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업사이클 패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적기업 사례 조사 - (재)아름다운가게
1.1. 기업소개
1.2. 활동
1.2.1. 자원재순환
1.2.2. 참여문화
1.2.3. 국내·외 지원
1.3. 현황
1.3.1. 코로나19 위기가정 긴급 생계비 지원
1.3.2. 섬진강 범람 수해 500가구 긴급지원
1.3.3.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활동천사 운영
1.3.4. 비대면 사회공헌
1.4. 사회적 문제 해결과 사회적 가치 창출
1.5. 경제적 가치 창출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본인의 생각
3. 사례 조사 - 패션기업 블랙야크 및 성주그룹(MCM)
3.1. 블랙야크 사례 고찰
3.1.1. 기업 개요
3.1.2. 사회적 책임 활동 고찰: 플러스틱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3.2. 성주그룹 사례 고찰
3.2.1. 기업 개요
3.2.2. 성주그룹의 사회적 책임 사례
3.2.2.1. 환경을 위한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
3.2.2.2. 협려사와의 공정한 관계를 통한 사회 경영
3.2.2.3. 여성 역량 강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적기업 사례 조사 - (재)아름다운가게
1.1. 기업소개
아름다운가게는 물건의 재사용과 재순환을 도모하여 우리 사회의 생태적, 친환경적 변화를 추구하고 일상 속 나눔을 통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우리의 이웃들과 단체들의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공익문화 창출형 사회적기업이다. '모두가 함께하는 나눔과 순환의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라는 미션을 바탕으로 물건의 재사용과 순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생태적·친환경적 변화에 기여하고 국내외 소외계층 및 공익활동을 지원하며, 시민의식의 성장과 풀뿌리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비영리법인으로서의 순수성과, 가치지향성, 공익성을 지키고 공익적 가치를 생산하는 데 있어 효율성을 추구하며 공익성과 전문성 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달성하여 공익성과 전문성을 가진 세계적 수준의 NGO가 되는 것이 비전이다. 이를 위해 자원재순환, 참여문화, 국내·외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2. 활동
1.2.1. 자원재순환
'자원재순환'은 (재)아름다운가게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아름다운가게는 물건의 재사용과 재순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생태적·친환경적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가게는 '재사용 나눔가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재사용 나눔가게는 시민들의 기증, 자원활동, 구매 등을 통해 자원 재순환과 나눔을 실천하는 공간이다. 시민들의 자원활동으로 운영되며 공익상품을 통해 윤리적 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가게는 '에코파티메아리' 브랜드를 통해 쓰임을 다한 소재에 새로운 쓰임을 더한 국내 최초 업사이클 디자인 제품을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지구를 지키는 에코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아름다운가게는 고종종 가구의 기증품을 재사용하는 '재사용 나눔가게' 사업을 통해 버려질 뻔한 물품들을 되살려내고 있다.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아름다운가게는 재사용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자원 재순환을 실천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1.2.2. 참여문화
참여문화는 '기증, 후원, 자원활동, 구매 등의 다양한 참여로 나눔 문화를 만들어가며 나눔의 가치를 전파하는 사업'이다. 아름다운가게는 다양한 참여 활동을 통해 나눔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첫째, 물품 기부를 통해 자원재순환을 실천한다. 시민들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기증하면 아름다운가게에서 이를 분류하고 가격을 책정하여 매장에서 판매한다. 이를 통해 버려지는 물품의 재사용을 돕고, 폐기물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둘째, 후원을 통해 다양한 나눔 사업을 지원한다. 시민들은 정기기부와 일시기부 등의 방식으로 후원에 참여할 수 있다. 이렇게 조성된 기금은 지역사회를 지원하는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아동·청소년을 지원하는 '맛있는 방학 쿡방', 해외 나눔사업 지원 등에 사용된다.
셋째, 자원활동을 통해 나눔 활동에 직접 참여한다. 시민들은 재사용나눔가게, 되살림터, 사무지원, 에코디자인, 캠페인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재능과 관심사에 맞는 활동에 참여하며, 시민의식의 성장과 풀뿌리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나눔장터를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낸다.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아름다운나눔장터와 특별 나눔장터에 시민들이 참여하여 물품을 판매하고 환경과 나눔의 가치를 실천할 수 있다.
이처럼 아름다운가게는 시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나눔과 순환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1.2.3. 국내·외 지원
(국내 지원)
아름다운가게는 경제, 사회, 환경이 조화를 이루며 공동체가 자립하고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변화'를 꿈꾸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국내 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첫째,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변화와 움직임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전환의 시작이 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기후 위기 대응 및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활동을 지원하는 '기초생활지원사업', 개인의 자립을 위한 토대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자립기반조성사업', 공동체 기능 유지 및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동체 조성사업'을 포함한다. 둘째, '아름다운 나눔보따리' 사업을 통해 전국의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쌀과 생필품 등으로 구성된 보따리를 전국의 홀몸어르신 댁에 전달하는 정기 나눔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다. 셋째, '보호종료아동지원' 사업으로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의 안정적 사회 적응을 위해 경제·학업·진로의 영역에서 자립의 과정을 지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년비전프로젝트 '플랜V', 대학생 장학지원, 청년인턴십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넷째, '소외아동 정서지원', '초록산타', '청소년 문화예술 동아리 지원' 등의 국내 교육지원 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아동과 청소년에게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서적 측면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끝으로 '맛있는 방학 쿡방' 사업으로 방학 중에도 건강하게 끼니를 챙기고 성장과정에서 올바른 식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급식비와 요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 지원)
아름다운가게는 '관계'라는 관점에서 세상의 진실을 바라보며, 베트남, 네팔, 방글라데시, 케냐 등의 지구촌 이웃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해외 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첫째, '아름다운 도서관' 사업을 통해 교육의 기회가 부족한 개발도상국 취약계층 아이들을 위한 도서관 건립과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나마스떼 갠지스' 사업에서는 네팔 소농민(여성 중심)들이 농업을 통해 소득을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공동체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농업 인프라 구축과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셋째, '굿모닝 베트남' 사업을 통해 베트남의 소수민족 청소년들이 평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기숙사와 교사 인력 등을 지원하여 교육 환경의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넷째, '뷰티풀웍스' 사업으로 방글라데시 재난피해자들과 함께 세운 사회적기업이 지속, 안정적으로 ...
참고 자료
박지은, “디자인 중심의 성공적 업사이클 비즈니스 전략 연구 – 프라이탁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8, 서울
임재훈(2020).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의 경험 디자인 경영에 관한 고찰 – 프라이탁 브랜드를 중심으로. Jo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Vol. 60. 205-215
Renate Menzi. 이수영(역) (2013). FREITAG – OUT of the Bag 파주 : (주)안그라픽스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가게”, https://www.beautifulstore.org/, 2022.06.04
고희경, 안동휘, 서용구(2021), ESG 환경 경영: 블랙야크 스타일, 한국상품학회, 상품학연구, 2021, vol.39, no.3, pp.77-86
강태선, 김연성, 정회욱(2021), (주)BYN블랙야크의 ESG 경영 실천 사례 : 국내 투명 페트병 자원순환 시스템을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 품질경영학회지 v.49 no.3, 2021년, pp.433- 446
안동휘, 서용구(2022), MCM의 ESG 경영과 여성 역량 강화: 사회 공헌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상품학회, 상품학연구 Vol.40 No.1 2022.02, pp.15-25
유창조, 이상현, 전중옥(201), 블랙야크의 BI(Brand Identity) 강화전략: 사회공헌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아시아마케팅저널 KCI 2010 12권, 3호, pp. 99~107
홍정은(2019), 카지노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CSR)이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