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장 사정
1.1. 대상자 확인 및 검진 목적 설명
대상자 확인 및 검진 목적 설명은 유방과 겨드랑이 검진을 시행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먼저 검진자는 대상자와 자신을 소개하고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이후 검진의 목적과 방법, 소요 시간을 설명한다. 검진 목적은 유방암과 그 외 유방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검진 방법으로는 시진과 촉진이 이루어지며, 총 소요 시간은 약 5-10분 정도이다. 검진 절차와 소요 시간을 설명하여 대상자가 검진에 대해 이해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협조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
1.2. 심장 시진
심장 시진 결과, 대상자의 흉부 움직임이 부드러우며 양쪽이 대칭적이다. 오목가슴, 새가슴, 술통형 가슴 등의 변형이 관찰되지 않으며, 퇴축 증상도 없다. 심첨부위의 심장 박동도 규칙적이고 일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3. 심장 촉진
심장 촉진은 심장의 위치와 크기, 움직임을 확인하고 맥박의 유무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촉진 시 대상자의 머리를 왼쪽으로 돌리게 하여 심첨부위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검진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손가락을 세워 심첨부위를 부드럽게 촉진하며, 심첨박동의 존재와 그 특성을 확인한다. 정상적인 심첨박동은 규칙적이며 1~2cm 정도의 크기로 관찰된다. 또한 맥박의 결손이나 간헐맥박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와 함께 판막 떨림을 확인하는데, 심첨부위에서 약간의 떨림이 촉진되나 다른 부위에서는 떨림이 관찰되지 않아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심장의 위치, 크기, 움직임, 맥박 특성, 판막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이다.
1.4. 심장 타진
심장 타진은 심장의 크기와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진 방법이다. 우선 검진자는 전액와선에서 타진을 시작하여 늑간을 따라 흉골을 향해 타진을 실시한다. 타진할 때는 공명음에서 둔탁음으로 변화되는 지점을 확인하여 심장의 크기와 경계를 파악할 수 있다.
타진 결과 2번째 늑간에서는 심장 경계가 1-3cm, 3번째 늑간에서는 3-4cm, 4번째 늑간에서는 4-6cm, 5번째 늑간에서는 5-7cm 정도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심장의 크기와 경계를 파악할 수 있다.
심장비대가 있는 경우 심장의 크기가 커지고 타진 시 둔탁음이 더 넓게 들릴 것이다. 반면 심장이 정상 크기인 경우 타진 시 둔탁음의 범위가 좁게 나타난다. 따라서 심장 타진은 심장 비대 여부를 확인하는데 매우 중요한 검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5. 심장 청진
심장 청진 결과, S1(1심음)은 모든 부위에서 들리지만 심첨부위에서 제일 잘 들리며, S2(2심음)은 폐동맥 판막에서 가장 잘 들리고, S3(3심음)과 S4(4심음)의 말발굽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또한 결손맥박이나 간헐맥박도 확인되지 않으며, 2심음 청진 결과 맥박이 규칙적이며 분당 75회로 정상이다.
2. 복부 사정
2.1. 대상자 확인 및 검진 목적 설명
대상자 확인 및 검진 목적 설명은 신체 검진을 시작하기 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먼저 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나서 검진의 목적과 방법, 소요 시간 등을 자세히 설명하여 대상자의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한다.""
대상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직업 등 개인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