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식중독 학습의 필요성
최근 학교 급식이나 직장 내 식당 등 단체 급식이 증가하고 대규모 주방 시설에서 조리 가공된 식품이 각 체인점에 납품되는 등 식품의 유통경로가 길어지면서 식중독의 위험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식문화 발달에 따라 식중독 사고가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식중독 사고 발생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식중독 사례와 예방 및 해결방안에 대해 학습할 필요성이 있다. 식중독은 어떤 미생물 혹은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은 후 단시간 내에 복통과 구토,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와 예방이 중요하다. 특히 WHO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되었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에 대한 학습은 식중독 관리와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1.2. 식중독 정의
식중독이란 "어떤 미생물 혹은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은 후 단시간 내에 복통과 구토,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식중독을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되었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해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인체에 즉각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식중독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공중 보건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1.3. 식중독 종류
식중독의 종류에는 세균성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이 있다.
세균성 식중독은 크게 감염형, 독소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감염형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인체 내에서 발육·증식한 세균이 산출하는 내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식중독이다. 대표적인 예로 살모넬라 식중독,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캄필로박터 식중독 등이 있다. 독소형 식중독은 세균이 이미 증식하여 식품에 독소를 생성한 경우 섭취하면서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과 보툴리누스 식중독이 이에 속한다. 혼합형 식중독은 식중독균이 인체에 직접 감염되어 증식하면서도 동시에 독소를 생성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웰치균 식중독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이 해당된다.
자연독 식중독은 동·식물의 성장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축적된 유독·유해 물질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식중독이다. 식물성 자연독 식중독에는 버섯독, 감자 중독, 맥각균 중독 등이 포함되며, 동물성 자연독 식중독에는 복어 식중독, 조개류 식중독 등이 포함된다.
화학성 식중독은 식품에 함유된 유독·유해물질이나 금속이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오염 및 잔류된 화학물질에 의한 급성·만성 식중독과 알레르기형 식중독이 이에 속한다. 불량 식품첨가물, 농약,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식중독이 이에 해당된다.
이처럼 식중독은 그 원인과 증상에 따라 세균성, 자연독, 화학성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2. 식중독 통계
2.1. 부산 식중독 통계
2.1.1. 년별 식중독 발생 현황
최근 5년간 부산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19건 637명, 2019년 15건 263명, 2020년 17건 248명, 2021년 29건 916명, 2022년 40건 1,211명으로 나타났다. 2022년의 경우 환자 수가 1,211명으로 최근 5년 간 가장 많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2019년과 2020년에는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 수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치로 인해 집단 식사와 모임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1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2022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거리두기 완화와 함께 식품 위생 관리에 소홀해진 탓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부산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 현황은 코로나19 상황과 방역 수준의 변화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2. 식중독 원인시설별 발생 현황
최근 5년 동안 부산지역의 식중독 원인시설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식점에서 가장 많은 수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2018년에는 12건의 발생건수와 107명의 환자수가 발생하였고, 2019년에는 7건의 발생건수와 29명의 환자수가 발생하였다. 2020년에는 11건의 발생건수와 38명의 환자수, 2021년에는 22건의 발생건수와 715명의 환자수, 2022년에는 27건의 발생건수와 454명의 환자수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최근 들어 음식점에서 발생한 식중독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음으로 학교에서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다. 2018년에는 1건의 발생건수와 220명의 환자수가 발생하였고, 2019년에는 3건의 발생건수와 180명의 환자수, 2020년에는 3건의 발생건수와 135명의 환자수, 2021년에는 1건의 발생건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