 규범에 저항하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나며, 음주 행동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동료집단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데, 이러한 또래 집단 압력이 청소년 음주의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
참고 자료
오미성 외. 성과기반 지역사회간호학. 서울:퍼시픽북 2018.
정문희, 김미혜, 김정아. (2007). 초등학생 음주예방 교육 프로그램.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4(4),
김용석, 송진희, 신희연. (2019).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음주·흡연 경험 : 사회관계망 분석의 적용.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7(3)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질병관리본부, 「2016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보건복지부 -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보건교육방법론 (수문사)
보건복지부 (www.m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