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
1.1. 원리 및 이론
1.1.1.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은 알켄에 브로민(Br2)을 첨가하여 1,2-디브로모알케인(vicinal dibromides)을 생성하는 유용한 유기반응이다. 이 반응은 디브로마이드 합성과 알켄의 정성 검사에 활용된다.
알켄에 브로민이 첨가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브로민 분자가 쉽게 편극되어 브로모늄 이온(bromonium ion)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 중간체는 브로민 음이온(Br-)의 SN2 반응을 통해 환이 열리면서 trans-dibromo 부가 생성물이 생성된다. 이 때 두 개의 브로민 원자가 서로 반대편에서 첨가되어 입체선택성(stereoselectivity)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 형성은 다음과 같은 안정성 요인들에 의해 가능하다. 첫째, 브로모늄 이온은 안정한 육면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루이스 옥텟을 만족시킨다. 둘째, 브로모늄 이온 형성 시 새로운 C-Br 결합이 생성되면서 발열 반응이 일어나 에너지가 낮아진다. 셋째, 브로민 원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3원고리 구조의 고리 장력이 크지 않다.
이렇게 생성된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브로민 음이온의 SN2 반응에 의해 환이 열리게 된다. 브로민 음이온은 중간체의 뒷면에서 backside attack하여 anti 입체화학을 가지는 trans-dibromo 부가 생성물을 형성한다. 이는 중간체의 입체배향 때문이며, 만약 카르보늄 이온 중간체를 거쳤다면 syn 입체화학의 이성질체도 함께 생성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은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를 경유하는 입체선택적인 반응 메커니즘을 가지며, 이는 반응 결과물의 입체화학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된다.
1.1.2.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 형성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에서는 브로모늄 이온(bromonium ion)이라는 중간체가 형성된다. 이 브로모늄 이온은 3원자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브로민 원자가 알켄의 이중결합에 전기적으로 첨가되어 생성된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알켄의 π전자가 브로민 분자의 극성화된 브로민 원자를 공격한다. 이때 C-Br 결합이 생성되면서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형성된다. 이 3원자 고리 형태의 중간체는 브로민 음이온에 의해 열린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형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로민 원자는 탄소 원자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3원자 고리를 형성할 때의 ring strain이 크지 않다. 둘째,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전자쌍을 8개 가지는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 반면 탄소 양이온 중간체는 전자쌍이 부족한 불안정한 구조이다. 셋째,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 형성 시 C-Br 결합이 생성되는데, 이는 발열 반응이므로 에너지 준위가 낮아져 안정해진다.
이처럼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안정한 구조이고 에너지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에,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에서는 이 중간체가 주요하게 관찰된다.
1.1.3. 브로민화 반응의 입체 선택성
브로민화 반응의 입체 선택성은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생성되면 브로민 음이온이 이 중간체의 반대쪽에서 SN2 반응을 통해 공격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anti 부가 생성물이 형성된다. 이러한 anti 선택성으로 인해 알켄에 브로민이 첨가될 때 반드시 trans 이성질체가 생성된다.
알켄과 브로민이 반응할 때, 먼저 브로민 분자가 알켄의 이중결합에 작용하여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 때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3원 고리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브로민 원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큰 ring strain을 야기하지 않는다. 그 후 브로민 음이온이 이 중간체의 반대쪽에서 SN2 반응으로 공격하여 최종적으로 trans 이성질체의 1,2-디브로모알칸이 생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든 새로운 결합이 이중결합의 반대쪽(anti)에 형성되므로 입체 선택성을 가지게 된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탄소 양이온과 브로민 음이온이 3원 고리 구조를 이루고 있어, 브로민 음이온이 쉽게 접근하여 SN2 반응을 할 수 있다. 만약 이 중간체가 평면구조의 탄소 양이온이었다면, 브로민 음이온이 어느 방향에서든 접근할 수 있어 syn 및 anti 부가물이 함께 생성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3원 고리 구조를 취하므로 브로민 음이온이 오직 중간체의 반대쪽에서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anti 부가물만이 생성된다.
이처럼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의 생성과 그에 따른 SN2 반응 메커니즘이 브로민화 반응의 입체 선택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된다. 따라서 브로민화 반응은 항상 trans 이성질체의 1,2-디브로모알칸을 생성하게 된다.
1.1.4.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의 안정성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의 안정성은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안정할수록 브로민 음이온의 전형적인 SN2 역반응을 통한 환 열림이 더 용이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는 세 가지 이유로 안정성이 높다. 첫째, 브로모늄 이온이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브로모늄 이온의 Br 원자는 8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 안정한 반면, 탄소 양이온은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둘째,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 형성 반응이 발열 반응이므로 반응 엔탈피가 낮아진다. 셋째, 브로모늄 중간체에서 브롬 원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ring strain이 크지 않다.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의 안정성은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브로민화 반응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고리 구조 내부에 있는 이중 결합에 브롬이 첨가될 때,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안정하게 형성되어 전형적인 anti 첨가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