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물인터넷(IoT)
1.1. IoT의 정의와 필요성
1.2. IoT의 장점과 문제점
1.3. 정보통신망과의 관련성
1.4. IoT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
1.4.1. 빅데이터
1.4.2.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1.4.3. 인공지능
1.4.4.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
1.5. 결론
2. 정보통신망과 인공지능
2.1. 인공지능의 정의 및 필요성
2.2. 인공지능의 장점과 문제점
2.3. 인공지능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
2.4.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물인터넷(IoT)
1.1. IoT의 정의와 필요성
사물인터넷(IoT)의 정의와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모든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서로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정보를 생성하고, 수집하고, 공유하며, 활용하여 지능적이고 초연결화된 인터넷 환경을 만드는 기술이다. 전통적인 인터넷이 사람 간의 정보 교류였다면, 사물인터넷은 사물 간의 정보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의 필요성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물인터넷은 인간의 삶을 더욱 편안하고 안전하게 만든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홈 및 가전 분야, 교통 분야, 물류 분야, 헬스케어 분야, 도시 건설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의 일상생활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홈에서는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해 가전제품들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자율주행 자동차에서는 실시간 교통정보 공유와 운전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하여 실시간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조 공정의 자동화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사물인터넷은 경제적 이익을 창출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사물인터넷 관련 시장 규모는 약 8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사물인터넷은 거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1.2. IoT의 장점과 문제점
사물인터넷(IoT)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IoT는 실시간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새 제품이 예상대로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층 유리한 위치에서 대처 방법을 결정할 수 있게 된 것이 그 예이다. 둘째, IoT 기술은 기업의 비즈니스 및 제조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운영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며 공급망을 최적화하고 리소스를 보존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IoT 기술은 직원들의 의사결정 개선, 일상적인 업무 자동화, 커뮤니케이션 가속화를 통해 직무 만족도 및 인력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셋째, IoT는 디지털 및 물리적 세상에서 더욱 매력적인 고객 경험을 창조하는 많은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고객 경험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IoT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IoT는 인터넷만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지만 완전히 보호한다고는 할 수 없어 개인 정보 침해 리스크가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물인터넷은 개인정보가 수집 및 관리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둘째, 다양한 네트워크이자 매우 복잡한 사물인터넷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발생하면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기기들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다양한 가전기기, 공공 부문의 기기, 산업용 기기 등에 적용되면 해킹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3. 정보통신망과의 관련성
사물인터넷과 정보통신망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IP 주소 기반의 정보통신망이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IPv4 주소로는 연결할 수 있는 사물의 수가 제한적이었으나, 2011년 IPv6가 도입되면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한대의 IP 주소가 확보되었다. 이로써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 증가할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모두 인터넷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5G 통신 기술의 발전은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통신할 수 있게 해주었다. 5G는 최대 100만 개의 기기를 한 번에 연결시킬 수 있고, 고신뢰성 통신을 위해 LDPC 오류 검출 방식을 사용하며, 비직교 다중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 용량을 크게 늘렸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물인터넷은 센싱, 유무선 통신, 서비스 인터페이스, 보안 등 정보통신기술이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센싱 기술로는 지그비, 6LoWPAN, RPL 등이 사용되며, CoAP 등의 경량화된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보안 측면에서는 다계층 방식의 보안 기술이 필요한데, 물리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 각 계층별로 보안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사물인터넷은 IP 기반의 정보통신망과 고도화된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왔으며, 정보통신 기술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참고 자료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최재경 [빅데이터분석의 국내외 활용현황 및 시사점]
CioKorea뉴스 2017.10.25 '2018년 대비해야 할 클라우드 컴퓨팅 트렌드 5가지'
iT donga 2016.04.01 '클라우드와 IoT의 만남, AWS IoT'
SAS Blog 2018.10.22 'AI + IoT, 지능형사물인터넷(AIoT)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과 조건’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 2016 다보스리포트
위키백과, 사물인터넷,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 (검색일 : 2019. 4. 5.)
구글, LG Smart ThinQ, http://thinq.developer.lge.com/ko/discover/lg-smartthinq/
(검색일 : 2019. 4. 5.)
안호천, LG유플러스, 기존 가전도 IoT로 제어하는 ‘U+AI리모컨’ 출시, 전자신문|etnews,
2018. 9. 4일자.
김성환, 5G시대 ‘잇템’된 메시 와이파이, 파이낸셜뉴스, 2019. 4. 8일자.
박민기, 현대모비스, 미래車 기술 선도 위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 NEWSIS, 2019. 4. 3일자.
조지원, 페덱스, 실시간 온도 등 화물 상태 알려주는 ‘센스어웨이’ 출시, 조선비즈,
2017. 9.26일자.
채새롬, 헬스기기로 진화하는 스마트워치…심전도‧수면까지 측정, 연합뉴스, 2018. 9.13일자.
엄호식, 중국 최고의 스마트시티는 항저우, 보안뉴스, 2018. 7.13일자.
이용익, 글로벌 IoT시장 올해 800조원 넘을 듯, 매일경재, 2019. 1.10일자.
오병민, 4일 IPv4 주소 완전 고갈...IPv6로 전환 국면, 보안뉴스, 2012. 2. 4일자.
손진곤 ‧ 길준민(2015), 정보통신망,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R&D정보센터(2015), 사물인터넷기반 첨단 스마트센서 산업분야별 응용기술개발/발전방향,
지식산업정보원
주식회사 NTT 데이터 ‧ 가와무라 마사토 ‧ 오쓰카 히로시 ‧ 고바야시 유스케 ‧ 고야마 다케시,
미야자키 도모야 ‧ 이시쿠로 유키 ‧ 고지마 고헤이(2016), 그림으로 공부하는 사물인터넷 구조
(박건태 옮김), 제이펍
커넥팅랩(편석준 ‧ 진현호 ‧ 정영호 ‧ 임정선)(2014), 사물인터넷 :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
넘는 거대한 연결, 미래의창
Shancang Li ‧ Li Da Xu(2017), Securing the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보안의 핵심
원리와 해법(임재우 ‧ 김기수 ‧ 김수연 ‧ 위미선 옮김), 에이콘출판사
안상희 ‧ 이민화(2016),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
논문집, 2344-2363
김한준(2018), 4차 산업혁명과 직업세계 변화 전망, 한국카운슬러협회, 상담과지도 제53호,
17-43
김재인.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동아시아. 2017년.
인공지능 필요성, 뉴스룸, DX/테크 인사이트, elice.io
https://elice.io/newsroom/dx_ai_definition_examples_5
김도경, 한국경영법률학회, 인공지능 시대에 저작권 보호와 공정한 이용의 재고찰, 31권, 2021.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885809
윤여범, 박미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인공지능과 초등영어교육: 챗봇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31호, 2020.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819185
김송죽, 한국정치사회연구소, 한국과 국제사회, 인공지능 기반 사회에 대비한 한국의 현황과 전략, 5권, 2021.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0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