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개 감염병 국내/외 정책에 대해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성매개 감염병 국내/외 정책에 대해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감염병의 중요성
1.2.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

2. 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과 변화
2.1. 국내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2.1.1.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
2.1.2. 위기경보 수준
2.2.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2.2.1. 미국의 공중보건위기 대응 체계
2.2.2. 일본의 신종 인플루엔자 등 대책 특별 조치법
2.2.3. 독일의 감염병예방법

3. 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비교 분석

4. 향후 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감염병의 중요성

감염병은 인류 역사 속에서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으며, 지금도 공중보건과 국가 안보에 지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19세기에 결핵, 콜레라 등 감염병의 병원체가 발견되고 20세기에 들어서는 공중위생관리, 안전급수공급, 인분 및 하수 처리, 구서 및 모기 구제, 검역 등의 공중보건학적 접근으로 감염병으로 인한 유병률과 사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21세기 새로운 감염병이 등장하면서 감염병의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 에이즈, 황색포도상구균 감염, 조류인플루엔자, 식품매개감염병 유행 증가, 생물테러 감염성 질병 발생, 사스(SARS)의 국제적 전파 등으로 새로운 감염병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또한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은 오히려 새로운 감염병 유행을 예측하게 하고 있으며, 기존의 낙후된 공중보건체계로는 새로운 감염병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03년 이후 조류인플루엔자(H5N1) 인체감염 발생 국가 및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에 대한 위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08년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2009년 신종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013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2014년 에볼라출혈열, 2015년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등 새로운 감염병이 유입·발생하거나 통제되고 있던 감염병이 다시 유행하는 등 감염병 관련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감염병이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보건, 경제, 외교, 교육 등 모든 사회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국제사회의 감염병 발생에 대한 공조체계 구축과 더불어 철저한 대비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2.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

19세기 결핵, 콜레라 등 미생물 발견 및 20세기 감염병 관리를 위한 공중위생관리, 안전급수공급, 인분 및 하수에 대한 위생적 처리, 구서 및 모기 구제, 검역 등 공중보건학적 접근으로 인류의 감염병으로 인한 유병과 사망이 획기적으로 줄었다. 그러나 21세기에는 에이즈라는 새로운 감염병이 등장하고 약제내성 결핵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인한 사망 증가, 조류인플루엔자, 식품매개감염병 유행 증가, 생물테러 감염성 질병 발생, 사스(SARS)의 국제적 전파 등으로 새로운 감염병의 위험에 직면하게 되었다.

더불어 20세기 각종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혜택은 오히려 새로운 감염병 유행을 예측하고 있으며, 기존의 낙후된 공중보건체계는 새로운 감염병 위험에 효과적 대응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03년 이후 조류인플루엔자(H5N1) 인체감염 발생 국가 및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에 대한 위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8년도에는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을 둘러싸고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경험하였으며, 2009년 신종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가 유행한 적이 있다. 또한 2013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국내 첫 발생 이후 2014년, 2015년에도 지속적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유행한 에볼라출혈열, 2015년 국내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유행은 기존에 유행하지 않던 새로운 감염병이 유입ㆍ발생하거나, 통제되고 있던 감염병이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감염병이 장기화되고 일상화되었다. 이로 인해 국가 보건의료체계는 더욱 중요해졌고, 감염병 유행이 보건, 경제, 외교, 교육 등 사회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감염병 발생에 대한 공조체계와 더불어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감염병 유행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준비가 요구되고 있다.


2. 국내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과 변화
2.1. 국내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2.1.1.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이다.""

이 계획의 법적 근거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명시되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감염병 예방ㆍ관리 기본목표 및 추진방향, 주요 감염병 예방ㆍ관리에 관한 사업 계획 및 추진방법, 전문인력 양성 및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방안, 감염병 통계 및 정보 관리 방안 등이 포함된다.""

제1차 기본계획(2013~2017년)의 비전은 "감염 질환 퇴치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 보호"였고, 목표는 감염병 퇴치와 유행 억제, 해외 발생 감염병의 국내 유입 억제, 신종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통한 국내 피해 최소화였다.""

주요 전략으로는 수인성ㆍ식품매개 및 접촉전파 감염병, 호흡기 감염병,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신종 감염병 및 공중보건 위기, 결핵, 생물테러 감염병, 인수공통 감염병, 기생충 감염병, 매개체 전파 감염...


참고 자료

Steven D. Pinkerton, Paul R. Abramson. Effectiveness of condoms in preventing HIV transmission. 1997;44(9): 1303-1312.
Lee H. Predictors of Condom Use Intentions according to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in 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e. 2010;16(2)194-203.h
Yu J, Cha S,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4) 431-439.
Song, Ju-Eu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s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2010;16 (4) 399-408.
김유진, "피임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피임 지식, 피임 태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46-255, 2017
이영선, "에이즈(AIDS)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태도"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8) : 145-163, 2017
박성운, "성매개감염병의 진단과 신고"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7 (7): 122-129, 2012
김선희, "서울지역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준 및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2459-2472, 2011
성미혜, "의학계열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취약성 인지정도" 기본간호학회 15 (15): 221-228, 2008
권미영, "한국 청소년의 성매개 감염병 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53-60, 2017
이영선, "사회복지학 및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인식, 지식, 편견 및 사회적 거리감"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338-344, 2016
Park Sang Ho, Han Jeong Ho. Condoms and Their Use in Preventing HIV/STDs Infection. The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2000;13(1):66–73.
“2019-2020년도 국내 성매개감염병 발생 신고 동향”.『주간건강과 질병』,2021. 김태영 외 3명
“2020 성매개감염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본부』, 2019.12
“몽골 청소년 성생식보건 사업”.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윤영옥
“몽골인의 성병에 대한 지식과 성병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 2011. 이순희 외 3명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 2014. 박효정 외 3명
“성매개 질환 발생에 관한 시대적 변천과 현황”. 『대한의사협회지』, 이임순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2023). 발간자료(주간감염병동향).
https://www.kdca.go.kr/npt/biz/npp/portal/nppPblctDtaMain.do?pblctDtaSeAt=0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13). 정책 DB; 전문자료.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 계획(안) (2013년~2017년).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4345
보건복지부(2018). 정보; 연구/조사/발간자료.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018~2022).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5550&page=1
탁상우(2020). 미국의 공중보건위기 대응 체계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년 여름 13호. 5-20.
이얼(2015). 일본의 감염병 대응 체계 및 현황. 의료정책포럼. 13(4), 93-96.
국회입법조사처(2020). 연구보고서. [현안브리핑 제2호] 코로나19 대응 국내ㆍ외 동향. https://www.nars.go.kr/report/view.dopage=4&cmsCode=CM0073&categoryId=&searchType=TITLE&searchKeyword=%EC%BD%94%EB%A1%9C%EB%82%9819%20%EB%8C%80%EC%9D%91&brdSeq=28323
윤진아(2018). 독일의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법제 고찰. 법과정책연구. 18(4), 52, 255-288.
국회사무처(2020). 독일입법관. 독일 감염병예방법 구성 체계 및 코로나19 관련 최근 개정사항.
서경화, 이정찬, 김계현, 이얼(2015). 감염병 발생시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에 관한 고찰. 국가정책연구. 29(4), 219-242
공공보건의료연구소(2020). 출간물; 정책연구보고서. [2013년] 감염병 재난 발생 시 국립중앙의료원의 대응 전략 및 대책. https://www.nmc.or.kr/instlm/bbs/B0000057/view.donttId=543&menuNo=800024&pageIndex=3
이천현(2015). 실효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AB-01, 1~16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