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이 연구의 목적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영화가 발명된 지 100년의 세월이 흘러 영화는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매체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영상이 우리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는 현대사회에서 영화는 광고, TV방송, 사진 등과 함께 영상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주도하는 명실상부한 커뮤니케이션 통로로서 문화적 측면은 물론 산업적 측면에서도 그 영향력을 더해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한국영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조직폭력배를 소재로 한 영화들, 이른바 "조폭영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조폭영화는 사회전반에 걸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며 등장했고, 이를 통해 형성된 "조폭 이미지"는 현실과 동떨어진 환상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폭영화에 의해 형성된 "조폭 이미지"의 환상성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조폭영화 신드롬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요컨대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속 "조폭 이미지"가 단순한 오락적 차원을 넘어 우리 사회 전반의 가치관과 이데올로기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환상성의 실체와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중문화로서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을 재고하고, 더 나아가 건전한 대중문화 형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사 검토
그동안 나온 논문들은 조폭 영화의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고 조폭 신드롬이 일어난 원인과 부정적인 현상을 지적하는 데 그치고 있었다"" 개인이 주체적으로 조폭 속에 자신의 어떤 환상을 투영하여 조폭을 바라보고 그 조폭을 통해서 현대인의 불치병인 고독감을 해소한다는 게 그동안 나온 논문의 일관된 흐름이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조폭영화를 통해 우리가 느끼는 것은 환상이며, 이 환상의 특징은 자신의 의지에 의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생성된 것이 아닌 외부적 요인에 의해, 수동적으로 형성된 환상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이끌어 나가려고 한다"" 물론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조폭 신드롬을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의 무리가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자료와 지젝의 이론을 통해서 조폭영화 신드롬에 대해서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려 한다""
1.3. 이론에 대한 소개
이론에 대한 소개는 다음과 같다.
슬라보이 지젝의 『The Plague of Fantasies』(환상의 돌림병)에 실린 내용을 바탕으로, 환상의 특성과 환상의 발생 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먼저 지젝은 환상의 세 가지 특성을 제시한다. 첫째, 현실의 이상적 변형이다. 이는 현실세계에서는 결점이 생길 수밖에 없는 사건을 수용자가 스스로 변형하여, 결점이 없는 완전한 상태일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철저한 제삼자적 시각이다. 환상을 만들어내는 주체는 항상 그 문제에 대해 자신과 관련이 없는 제삼자의 입장을 취한다. 셋째, 이성적 사고의 마비이다. 환상은 이성의 작용을 전제로 하지 않으며, 이성적으로 분석한 텍스트에 대해서는 절대로 성립할 수 없다.
다음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