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진단: 망상적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1.1. 사정
1.1.1. 주관적 자료
"피해망상(+): 스토킹, 주거침입 - 자신의 생각과 망상에 대한 확신이 있으나 주변에서 사실이 아니라고 하여 피상적으로는 본인이 생각하는 것이나 본인에게 보이는 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대답함"이다."대상자는 "나는 백발의 수염이 긴 신이다"라고 하면서 과대망상을 보이고 있으며, "백발의 수염이 긴 신과 그 신이 몰고 가는 동물들이 보여요. 그 신의 얼굴은 내 얼굴이에요.", "내가 신인데도 신의 세계에 갈 수 없어서 눈물이 난다"라고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피해망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대상자는 스토킹과 주거침입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상자의 언어적 표현, 표정 및 행동 등 전반적인 모습을 관찰한 결과, 대화 도중 망상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는 진단명 조현병(Schizoaffective disorder)으로 양성기 증상인 과대망상을 보이고 있으며, Olanzapine 20mg PO qd, Quetiapine 25mg PO qd가 처방되었다"".
1.2. 간호목표
1.2.1.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망상 증상이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환자의 경우, 망상 증상은 불안, 공격성 등의 부정적 증상을 동반하여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망상 증상의 감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약물요법, 치료적 의사소통, 현실 중심적 활동 제공 등의 다각도의 중재를 통해 환자의 망상 증상 감소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환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환자가 자신의 증상과 감정을 솔직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 가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환자의 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가족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것도 장기적인 증상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각도의 간호 중재를 통해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망상 증상이 감소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2.2. 단기목표
단기목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