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29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요실금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1.1.2. 객관적 자료
1.2. 간호진단
1.3. 간호목표
1.3.1. 단기목표
1.3.2. 장기목표
1.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4.1. 진단적
1.4.2. 치료적
1.4.3. 교육적
1.5. 간호수행
1.6. 간호평가

2. 기능성 요실금(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2.1. 간호사정
2.1.1. 주관적 자료
2.1.2. 객관적 자료
2.2. 간호진단
2.3. 간호목표
2.3.1. 단기목표
2.3.2. 장기목표
2.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2.4.1. 진단적
2.4.2. 치료적
2.4.3. 교육적
2.5. 간호수행
2.6.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소변이) 화장실 가기 전에 못 참고 바로 나와버려."라고 말하며 긴박뇨(절박뇨, 절박성 요실금)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대상자는 "내가 이래 가지고 밖에 돌아다닐 수나 있을지..."라고 표현하며 요실금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과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파킨슨병(PD, Parkinson's disease)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경우, 의무기록 열람에 따르면 대상자가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해서 간병인 보조하에 화장실로 이동하던 중 간에 배뇨하는 기록이 있었다"". 대상자는 요의를 느낀 후 화장실까지 가는 동안 참는 능력이 떨어지며, 불수의적으로 배출되는 긴박뇨(절박뇨, 절박성 요실금) 증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대상자는 야간에 성인용 기저귀를 착용하고, 간이 소변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배뇨 기록에 따르면 대상자가 7/5에 기저귀에 2차례 배뇨한 것이 확인되었다"".


1.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소변 배출 조절 능력의 감소와 관련된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이다.

긴박성 요실금은 배뇨에 대한 느낌 또는 긴박성을 심하게 느낀 직후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흐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파킨슨병(PD, Parkinson's disease)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조절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상자는 화장실에 가고 싶다는 느낌이 들자마자 곧바로 소변이 나오는 긴박뇨(절박뇨, 절박성 요실금) 증상을 보이고 있다.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소변 배출 조절 능력의 감소와 관련된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
이는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화장실 가기 전에 못 참고 바로 나와버려.","내가 이래 가지고 밖에 돌아다닐 수나 있을지...", "평생 기저귀를 차고 싶은 건 아니야" 등의 긴박뇨 증상을 호소하였다. 또한 객관적 자료에서 대상자가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으며, 화장실에 가다가 중간에 불수의적으로 배뇨하는 기록이 있었고, 실제 관찰 시에도 긴박뇨 증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긴박성 요실금은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소변 배출 조절 능력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간호진단이 내려졌다.


1.3. 간호목표
1.3.1. 단기목표

단기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일 안에 대상자의 긴박성 요실금 횟수가 하루 1회 이하로 감소한다. 이는 긴박성 요실금 증상의 개선을 나타내며, 배뇨 습관의 재형성 과정에서 긍정적인 단기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둘째, 3일 안에 대상자는 긴박뇨 증상이 나아졌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 스스로가 긍박뇨 증상의 개선을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7일 안에 대상자는 예측 가능한 배뇨 습관을 형성한다. 규칙적인 배뇨 패턴을 확립함으로써 요실금 발생을 최소화하고 방광 기능 회복을 돕고자 하는 목표이다.

넷째, 교육 후 대상자는 요실금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교육 내용을 이해하고 요실금 관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교육 후 대상자는 요실금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1가지 이상 스스로 수행한다.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실제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목표의 목적이다.


1.3.2. 장기목표

장기목표 ① 퇴원 전까지 대상자는 요실금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긴박성 요실금을 겪는 대상자의 장기적인 목표는 퇴원 전까지 요실금 증상이 완전히 해결되어 정상적인 배뇨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규칙적인 배뇨 습관 형성, 방광 훈련 및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등 다각도의 중재가 필요하다.

대상자의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기능 저하가 긴박성 요실금의 주된 원인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와 함께 배뇨 습관 및 요실금 예방 행위의 습관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요실금 증상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상담 등의 중재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대상자가 퇴원 시까지 요실금 증상 없이 정상적인 배뇨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장기적인 간호 목표라 할 수 있다.


1.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4.1. 진단적

대상자의 배뇨의 빈도와 양상, 요실금 증상을 관찰하는 것은 긴박성 요실금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수집된 정보는 중재의 계획과 평가의 근거가 된다. 수집된 정보를 통해 대상자의 변화된 건강상태에 따른 다음 단계의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요검사를 시행하고 요로감염을 시사하는 지표를 확인하는 것은, 요로감염이 배뇨장애를 유발하며 긴박뇨, 긴박성 요실금을 악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필요시 대상자의 방광 내압을 측정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것은, 방광 내압은 소변의 저장과 배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확인하여 대상자의 배뇨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사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2. 치료적

치료적 중재로는 첫째, 대상자가 화장실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가까운 곳에 침상을 위치시키거나 또는 간이소변기를 침상 옆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요의를 느낀 후 짧은 간격으로 불수의적인 배뇨 증상이 있으므로 화장실로 이동하는 동선을 최소화하여 이동 시간을 가능한 줄일 수 있다.

둘째, 필요하다면 대상자가 도움 필요시 콜벨을 사용하도록 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화장실로 이동할 때 도움을 제공한다. 긴박성 요실금은 척추병변이나 골반 수술 또는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과 같은 중추신경계 장애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질환은 대상자의 보행과 운동 기능에 영향을 주므로 화장실로의 이동 시 적절한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셋째, 필요시 성인용 패드(기저귀)를 적절히 사용한다. 패드는 불수의적인 요실금 증상이 있을 때마다 소변을 흡수한다. 이러한 기능은 활동을 좀 더 자유롭게 하고 의복이 오염되지 않게 해 위생 문제를 해결해주며 옷이 젖어 대상자가 수치심을 느끼는 것을 방지한다.

넷째,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항콜린제는 배뇨근 수축을 줄이거나 차단하여 요실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삼환계 항우울제는 세로토닌이나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켜 방광벽을 이완하고 방광 용량을 증가시킨다.

다섯째, 일정 간격으로 배뇨 시간을 계획하고 배뇨 간격을 점차 연장하는 방광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수분 섭취 조절, 골반...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논문: 『가정의를 위한 요실금과 배뇨장애의 이해』(2020). vol.10, no.4, p.248-255.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상 외
논문: 『파킨슨 질환자의 요실금 실태』(2007).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vol.11, no.1, p.14-18. 김영주 외
논문: 『파킨슨병 환자의 하부요로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09). 대한간호학회지. vol.39, no.1, p.116-123. 송효정 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ICU 중환자간호 매뉴얼 2판(2019). 포널스 출판사. 한국중환자간호학회 저.
『배뇨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재활대상자의 잔뇨량, 도뇨횟수, 배뇨불편감, 요로감염에 미치는 효과』(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132-14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송영애 외
『Urinary incontinence nursing diagnoses in patients with stroke』(2015). Journal of school of nursing. Rev Esc Enferm USP. 49(6): p923-930. Telma Alteniza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