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하얀전쟁 비평문 써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작은 아씨들 - 가정적 여성과 자율적 여성의 공존
1.1. 작가 루이자 메이 올콧과 아버지 브론슨 올콧
1.2. 네 자매의 성격과 특징
1.3. 어머니의 교훈과 아버지의 영향
1.4. 여성의 헌신성과 희생의 미덕
1.5. 소녀독자들의 취향 만족
2. 잔혹한 여성, 그리고 나약한 남성 - 천운영의 「바늘」
2.1. 작가 천운영 소개
2.2. 천운영 작품 세계의 특징
2.3. 「바늘」의 줄거리 및 분석
2.3.1. 폭력적이고 잔혹한 여성
2.3.2. 약하고 상처받기 쉬운 남성
2.4. 언어와 문장으로 구현된 미의 추구
3. 이승훈의 시와 샤갈
3.1. 작가 이승훈 소개
3.2. 샤갈의 그림 경향
3.3. 이승훈의 샤갈에 대한 관심
3.4. 이승훈 시에 수용된 샤갈
3.4.1. 단순한 미메시스 차원에서 환상의 세계로의 지향
3.4.2. 시간의 냉혹성에 대한 인식
3.4.3. 무의식 세계의 추구: 표현주의 및 초현실주의 기법 실험
3.4.4. 새로운 기법과 이미지 활용
3.4.5. 말대가리 이미지
3.4.6. 닭 이미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작은 아씨들 - 가정적 여성과 자율적 여성의 공존
1.1. 작가 루이자 메이 올콧과 아버지 브론슨 올콧
루이자 메이 올콧은 1832년에 출생한 19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이다. 그녀의 아버지 브론슨 올콧은 이상주의자로, 주입식 교육 대신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여러 학교를 세웠으나 번번이 실패하였다. 이로 인해 가족들은 큰 빚을 지게 되었고, 올콧은 어렵게 살아가며 집안을 돌보는 헌신적인 딸이 되어야 했다.
브론슨 올콧은 딸들을 개방적으로 키웠지만, 동시에 순종적이고 착한 성품의 여성상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어 금발머리가 갈색머리보다 더 천사 같은 성품을 지니고 있다는 미신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어 둘째 딸 루이자의 강하고 고집스러운 기질을 꺾으려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루이자는 아버지의 믿음에 따라 헌신적인 삶을 살았다.
그러나 루이자는 어린 시절부터 글쓰기에 재능이 있었고, 고딕 소설이나 로망스 같은 강렬한 감정이 묘사된 장르에 관심이 많았다. 즉 그녀는 가족에 대한 헌신과 자아에 대한 열망 사이에서 갈등하며 성장하였다. 이러한 루이자의 모습은 작품 속에 잘 드러나며, 당대의 여성들이 겪었던 고민과 갈등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받고 있다.
1.2. 네 자매의 성격과 특징
네 자매의 성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큰딸 메그는 허영심이 있지만 아름답고 정숙한 여성이다. 둘째 딸 조는 활달하고 열정적이며 남성적인 면모가 강하다. 그녀는 "숙녀 따위는 싫어!"하며 드레스를 싫어하고 남성의 생활 방식을 선호한다. 셋째 딸 베스는 부끄러움이 많지만 단정하고 헌신적인 "천사"와 같은 성품을 지녔다. 막내 딸 에이미는 귀여운 백설공주와 같은 소녀이다.
네 자매는 각자 그 시대 여자들에게 요구되던 미덕을 나누어 가지고 있다. 메그는 아름답고 정숙한 여성상을, 조는 남성적이고 자유로운 모습을, 베스는 순종적이고 헌신적인 모습을, 에이미는 귀여운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네 자매의 성격과 특징은 당대의 전형적인 여성 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3. 어머니의 교훈과 아버지의 영향
《작은 아씨들》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성격과 특징은 작가 루이자 메이 올콧의 가정 환경과 깊은 관련이 있다. 올콧의 아버지 브론슨 올콧은 고전과 철학, 사회 개혁과 교육 개혁에 평생을 바쳤지만 경제적으로는 무능했기 때문에 가정 형편은 어려웠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작품 속 마치네 가족이 생활고를 겪는 것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작가 루이자 메이 올콧은 아버지를 깊이 사랑하고 존경했으며, 아버지의 철학과 이상을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이런 맥락에서 작품 속 자매들은 자상하고 헌신적인 어머니와 도덕적인 행동 지침을 주는 아버지를 통해 여성으로서 갖추어야 할 규범을 익히게 된다. 생활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지만, 어머니의 충고를 듣고 자신의 역할에서 벗어나지 않으려 한다. 어머니의 말씀을 들은 자매들은 어머니가 《천로 역정》에 나오는 천사처럼 절망의 수렁에서 자신들을 구해 주셨다고 말한다.
아버지 브론슨 올콧은 자녀들에게 《천로 역정》에 나오는 천국으로 가는 여정을 그대로 본받아 행동하도록 용기를 북돋워 주었고, 자매들도 그 교훈을 배우려 노력한다. 이처럼 소설 속 자매들은 어머니의 충고와 아버지의 영향 아래에서 착한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매들은 엄마의 인내와 겸손, 아버지의 도덕적 가르침을 내면화하여 정숙한 숙녀로 성장해 간다.
1.4. 여성의 헌신성과 희생의 미덕
어머니 마치 부인은 그 시대가 여성들에게 요구하던 바람직한 여성의 전형으로서 딸들에게 언제나 상냥하게 교훈을 들려 주며 모범이 된다. "난 내 딸들이 아름답고, 교양 있고, 훌륭한 여성으로 자라나길 바란단다. 다른 이들로부터 칭찬과 사랑과 존경을 받길 바라며, 행복하게 잘 지내다 좋은 상대를 만나 결혼해 행복하게 살면서 근심과 슬픔이 없는 보람되고 즐거운 삶을 누리길 바란단다.…… 난 내 딸들이 아름다운 경험을 하게 되길 진정으로 바라요.…… 그 때를 기다리면서 네 자신을 잘 준비해 두면, 행복한 순간이 찾아왔을 때 네게 맡겨질 의무들을 기꺼운 마음을 받아들일 수 있단다." 딸들은 "사랑하는 얼굴에서 묻어 나는 인내와 겸손은 그 어떤 현명한 훈계나 통렬한 비난보다도 훌륭한 어머니의 교훈"을 받아들여 '내부의 적'을 조심하고, 정숙한 숙녀가 되기로 다짐한다.
하지만 네 자매는 때때로 각자에게 주어진 의무에 지쳐 힘들어하고 쉬고 싶어한다. 그래서 여름 휴가를 맞아 일 주일 동안 아무 것도 하지 않고 휴식만을 취하는 실험을 하겠다고 한다. 어머니는 놀기만 하고 일하지 않는 것이 얼마나 나쁜지 깨닫게 하기 위해 그 실험을 허락한다. 당연하게도 집안은 엉망이 되고 자매들은 자기에게 맡겨진 일을 소홀히 할 경우 얼마나 불편을 겪게 되는...
참고 자료
천운영,「바늘」,『바늘』창작과 비평, 2001
강진호,「미에 대한 집착, 그 황홀경의 의미」, 『월간문화예술』,월간문화예술 243호.
이광호,「천운영, 야생의 여성성을 찾아서」, 『월간문화예술』,월간문화예술 2003 11월호
창비 편집부,「천운영을 읽는 한가지 방식」『창작과 비평』, 창작과 비평사, 2004 여름호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3&dir_id=31001&eid=ClgylAp1dfiGsRo3cX8kZnhPXXG5xKtk&qb=u/6wpSC4tsC7wKe/oSC/rMDOtek=
참고문헌
이승훈, 『시집 샤갈』, 문학과 비평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