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거품 용기의 과학적 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요네즈 제조
1.1. 마요네즈의 정의와 성분
1.2. 달걀의 유화성과 안정성
1.2.1. 달걀 성분 비교
1.2.2. 달걀 유형별 마요네즈 제조 결과
1.2.3. 제조 시간 및 용량
1.2.4. 유화 상태 및 안정성
2. 묵 제조
2.1. 전분의 호화와 겔화 원리
2.2. 묵 제조 실험
2.2.1. 재료 및 방법
2.2.2. 실험 결과 및 고찰
2.2.3. 안정제의 역할
3. 아이스크림 제조
3.1. 아이스크림의 성분과 제조 원리
3.2. 아이스크림 제조 실험
3.2.1. 재료 및 방법
3.2.2. 실험 결과 및 고찰
3.2.3. 교반과 오버런의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요네즈 제조
1.1. 마요네즈의 정의와 성분
마요네즈는 수중유적형(oil-in-water, O/W) 유화액으로, 달걀, 식용유, 식초, 소금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달걀에는 유화성이 뛰어난 단백질과 인지질이 풍부하여 마요네즈 제조 시 유화제 역할을 한다. 달걀의 난황과 난백은 각각 다른 유화 특성을 가지는데, 난황은 수분 50%, 단백질 14.7%, 지질 23.45%로 구성되어 유화성이 탁월하지만 난백은 수분 87.5%, 단백질 10.87%, 지질 0.02%로 유화성이 낮다. 이처럼 달걀의 성분 차이에 따라 마요네즈 제조 시간과 용량, 유화 안정성이 달라진다.
1.2. 달걀의 유화성과 안정성
1.2.1. 달걀 성분 비교
달걀은 마요네즈 제조 시 가장 중요한 유화제 역할을 하는 핵심 성분이다. 달걀은 전란, 난황, 난백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의 성분 비율과 특성이 다르다.
전란의 경우 수분이 75.9%, 단백질이 12.44%, 지질이 7.37%를 차지한다. 단백질 중에서는 난백 단백질인 오브알부민이 주를 이루며, 난황 단백질인 리포비텔린과 리포비텔리닌도 포함되어 있다. 지질은 중성지질, 인지질,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있다.
난황은 수분이 50.9%로 상대적으로 적고, 단백질 함량이 14.70%, 지질 함량이 23.45%로 가장 높다. 난황 단백질은 리포비텔린과 리포비텔리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인지질과 결합한 인단백질 형태로 존재하여 우수한 유화성을 나타낸다.
난백은 수분 함량이 87.5%로 가장 높고, 단백질 함량이 10.87%, 지질 함량이 0.02%로 가장 낮다. 난백 단백질은 주로 오브알부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달걀의 세 부분은 성분 비율이 다르며, 이에 따라 유화성과 안정성에 차이가 있다. 난황이 가장 우수한 유화성을 보이고, 전란, 난백 순으로 유화성이 낮아진다. 이러한 차이는 마요네즈 제조 시 달걀 유형별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1.2.2. 달걀 유형별 마요네즈 제조 결과
달걀 유형별 마요네즈 제조 결과를 살펴보면, 난황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12분으로 가장 빨리 제조되었고, 난백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32분, 전란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50분으로 가장 늦게 제조되었다. 제조된 마요네즈의 용량은 난황이 140mL로 가장 적었고, 난백이 220mL, 전란이 265mL로 가장 많았다. 이는 달걀의 성분 차이에 따른 것으로, 난황에는 수분이 50.9%로 적고 지질이 23.45%로 많아 유화성이 높기 때문에 마요네즈 제조 시간이 가장 짧고 용량이 적었다. 반면 난백은 수분이 87.5%로 많고 지질이 0.02%로 매우 적어 유화성이 낮아 제조 시간이 가장 길고 용량이 가장 많았다. 전란은 이 두 가지 특성이 중간 수준이었다.
1.2.3. 제조 시간 및 용량
달걀의 유형에 따라 마요네즈 제조 시간과 용량에 차이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난황을 이용하여 제조한 마요네즈가 12분으로 가장 빨리 제조되었고, 용량도 140mL로 가장 적었다. 반면 전란을 이용한 마요네즈가 50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으며, 용량도 265mL로 가장 많았다. 난백을 이용한 마요네즈는 32분이 소요되었고 용량은 220mL였다.
이처럼 달걀의 유형에 따라 마요네즈 제조 시간과 용량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달걀의 성분 차이에 기인한다. 난황에는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여 유화성이 뛰어나므...
참고 자료
이주희 외 8명(2019). 과학으로 풀어쓴 식품과 조리원리. 교문사. pp. 318-320, 340
송경빈 외 10명(2020). 생각이 필요한 식품학개론. 수학사. pp. 68-69
차가성, 김재욱, 최춘언. (1988). “마요네즈 제조시에 난황 사용량에 따른 유화 안정성의 비교”.한국식품과학회지,20(2),225-230.
양신철, 한정열. (2002). “식초 첨가량에 따른 마요네즈 드레싱의 유화 안정성”. 한국조리학회지, 8(3), 295-308.
실험조리과학, 교문사, 조경련, 조신호, 김영순, 주난영, 정현숙, 송미란
민상기,이미연,이성,이혜정/ 2000/ 안정제 첨가가 아이스크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동물자원 연구센터/ page 1-2, page 5-6
문지웅/ 2003/ 우유 및 유제품 과학/ 유한문화사/ page 139-144
한상헌/ 2005/ 아이스크림/ 유한문화사/ page113-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