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정체성과 과제
1.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정체성
1.1.1. 지역 자치 강조
1.1.2.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1.1.3. 미래 투자 성격
1.2.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과제
1.2.1. 사업의 본질적 성격 재확인
1.2.2. 이용자 자격기준의 보편성 확대
1.2.3. 공급방식의 혁신
1.2.4. 지역 주도의 사업 구조조정
2.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2.1.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2.2. 지역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 사례
2.2.1. 칼라오브제 디자인 프로그램
2.2.2. 코로나19 착한 소비 '희망 상자' 전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정체성과 과제
1.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정체성
1.1.1. 지역 자치 강조
지역 자치 강조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핵심적인 정체성 중 하나이다. 이 사업은 계획, 구현, 관리 전 과정에서 지역 자치를 명시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개별 정부 보조금 방식으로 기획·시행·관리되는 다수의 사회서비스가 서비스 대상과 사업 내용 면에서 전국적으로 일정 수준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것과 달리,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국고보조금 형태를 취하지만 지방자치사회서비스 종합대상에 포함되어 종합보조금 형태로 자금을 공급받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상황을 반영하여 서비스 내용이나 이용자 자격 등을 해당 지역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지역 주도로 사회서비스를 발굴하고 기획·운영하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정체성 중 '1.1.2.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은 다음과 같다.
이 사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사업으로, 사회서비스는 많은 사회 구성원의 일상생활을 지원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를 통한 일자리 확대가 정책목표에 포함되었고, 이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공급·관리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자기결정권이나 선택권을 보장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지역사회 서비스 투자 프로젝트도 서비스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준시장 메커니즘 내에서 이러한 맥락에서 구현되었다. 따라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핵심 정체성이라고 볼 수 있다."
1.1.3. 미래 투자 성격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미래 투자' 성격을 가진다. 기존의 전통적인 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이 바로 이러한 "미래 투자" 성격이다. 사회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미래 복지수요에 대한 예방적 지원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복지서비스가 주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사회문제의 예방과 미래 복지수요에 대한 대비에 더 주목한다. 즉, 현재 발생한 문제나 현재의 복지 수요에 대응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미래의 복지 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복지정책의 패러다임이 치료와 복구에...
참고 자료
정순관. 지역사회서비스혁신사업 사례집. 전라남도: 전남지역사회서비스혁신센터, 2008.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이혜숙,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NGO의 실천방법에 관한 연구 – 열린사회 시민연합을 중심으로 -』, 200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20년 지회 배분 우수사례』, 2021.
원승식, 부락종합사회복지관, 코로나19 착한소비 ‘희망상자’ 전달, 평택자치신문, 2020. 06. 08.
https://blog.naver.com/seo8587/221993957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