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세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염상섭 소설 의 의의와 가치
1.1. 시대적 배경
1.2. 공간의 이동
1.3. 문학사적 의의
1.4. 작가의 관점
1.4.1. 개성론과 리얼리즘
1.4.2. 자유연애
1.5. 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염상섭 소설 의 의의와 가치
1.1. 시대적 배경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1918년, 3.1 운동이 일어나기 전이다. 경술국치 후 조선총독부는 헌병 통치 아래 조선인들의 자유를 억압하고 토지 조사 사업으로 농민들의 땅을 뺏었다. 이로 인해 조선인들은 점차 궁핍해지고 하루하루를 버텨나가는 데 힘을 모두 써 정작 중요한 조선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나아갔다. 염상섭은 을 통해 이 상황을 날카롭게 집어냈다. 주인공의 독백에서 드러나듯이 "젊은 사람들의 얼굴까지 시든 배추잎 같고 주늑이 들어서 멀거니 앉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빌붙는 듯한 천한 웃음이나 '헤에'하고 싱겁게 웃는 그 표정을 보면 가엾기도 하고, 분이 치밀어 올라와서 소리라도 버럭 질렀으면 시원할 것 같다. '공동묘지 속에서 사니까 죽어서나 시원스런 데 가서 파묻히겠다는 것인가? 그러나 하여간에 구더기가 득시글득시글하는 무덤 속이다. 모두 구더기다. 너도 구더기. 나도 구더기다.'"이처럼 주인공은 조선인들의 상황에 개탄하며 조국을 공동묘지로, 조선인을 구더기로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염상섭은 위태로운 나라 현실을 배경으로 식민지 상황 속에서 발생한 왜곡된 근대화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1.2. 공간의 이동
공간의 이동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의 공간적 흐름은 주요한 장치로 작용한다. 주인공 이인화의 이동 경로인 "동경-고베-시모노세키-부산-김천-대전-서울"은 그의 의식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인화는 일본에 있을 때 개별적 인식에만 머물러 있었으나, 연락선에 오르면서부터 일본인들의 대화를 통해 조선의 현실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기 시작한다. 점점 식민지 조선에 가까워짐에 따라 이인화는 일제에 억압받는 조선인들을 포착하며 현실 인식의 변화 과정을 겪는다. 이처럼 주인공의 개별적 인식이 사회적 인식으로 나아가는 자아 각성이 공...
참고 자료
김종균(1974), 염상섭연구, 고려대, 출판부.
신동욱 편(1982), 염상섭연구, 새문사 .
유광렬(1963), 횡보의 이일 저일, 「현대문학」 100.
염상섭전집1-12(1987), 민음사.
권영민(2001),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홍사중(1963), 염상섭론, 「현대문학」105-8.
두산동아(상) 디딤돌(하) 지학박(상) 대한(하) 블랙박스(하) 교학구(상) 중앙교육(하) 태성(상) 의 교사용지도서
만세전, 염상섭, 수선사, 1948, 163p-164p.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권영민, 태학사, 2019, 1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