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상 분만
1.1. 정의
정상 분만이란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분만 과정은 뚜렷하게 지속되면서 동시에 규칙적인 자궁 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이 이루어진다.
1.2.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와 그 부속물(passenger)이다. 태아의 머리(fetal head), 태위(fetal lie), 태세(fetal attitude), 선진부(presenting part), 태향(fetal position)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태아의 크기, 자세, 위치 등은 분만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산도(passageway)이다. 산도는 자궁, 자궁경부, 질, 회음부 등 태아가 지나가는 통로를 말한다. 산도의 구조와 크기, 모양, 유연성 등이 분만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만출력(power)이다. 만출력에는 불수의적인 자궁수축과 산모의 수의적인 복압 증가가 포함된다. 자궁수축의 강도와 빈도, 지속시간 등이 분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넷째, 산모의 자세(position)이다. 산모의 자세에 따라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여 분만 과정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반좌위나 측위가 선호되며, 앙와위는 피한다.
다섯째, 산모의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이다. 분만의 공포, 불안감, 긴장감 등 산모의 심리 상태가 진통 과정에 작용한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5가지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산과 간호사는 이를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1.3. 자연분만의 장점
자연분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혈이 적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출혈량이 적어 산모의 회복이 빠르다. 둘째, 회복이 빠르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가 적어 회복 속도가 빠르다. 셋째, 병원 재원일수가 짧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수술로 인한 합병증이나 회복 기간이 짧아 병원 재원기간이 짧다. 넷째, 마취로 인한 문제가 적다. 자연분만은 마취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 마취로 인한 부작용의 위험이 적다. 다섯째, 산욕기 감염이 적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낮다. 여섯째, 아기와의 관계가 빠르게 시작된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신생아와 조기접촉이 가능해 모아관계 형성이 빠르다. 일곱째, 합병증이 훨씬 적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에 따른 합병증의 위험이 낮다.""
1.4.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의 전구증상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들로, 산모들이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신호들이다. 이러한 전구증상에는 하강감, 가진통, 이슬, 양막 파열 및 자궁경부의 변화 등이 있다.
첫째, 하강감(Lightening)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 내로 들어가면서 복부 팽만과 횡경막 압박이 경감되는 감각을 의미한다. 초산부의 경우 분만 2~4주 전에 시작되며, 경산부는 분만 때까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둘째, 가진통(False labor)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불규칙적인 자궁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가진통은 불규칙적으로 간격이 길며 강도의 변화가 없고 걸으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하복부에 통증이 있으며 진정제에 효과가 있고 이슬이 보이지 않는다.
셋째, 이슬(Show)은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혈관들이 파열되어 나오는 혈성 점액질을 말한다. 만삭 임신 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이미 시작되었거나 24-48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될 것임을 의미한다.
넷째, 양막 파열(Rupture of membrane)은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이 파열되는 것으로, 분만이 시작된다는 신호이다. 임부의 80%에서 양막 파열 후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섯째, 자궁경부의 변화는 임신 초기에 단단했던 자궁경부가 분만일이 다가올수록 점점 부드러워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자궁경부가 태아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늘어나고 팽창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자궁경부의 연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분만의 전구증상은 산모들이 분만을 준비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정보들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증상들을 파악하고 산모를 교육함으로써 분만 과정을 도와줄 수 있다.
1.5. 두정위 분만기전
두정위 분만기전은 태아의 두부가 골반출구로 나오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 것이다. 분만의 기전은 태아의 앞뒤, 좌우, 그리고 상하의 위치 변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여 출산되는 것이다.
먼저 "진입(Engagement)"은 태아 두부의 가장 큰 횡경선이 골반 입구에 들어가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초산부는 분만 시작 2주 전에, 경산부는 분만과 함께 진입하게 된다. 이는 복부촉진과 질 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강(Descent)"은 선진부가 골반 출구를 향해 내려가는 과정이다. 이는 분만 1기 잠재기 동안 서서히 일어나지만, 활동기에는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선진부의 하강 정도는 초산부에 비해 경산부가 더 빠르며, 복부 촉진과 질 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굴곡(Flexion)"은 하강이 진행되면서 아두가 경관, 골반벽, 골반상으로부터 받는 저항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굴곡되어 턱이 가슴 쪽으로 바짝 붙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아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