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학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동학대의 실태
2.1. 발생률
2.2. 학대 양상
3. 아동학대 발생 배경
3.1. 아동학대자 개인적인 요인
3.2. 사회문화적 요인
3.3. 아동에 기인한 스트레스
4. 문제 개선 방안
4.1. 예방이 필요한 이유
4.2. 아동학대 예방법 및 신고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재(2018년/2019년?) 고용?실업 통계정보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 비율이 44.9%, 맞벌이 가구 수는 533만 1천 명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자녀 교육(보육)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는 '보육지원체계 개편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부모 맞벌이 여부에 따라 어린이집을 종일반(6시간)과 맞춤반(12시간)으로 나눈 '맞춤형 보육'이 공통 보육체계로 바뀐다. 12시간 운영 유지를 위해 저녁이나 밤 시간대는 추가보육이 별도로 이뤄진다. 보건복지부는 7일 이런 내용의 을 발표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돌봄이 보육제도'가 늘어나면서, 이에 비례하여 아동학대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필자는 돌봄이 보육제도가 시행되는 각 기관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아동학대 실태를 살펴보고, 발생 배경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본고를 작성하였다.
2. 아동학대의 실태
2.1. 발생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9년 6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전국 1만3천429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기혼 가구의 24.7%의 가정에서 아동학대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혼자가 있는 전국 1천만여가구 가운데 247만가구에서 아동학대가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는 아동학대로 신고접수·상담한 사례가 12년 12,833건에서 13년 15,252건, 14년 20,446건, 2017년 37,120건으로 크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즉, 아동학대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그 증가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학대 양상
아동학대의 피해아동 가족유형은 다양하다.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발표한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피해아동 가족유형 중 대리양육형태가 전체 중 1.4%를 차지했다. 그 중에서 시설 보호가 1.0%로 대리양육형태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대리양육자의 경우 유치원 교직원 281명, 보육 교직원 840명,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285명, 베이비시터 15명으로 다양한 형태의 아동학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동학대 발생빈도의 경우, 거의 매일 발생한 사례가 18.8%, 2~3일에 한 번이 11.7%, 일주일에 한 번이 10.5%로 나타났다. 즉,...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배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7427&cid=40942&categoryId=31531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https://www.gggongik.or.kr/page/archive/archiveinfo_detail.php?board_idx=2724
Mint Latte
https://ooooooo.tistory.com/entry/%ED%95%9C%EA%B5%AD%EC%9D%98-%EC%95%84%EB%8F%99%ED%95%99%EB%8C%80%EC%9D%98-%EB%AC%B8%EC%A0%9C%EC%A0%90%EA%B3%BC-%ED%95%B4%EA%B2%B0-%EB%B0%A9%EC%95%88
지혜 LIFE
https://leemanagerlife.tistory.com/entry/%EC%95%84%EB%8F%99%ED%95%99%EB%8C%80-%EC%9C%A0%ED%98%95%EA%B3%BC-%EC%9B%90%EC%9D%B8-%EB%AC%B8%EC%A0%9C%EC%A0%90-%ED%95%B4%EA%B2%B0%EB%B0%A9%EC%95%88-%ED%95%9C%EA%B3%84%EC%A0%90
보건복지부, 2017 전국 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공계순 외 4명 (2019), 아동복지론 학지사
김정민(2016.03.17.), [사설] 아동, 부모 소유물 아닌 ‘권리의 주체’다, 뉴스천지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아동학대 신고와 처리과정>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학용어사전, 아동 학대 [child abuse], 2014-4
뉴시스, http://www.newsis.com/, 안지혜 기자, <맞벌이·홑벌이 모두 온종일 돌봄…맞춤형 보육 폐지>, 2019-4-8.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http://www.korea1391.go.kr/new/, <연도별 신고 접수 건수>, 2018-11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시설 종사자 유형별 피해아동 성별 도표와 그래프>, p206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아동학대 발생빈도 도표와 그래프>, p127, 2018-11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피해아동 가족유형>, p115, 2018-11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학대 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p121, 20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