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 하수 줄이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생활하수 처리 과정
2.1. 생활하수의 이송 과정
2.2. 생활하수 처리 공법
2.3. 하수 처리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3. 하수 관리 정책
3.1. 하수관로 기능 강화
3.2. 하수처리 시설 현대화
3.3. 재해 관리 능력 강화
3.4. 수질 오염 관리
4. 개인 및 지역사회 실천 방안
4.1. 개인적 실천 방안
4.2. 지역사회 지원 체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가 요리를 하거나 손을 씻거나 세수를 하거나 목욕을 하게 되면 깨끗했던 물이 오염되게 된다. 사용하고 난 물을 '하수'라고 부르며, 반대로 정수 처리 되어 깨끗한 물, 그래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상수'라고 부른다. 하수가 만들어지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생활하수와 공장하수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하수는 가정 등에서 일상생활을 하면서 배출하는 오수를 말하며, 부엌, 화장실, 욕실 등에서 생기는 것이 오수인데, 이 오수에 빗물이 합쳐지면 하수가 된다. 생활하수는 분뇨와 함께 우리나라 수질오염 물질의 70%를 차지한다. 다만, 대부분이 유기성 폐수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생물 분해가 이루어져서 정화가 되지만 생활하수가 하천이나 강에 대량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자정능력이 상실되어 회복이 불가능해진다. 과거에는 공장에서 방출되는 폐수가 하천이나 강 오염의 주범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정수 시설이 발달하게 되고, 공장들이 자체적으로 정수를 거쳐서 폐수를 하천이나 공장에 방류하고, 지자체의 관리와 단속이 심하기 때문에 엄격하게 수질관리가 이루어지는 편인 데 반해서 가정에서 배출하는 생활하수는 별도의 정수 처리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기 때문이다.
2. 생활하수 처리 과정
2.1. 생활하수의 이송 과정
가정에서 물을 버리면 이 물은 하수구를 통해서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한다. 하수처리장의 침사지에서 모래나 머리카락 기타 이물질이 필터를 거쳐서 제거된다. 침사지에게 유입된 하수는 분배조로 펌프를 이용해서 이송된다. 하수의 침전을 위해서 대형 펌프를 이용해 하수를 끌어올리는 유입펌프의 과정을 거쳐서 최초의 침전지로 이동해서 하수에서 뜨는 물질과 가라앉는 물질을 분리한다. 이후에는 포기조로 이동한다. 포기조에서는 하수의 오염원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을 증식시켜서 유기물을 분해, 제거시킨 뒤에 처리수를 최종침전지로 보낸다. 포기조에서는 약 6시간 동안 산소를 공갑해서 호기성미생물을 증식시킨다. 이렇게 되면 유기성 고형물은 80% 가량이 제거된다. 최종 침전지에서는 포기조에서 미생물이 만든 슬러지를 3.4시간 동안 침전시키고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모아서 포기조로 반송하게 된다. 남은 처리수는 저류조로 이송한다. 저류조에서는 최종 처리된 상등수를 하천으로 방류가 결정되고, 남은 물은 처리장 내의 용수로 재이용한다. 상등수는 최종침전지에서 부유물질을 미세 여과막을 이용해서 남은 부유물을 제거하고 하천으로 방류하기 전에 최종 단계로 세균성 병원균을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한다.
2.2. 생활하수 처리 공법
생활하수 처리 공법은 주로 표준활성슬러지법이 적용되고 있다"" 생활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은 크게 수처리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으로 구분된다"" 수처리 과정은 침사지, 최초 침전지, 생물 반응조, 최종 침전지, 3차 고도처리인 총인처리, 소독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침사지에서는 하수관로를 통해 유입된 모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부유물질이 제거된다"" 최초 침전지에서는 BOD와 SS 등이 1차적으로 제거되고, 생물 반응조에서는 6시간 동안 호기성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이 분해된다"" 최종 침전지에서는 남은 부유물질이 침전되고, 총인처리 공정을 거쳐 인이 제거되며, 최종적으로 소독 처리를 통해 세균성 병원균이 살균된다""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최초 침전지와 최종 침전지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농축하여 혐기성 소화조로 보내고, 여기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슬러지 양이 감소되며 부산물로 메탄가스가 발생한다"" 이후 탈수 과정을 거쳐 ...
참고 자료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2003.8.27. 가정에서 버린 생활하수, 수질오염 원인
오마이뉴스, 김병기, 2020.7.7. 비 올 때 방류되는 생활하수, 이젠 체계적 관리
서울하수도과학관 홈페이지, 하수도이야기
에코타임스, 김정문, 2022.2.17. 수도권매립지, 하수슬러지 처리 고민 깊어진다
물순환안전국, 2021 주요 업무보고, 2021
서울하수도과학관, 하수처리시스템, 2022년 5월 10일 접속,
https://sssmuseum.org/main/?mc_code=131110
서울시 하수도 정책, 서울 정책아카이브, 2017, p.22~37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2021). 성기월 외 공동저자, 수문사.
이현용. "생물흡착(Biosorption)을 이용한 중금속 수질오염 정화."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강원도.
<환경 고발>영풍석포제련소 폐수 '낙동강 수질오염' 현장. https://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568882§ion=sc2
‘환경오염 논란’ 영풍석포제련소, 기준치 넘긴 수질오염 물질 배출···“또 적발” 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11
제천 환경사업소 https://www.jecheon.go.kr/jcstp/contents.do?key=1077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https://www.keco.or.kr.
파주시 보건소 https://clinic.pa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