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간호중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분만실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상 분만
1.1. 정의
1.2.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자연분만의 장점
1.4. 분만의 전구증상
1.5. 두정위 분만기전
1.6. 분만의 단계
1.7. 진단적 검사 및 치료
1.8. 산모 간호

2. 유도분만
2.1. 정의
2.2. 적응증
2.3. 금기증
2.4. Oxytocin을 이용한 유도분만

3. 흡입분만
3.1. 정의
3.2. 적응증
3.3. 금기증
3.4. 흡입분만 후 주의사항

4. 간호중재
4.1. 분만 시기별 간호사의 역할
4.2. 분만 단계별 간호중재

5. 사례 연구
5.1. 자연분만(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5.2. 유도 및 흡입분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상 분만
1.1. 정의

정상 분만이란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분만 과정은 뚜렷하게 지속되면서 동시에 규칙적인 자궁 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이 이루어진다.


1.2.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와 그 부속물(passenger)이다. 태아의 머리(fetal head), 태위(fetal lie), 태세(fetal attitude), 선진부(presenting part), 태향(fetal position)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태아의 크기, 자세, 위치 등은 분만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산도(passageway)이다. 산도는 자궁, 자궁경부, 질, 회음부 등 태아가 지나가는 통로를 말한다. 산도의 구조와 크기, 모양, 유연성 등이 분만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만출력(power)이다. 만출력에는 불수의적인 자궁수축과 산모의 수의적인 복압 증가가 포함된다. 자궁수축의 강도와 빈도, 지속시간 등이 분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넷째, 산모의 자세(position)이다. 산모의 자세에 따라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여 분만 과정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반좌위나 측위가 선호되며, 앙와위는 피한다.

다섯째, 산모의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이다. 분만의 공포, 불안감, 긴장감 등 산모의 심리 상태가 진통 과정에 작용한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5가지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산과 간호사는 이를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1.3. 자연분만의 장점

자연분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혈이 적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출혈량이 적어 산모의 회복이 빠르다. 둘째, 회복이 빠르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가 적어 회복 속도가 빠르다. 셋째, 병원 재원일수가 짧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수술로 인한 합병증이나 회복 기간이 짧아 병원 재원기간이 짧다. 넷째, 마취로 인한 문제가 적다. 자연분만은 마취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 마취로 인한 부작용의 위험이 적다. 다섯째, 산욕기 감염이 적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낮다. 여섯째, 아기와의 관계가 빠르게 시작된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수술에 비해 신생아와 조기접촉이 가능해 모아관계 형성이 빠르다. 일곱째, 합병증이 훨씬 적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에 따른 합병증의 위험이 낮다.""


1.4.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의 전구증상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들로, 산모들이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신호들이다. 이러한 전구증상에는 하강감, 가진통, 이슬, 양막 파열 및 자궁경부의 변화 등이 있다.

첫째, 하강감(Lightening)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 내로 들어가면서 복부 팽만과 횡경막 압박이 경감되는 감각을 의미한다. 초산부의 경우 분만 2~4주 전에 시작되며, 경산부는 분만 때까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둘째, 가진통(False labor)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불규칙적인 자궁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가진통은 불규칙적으로 간격이 길며 강도의 변화가 없고 걸으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하복부에 통증이 있으며 진정제에 효과가 있고 이슬이 보이지 않는다.

셋째, 이슬(Show)은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혈관들이 파열되어 나오는 혈성 점액질을 말한다. 만삭 임신 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이미 시작되었거나 24-48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될 것임을 의미한다.

넷째, 양막 파열(Rupture of membrane)은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이 파열되는 것으로, 분만이 시작된다는 신호이다. 임부의 80%에서 양막 파열 후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섯째, 자궁경부의 변화는 임신 초기에 단단했던 자궁경부가 분만일이 다가올수록 점점 부드러워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자궁경부가 태아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늘어나고 팽창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자궁경부의 연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분만의 전구증상은 산모들이 분만을 준비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정보들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증상들을 파악하고 산모를 교육함으로써 분만 과정을 도와줄 수 있다.


1.5. 두정위 분만기전

두정위 분만기전은 태아의 두부가 골반출구로 나오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 것이다. 분만의 기전은 태아의 앞뒤, 좌우, 그리고 상하의 위치 변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여 출산되는 것이다.

먼저 "진입(Engagement)"은 태아 두부의 가장 큰 횡경선이 골반 입구에 들어가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초산부는 분만 시작 2주 전에, 경산부는 분만과 함께 진입하게 된다. 이는 복부촉진과 질 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강(Descent)"은 선진부가 골반 출구를 향해 내려가는 과정이다. 이는 분만 1기 잠재기 동안 서서히 일어나지만, 활동기에는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선진부의 하강 정도는 초산부에 비해 경산부가 더 빠르며, 복부 촉진과 질 검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굴곡(Flexion)"은 하강이 진행되면서 아두가 경관, 골반벽, 골반상으로부터 받는 저항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굴곡되어 턱이 가슴 쪽으로 바짝 붙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아두...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2). 제7판 여성건강간호학 Ⅱ, 서울 : 수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저,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외 2명 저,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정환욱(의사), 자연주의 출산 엄마 아빠들 저, (2017) , 모든 출산은 기적입니다, 서울 : 샨티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스: http:///www.drugs.com
여성건강간호학Ⅰ& 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외. 현문사 2015
기본간호학 상,하. 김종임 외. 수문사. 2018
자연 분만 [normal deliver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제일병원 (https://www.cheilmc.co.kr/center/delivery/information/deli_ed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