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난소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난소암의 정의와 이해
1.1. 난소암의 분류
1.2. 난소암의 발생 원인
1.3. 난소암의 위험 요인
2. 난소암의 진단
2.1.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
2.2. 난소암의 증상 및 징후
2.3. 난소암의 병기 분류
3. 난소암의 치료
3.1. 수술 치료
3.2. 항암화학요법
3.3. 방사선 치료
4. 난소암 환자의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난소암의 정의와 이해
1.1. 난소암의 분류
난소암의 분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상피세포암(epithelial carcinoma)이다"" 이는 난소 표면 상피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전체 난소암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상피세포암에는 장액성 난소암(serous carcinoma), 점액성 난소암(mucinous carcinoma), 자궁내막양 난소암(endometroid carcinoma), 투명세포암(clear cell carcinoma), 브레너 종양(malignant brenner tumor), 미분화세포암(undifferentiated carcinoma), 미분류 난소암(unclassified 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둘째, 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or)이다"" 이는 난소 내 생식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비교적 드문 편이다"" 이에는 성숙 피낭성 기형종(mature cystic teratoma), 난황낭종(yolk sac tumor), 배아암종(embryonal carcinoma), 융모암(choriocarcinoma) 등이 있다""
셋째, 성삭 기질 종양(sex cord-stromal tumor)이다"" 이는 난소 내 생식세포가 아닌 구조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가장 드문 유형이다"" 이에는 과립막세포종(granulosa cell tumor), 섬유종(fibroma), 섬유육종(fibrosarcoma) 등이 포함된다""
1.2. 난소암의 발생 원인
난소암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독신여성의 경우 결혼하지 않거나 자녀를 낳지 않아 배란 및 난소피질의 표면상피가 손상되는 횟수가 적기 때문에 난소암의 위험도가 높은 편이다.
둘째, 출산 횟수가 적을수록 배란 횟수가 많아져 난소 표면상피의 손상 정도가 증가하므로 난소암 발생의 위험이 높아진다.
셋째, 경구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배란 횟수가 줄어들어 난소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넷째, 초경이 늦거나 폐경이 빠른 여성의 경우에도 난소암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는 배란 횟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석면이나 활석 등의 산업생산물질에 과다 노출되는 경우 난소암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 구성원 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난소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들(95%)은 가족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곱째, 비만이나 여러 바이러스 감염 등도 난소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배란 및 난소 상피세포의 손상 정도,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난소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1.3. 난소암의 위험 요인
난소암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신여성이다. 평생 결혼생활을 하지 않은 여성의 경우 난소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혼과 출산은 난소암 위험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낮은 출산력이...
참고 자료
대한산부인과학회(2007) 부인과학 고려의학
홍성봉, 난소암의 조기진단,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p555~556, 1973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321 암환자, "치료비,죽음보다 투병과정에 대한 부담감 커", 일간투데이, 2019.05.06. 14:37
https://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1001&CONT_SEQ=293308 보건복지부-국가 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여성건강간호학 I,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